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명랑하거나 우울하거나 - 서른 살을 위한 힐링 포엠
장석주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유의 시 읽기 [오늘은 명랑하거나 우울하거나] 장석주, 21세기북스, 2012

 

책의 부제가 ‘서른 살을 위한 힐링 포엠’이다. Healing Poem은 치유의 시를 말한다. 저자 장석주는 “말과 상상력으로 이루어지는 시에는 몸과 마음을 이완시키며 휴식과 위안을 주고, 실제로 통증을 줄이고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힘이 있다.”고 말한다. 언어는 상상력의 산물이기에, ‘시’대신 ‘언어로 이루어진 어떤 행위나 결과물’을 집어넣어도 이 명제는 성립한다. 음성언어로 이루어지는 상담이나 강연(설교)과 문자언어로 이루어진 소설 성경뿐만이 아니라 어려운 고전에서도 치유의 힘을 느낄 수 있다. 좀 더 나가면 영화, 그림, 음악을 통해서도 치유 받을 수 있다.

詩는 무엇이 다를까? 문학 예술 치유를 이야기하면서 자본주의적 논리를 앞세우는 것 자체가 모순이지만, 시는 경제적이며 효과적이다. 시집보다 더 싼 책이나 영화는 없으니 값이 싸다는 의미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짧은 시간에 어디서든지 어떤 상황에서도 능동적으로 치유의 힘을 느낄 수 있는 것이 詩다.

그렇지만 요즘 사람들은 시를 어렵다고만 생각한다. 그건 어려운 시만 우리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비평가들과 몇몇 시인들마저 시를 이해하기 어려운 형이상학적 위치에 놓으려하는 시도의 결과이다. 시집을 보면 뒤편에 비평가들이나 시인의 해설이 붙어있다. 독자는 자신이 아는 만큼 느끼며 시를 읽었지만, 마지막에 붙어 있는 해설을 읽고 절망한다.

해설은 정답이 아니다. 비평가 김태환은 “비평가를 결혼식에서 의무적인 덕담을 건네주는 주례에 견주는 비유법이 대중적 호소력을 얻고, 작품집 뒤의 해설을 책값을 비싸게 만드는 사족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느끼는 독자가 늘어난다. 비평은 인기 없는 문학을 구원하려다 스스로 신뢰를 상실하고, 신뢰의 상실은 비평의 효력을 감퇴시키는 악순환의 고리 속에 빠져든다.”라며 자신의 책 [문학의 질서]에 써놓았다. 이러한 문학과 비평의 불안한 동거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어쩌면 문학이 생겨나면서 일어났던 일이다.

이 책도 해설의 형식으로 쓰였다. 치유를 위한 시가 나오고, 저자가 시인의 언어를 빌려 와 해설을 한다. 그 해설을 맹신할 필요는 없다. 그것은 작가 자신의 치유 경험을 써놓은 것에 불과하다. 치유를 받고 싶다면, 독자 자신의 마음으로 읽어야 한다. 처음부터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읽을 필요도 없다. 저자의 서문을 읽어보고, 차례를 펼쳐서 자신이 좋아하는 시인을 찾아가며 읽던지, 눈길이 닫는 제목의 시를 읽던지, 아니면 자연스럽게 손길이 가는 페이지에서 이야기하는 시를 읽으면 된다. 그 시가 마음에 와 닿지 않는다면 해설을 읽지 말고 다른 시를 찾아라. 어떤 시에서 작은 울림이 생기면 그때 저자의 해설을 읽으면 된다. 저자의 해설과 내 느낌이, 무엇은 같고 다른지를 해설에서 읽으면 된다. 치유가 이 부분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치유 받기 위해서는 작은 울림을 큰 울림으로 만들어야 한다.

외로움을 느낄 때면, “울지 마라 /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이렇게 자신의 입에서 자연스럽게 나와야 한다.

시 한편 읽고 치유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한 번 치유 받고 다시는 상처를 입지 않으면 얼마나 좋을까. 이 책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는 없다. 이 책은 시인 장석주의 힐링 포엠 컬렉션일 뿐이다. 처음 이 길에 들어선 사람에게 좋은 안내서이지만, 궁극적으로 자신의 컬렉션을 만들어야 한다. 2012.05.02

`

-------------------

`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

울지 마라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이다

공연히 오지 않는 전화를 기다리지 마라

눈이 오면 눈길을 걸어가고

비가 오면 빗길을 걸어가라

갈대숲에서 기슴검은도요새도 너를 보고 있다

가끔은 하느님도 외로워서 눈물을 흘리신다

새들이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고

네가 물가에 앉아 있는 것도 외로움 때문이다

산 그림자도 외로워서 하루에 한 번씩 마을로 내려온다

종소리도 외로워서 울려 퍼진다

``

책에 처음 나오는 시 ([수선화에게], 정호승, 열림원, 1998 중에서)

------------------------

자기연민

`

나는 결코 야생의 것들이

자신에게 미안해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작은 새는 가지에서 얼어죽어 떨어질 것이다

자신에게 미안하다는 생각(은) 추호도 하지 않으며,

`

D.H 로렌스 [제대로 된 혁명] 중에서.

-------------------------------------

 

[네이버 북카페를 통해 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된 서평입니다.

본 서평은 작성자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