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갈릴레오 총서 3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옮김 / 영림카디널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이든, TV에서든 E=mc²과 같이 어디에선가 들어는 봤지만, 딱히 물어볼 만한 사람도, 찾아볼 만한 기회도 갖지 못하고 넘어가는 것들이 우리 주위 특히 내게는 많았다. 그런 것들의 대부분이 시간이 없다는 이유로 미루고 미뤄두어 끝내 못 펼치게 될지도 모르는 단순한 지적 호기심의 산물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역시 그러한 ‘부류’에 속하는 하나의 주제였을 뿐이었다. 웹사이트에서 아주 우연히 누군가의 추천 글을 보고 호기심에 이끌려 도서관으로 향한 나는 ‘역사상 사상 최대의 수학 난제’를 해결한 사람의 이야기가 실려있는 책을 쥐고 있었다. 도서관에서 나온 시간이 대략 5시니까 잡다한 시간들을 제외하면 꼬박 6시간에 걸쳐서,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서 숱한 천재 과학자들이 350년간이나 풀지 못했던 난제의 이야기를, 앤드루 와일즈가 오로지 이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서 보냈던 20년의 세월을, 난 단지 6시간 만에 해결을 보았다!

'x²+y²=z² 단, n이 3 이상일 때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경이적인 방법으로 이 정리를 증명했다. 그러나 이 책의 여백이 너무 좁아 여기 옮기지는 않겠다.'

아무리 쉽게 풀어서 썼다고는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명제에 대한 ‘논리적 증명’은 끊이지 않아 쉽게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너무 많았다. 이 책으로 ‘수’에 대한 호기심은 또 발동이 걸리기 시작했지만, 깊이 들어가고 싶은 마음은 추호도 없다. 어쨌거나 수학이기 때문에! 하지만, 줄잡아 6시간 동안 이 책에 손을 놓고 있지 않았던 것처럼, 분명 흥미롭고 경이롭기까지 하여 내가 앤드루 와일즈가 된 것처럼 들떠서 중간에 책을 덮을 수가 없었다.

수학은 순수과학이다. 다시 말해, 화학이나 물리와 같이 실 생활에 어떤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과학과는 다른, 말 그대로 순수하게 학문을 추구할 수 있는 학문인 것이다. 또 다른 말로 하자면, 그에 대한 호기심뿐만 아니라, 끊임 없는 애정과 열정이 없이는 누구도 찾아가기 어려운 난공불락의 세계가 바로 수학이라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책 후기에도 나와있지만, 순수과학 그리고 이공계를 기피하고 있는 우리네 실정을 되돌아 볼 때, 또 간간히 등장하는 일본 사람들의 이름이 거론될 때, 역사의 중요한 페이지의 한 순간에 조차 대한민국에 순수한 학문에 대한 열정을 갖은 사람이 부족하다는 사실도 함께 깨달았다.

이는 또, 근간 내가 생각하고 있는 ‘대학이란 무엇인가’와 함께 연관되어지는 것으로,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대학은 순수학문으로써의 자질을 포기해 버린지 오래다. 사농공상으로 과거 천한 직업으로 인식되어왔던 상대(경영학부)가 1000명을 육박하나, 내가 속한 영문과 역시 문학과 수필쪽에는 그야말로 파리가 날리는 실정이지만, skill을 배우는 토익이나, 영작문, 통역, 번역 등의 강의에는 경영대 수업만큼 바글바글하다. 물론 학문에 대한 성향 역시 시대가 바뀜에 따라 함께 변하므로, 다시 말해 가치관이 바뀌었기 때문에 그런 경향을 비난하자는 것은 아니다. 다만, 대학의 큰 줄기에서 보자면, 학문이 위주가 되는 교육기관이 되어야 하나, 현실을 그렇지 못하다. 대학은 이미 그 의미를 잃어버렸고 이는 취업이라는 관문을 통해서 그 목적성이 두드러지게 퇴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읽고 나서, 근간 읽은 몇 몇 과학 서적을 읽고 나서 과학에 대한 개인의 지적 호기심은 다분히 잦게 유발될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나라 이곳 저곳에서 떠들고 있는 바와 같이, 순수학문을 취급하면 먹고 살기 힘들어진다 라는 루머(?)가 그저 루머로만 남을 수 있게 우리나라에서도 앤드루 와일즈와 같은 꿈을 먹을 수 있는 젊은 사람들이 많이 생길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길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