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내면을 검색하라
차드 멩 탄 지음, 권오열 옮김, 이시형 감수 / 알키 / 2012년 5월
평점 :
일시품절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는 자신의 반응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힘이 있다. 그리고 우리의 반응에 우리의 성장과 행복이 좌우된다."
고요하고 맑은 마음이 하는 일은 그 공간을 넓히는 것이다. (46)

엘린은 지혜를 담아 평상시처럼 차분하고 즐겁고 절제된 태도로 답해주었다. 그의 말은 단순했지만 지극히 심오한, 삶을 변화시키는 통찰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바로 행복이란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허용하는 것이라는 깨달음이다. 행복은 그저 존재하는 것이란 사실, 이러한 깨달음은 내 인생을 바꿔놓았다.
참 허탈하다. 유사 이래 인류는 행복을 움켜쥐기 위해 온갖 짓을 다해왔는데 알고 보니 그저 숨쉬기에 유의하는 것만으로 지속 가능한 행복을 낚아챌 수 있었다니 말이다. 인생 참 재밌다. 적어도 내 인생은 그렇다. (63)

어떤 문제를 낳게 한 것과 동일한 사고방식으로는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알베트 아인슈타인 (120)

깊은 자기 이해와 뻔뻔한 정직성은 자신에게 숨길 것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정확한 자기평가에서 나온다. ... 또 자신의 가장 소중한 열망과 가장 어두운 욕망에 대해 스스로에게 정직해지며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한 삶의 최우선순위와 무시해도 될 정도로 하찮은 것들이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 결국 우리는 알몸 그대로의 자기 모습에 편안해지는 경지에 이르며 이때 자신이 모르는 수치스러운 비밀이 사라진다. 자신에 대한 문제 중 우리가 상대하지 못할 것은 아무것도 없게 된다. 이것이 자신감의 기초다. (131)

감각적 고통pain과 정신적 고통suffering은 질적으로 달라서 하나가 반드시 다른 하나를 뒤따르는 것은 아니라는 것. (154)

마틴 셀리그만은 이를 '설명양식Explanatory Style'이라 칭한다. 이는 실패를 경험할 때 그것을 자신에게 설명하는 방식이다. 낙관적인 이들은 개인적인 힘에 대한 믿음을 갖고 실패에 반응한다. 그들은 실패가 일시적이고 특별한 상황에 한정된 것이며 결국 노력과 능력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고 느낀다. 반면 비관적인 이들은 개인적인 무력감으로 실패에 반응한다. 그들은 실패가 장기적이고 인생 전반에 걸친 일반적인 현상이며 자신의 부족함 탓에 극복할 수 없다고 느낀다. (209)

옛날에 한 제자가 물었다.
"스승님, 경건한 삶의 절반은 사람과 어울리는 것인지요?"
스승이 대답했다.
"아니다. 경건한 삶 전체가 사람과 어울리는 것이다." (217)

자기인식과 공감 사이에는 흥미로운 관계가 있다. 자기인식능력이 높으면 공감능력 역시 높을 가능성이 크다. (219)

일대일 상호작용을 위한 공감기술을 배웠으므로 이제 좀 더 어려운 기술로 게임 수준을 높여보자. 바로 조직의 감정적 흐름과 권력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힐 차례다. 이 기술은 흔히 '정치의식political awareness'이라 지칭된다. (247)

두 번째 핵심통찰은 모든 어려운 대화에는 내용과 그에 수반되는 감정 외에도 그보다 더 중요한 정체성의 문제가 있다는 사실이다. 정체성 문제는 가장 깊이 숨겨져 있고 표면화되지 않은 경우가 아주 많지만 대개는 그것이 가장 두드러진 문제다. (293)

한가한 시간에 세상을 구하라. (315)
......

게으른 보살

깊은 내면의 평화와
위대한 측은지심으로
매일 세상을 구하겠다는 열망을 품어라.
하지만 성취를 위해 애쓰지는 말라.
그저 마음 가는 일을 하라.
...
마음 가는 일이 무엇이든
그것이 바로 해야 할 일이므로.
그러므로 그대
지혜롭고 인정 많은 존재여
한껏 즐기면서 세상을 구원하라. (3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