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로 여름에 열려 온 {맑시즘Marxism} Forum과 함께 국내 양대 Marxist 축제로 꼽히며 격년 봄에 개최되는 가장 초정파적이며 자유롭고 개방적인 {Marxcommunnale}가 아래와 같이 열리오니 
초심자를 비롯한 여러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아래의 각 Poster들을 click하면 확대되고, 확대 image를 다시 click하면 원복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선 전초전 4월 재보선에서 우파가 회복할 것인가?



4월 7일 재·보선이 한 달 반 정도 남았다. 이 선거는 문재인 정부의 정치 위기 속에서 치러진다.

내년 대통령 선거가 3월 초에 치러질 예정이므로 올해 하반기는 본격적인 대선 정국으로 바뀌어 갈 것이다. 이를 반년쯤 앞두고 한국의 제1, 제2 도시인 서울과 부산의 시장을 뽑는 것이다. 두 도시를 합하면 전국 유권자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서울시장은 한국에서 선출직으로는 대통령 다음인 ‘넘버2’이고, 국무회의 구성원이다. 부산은 한국의 제2도시일 뿐 아니라, 문재인의 정치적 고향이자 핵심 기반이 자리 잡고 있는 도시이다.

두 곳 다 민주당 소속이던 전임 시장의 성추문 문제로 보궐선거가 치러진다. 두 곳의 선거 결과는 상징성이 강해 대선 결과를 예측하는 가늠자가 될 것이고, 역으로 그 결과가 대선 정국과 대선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와 민주당의 지지율은 취임 후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여름 이후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 통치 누수 현상도 슬슬 본격화되고 있다.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는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보다 10~15퍼센트 높다.

따라서 이번 재선거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평가 선거이자 대선 전초전 성격을 띤다. 주류 정당들이 사활을 거는 까닭이다.

여기서 매우 중요한 점은, 경제 부처나 검찰 등의 보수적 정부 관료들이나 기업인들의 공격과 압력 때문에 문재인 정부가 위기를 겪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는 것이다. 물론 노동운동과 진보·좌파가 무리한 요구를 해 정부를 곤란하게 한 것도 아니다. (이들은 오히려 자제해 온 편이라는 것이 두루 알려져 있다.)

문재인은 집권 초 이런저런 개혁 약속을 했지만, 오래지 않아 약속을 폐기했다. 실행했던 약소한 개혁들도 도로 회수해 갔다. 그런 식으로 차곡차곡 개혁 염원을 배신한 탓에 위기를 자초한 것이다.

따라서 첫째, 우파의 반격 때문에 문재인 정부가 약화된 것이므로 우파의 재집권(이라는 반동)을 막기 위해 문재인 정부를 방어해야 한다는 주장은 틀렸다.

둘째, 문재인의 위기가 특히 심각했을 때 진보정당들과 노동운동의 지도부들이 문재인 편을 들거나 침묵한 것이 우파의 부상을 막지 못했다는 것이다. 오히려 우파는 문재인을 두들겨서 그 왼쪽까지 침묵시키는 일석이조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문재인 포퓰리즘의 실체와 위기

민주당은 매우 일찍부터 자본가 계급의 정당이었다. 비록 꽤 오랫동안 자본가 계급의 제2선호 정당이었지만 말이다.

민주당은 2016년부터 4회 연속으로 전국 선거에서 이겼다. 특히,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에서는 유례없는 압승을 거뒀다. 문재인은 정부 초기에 대대적인 정경유착 수사와 재판 덕에 기업인들과의 관계에서 우위에 설 수 있었다. 선출되지 않은 국가기구들도 대체로 청와대의 통제 하에 있었다. 친문 진영의 엄살과 달리, 그리고 이전 민주당 정부와 다르게, 문재인 정부는 단 한 번도 우파에 포위된 약체 정부가 아니었다.

민주당은 마음 같아서는 독일의 기독민주당 같은 정당이 되고 싶어 한다. 제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70여 년의 기간 중 50년을 집권해 온 그런 정당 말이다. 그러나 한국 현실에서 이는 비현실적인 바람이므로 적어도 미국 민주당처럼 동등한 선호도를 누리는 지배계급 정당으로서 정권을 주고받는 양당 체제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선호도와 관계없이 민주당은 지배계급 정당으로서 한국 자본주의를 수호하는 정당인 것은 명백하다.

물론 민주당은 포퓰리즘 전략을 추구해 왔다. 특히, 박근혜 탄핵 이후 지배계급으로서는 민주당을 통해 노동운동의 전진을 억제해 정치 안정을 이뤄야 했기 때문이었다. 노동자들의 개혁 염원을 달래어, 자제할 줄 모르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운동을 건설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임무였던 것이다.

따라서 문재인이 개혁 배신으로 위기를 겪게 된 것은 중도파 포퓰리즘이 실패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 중도 포퓰리즘의 실패를 우파가 이용하느냐 좌파(온건 좌파인 진보파를 포함함)가 이용하느냐가 관건이다.

주류 정치권과 언론, 자유주의 정치 평론가들은 포퓰리즘을 대중을 감정적 악선동으로 동원해 중도 좌우를 아우르는 온건한 균형을 위협하는 위험한 불장난 쯤으로 싸잡아 정의한다.


국민적 통합

포퓰리스트들이 기성 의회정치 시스템을 공격하는 것은 그 시스템의 수혜자이자 운영자들인 주류 정당들을 불신하는 대중 정서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래서 주류 정치는 포퓰리스트들이 국민의 분열과 불신을 조장해 정치 양극화를 악화시키고 의회정치 시스템을 결국 위협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포퓰리스트들이 극단적이어서 정치적(심지어 문화적) 다원주의도 위협한다고 본다.

진중권 등 문재인 비판자들의 일부는 이런 서구적인 포퓰리즘 규정을 받아들여 친문 진영을 트럼프식 우익 포퓰리즘과 똑같이 취급한다.(그런데 좌파 노동단체 사회진보연대도 비슷한 포퓰리즘 개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포퓰리즘의 서사 구조가 비슷하다고 해도 좌파 포퓰리즘이나 우익 포퓰리즘, 문재인 같은 중도파 포퓰리즘은 사회적 기반이 다르며, 전략도 다르고 그 논리 구조를 채우는 구체적인 정치적 내용도 다르다. 사실 좌파 포퓰리즘을 표방했다가, 선거에 성공하면서 온건한 중도좌파 정당으로 변해 가는 경우도 있다.(예를 들어, 스페인 포데모스)

포퓰리즘 담론이 사회 내 적대를 내세운다고 해도 소수 지배층에 대항할 존재로 설정된 대중(민중)과 관련해서는 통합을 추구한다. 계급 문제를 희석시키는 나름의 국민적 통합 전략이다. 이것이 혁명적 마르크스주의의 분석에서 포퓰리즘을 일종의 계급 연합 전략이라고 규정하는 이유이다.

트럼프의 우익 포퓰리즘을 예로 들면, 트럼프주의는 트럼프와 토머스 배럭, 스티브 파인버그, 리처드 르프락, 하워드 로버 같은 일부 억만장자 개인들이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추진한 주류 정치)로 피해를 본 후진적 노동계급 부분이나 서민층 중간계급을 쇼비니즘과 인종차별 같은 의제들을 동원해 묶어 내려는 시도이다. 이는 이미 존재하는 정치적 양극화에 편승한 것이자 양극화를 촉진하는 성격을 띤다.

반면 문재인과 민주당의 중도파 포퓰리즘은 지배계급의 자유주의적 정치세력으로서 좌우를 견제해 정치 양극화를 억제하고, 기업주들을 위한 정치 안정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보정당들과 노동운동 지도자들을 비판하기보다 정부의 협력 세력으로 포섭한다.

문재인은 진보계 운동 지도자들과 과거부터 연관을 맺어 왔다. 이들 다수는 2012년 대선에서도 문재인의 집권을 희망하고 지지했다. 문재인은 이들과의 정치적 거래를 통해 신뢰를 얻어 내어 대화로 끌어들이고 아래로부터의 투쟁을 억제하려고 한다. 이 전략의 성공은 진보계 지도자들이 노동자들에게 양보를 잘 설득하는 데 달려 있다.

문재인 식 포퓰리즘 전략의 핵심은 부패한 전통적 집권세력을 배제한 국민적 연합이다. 그래서 집권 초 반부패를 구호로 내세워 박근혜를 구속하고 적폐 수사를 추진했다. 이명박도 구속했다. 그러면서도 문재인 정부는 좌파를 위축시키려고 심지어는 절반쯤 우군이었던 정의당도 무지하게 괴롭혔다.

조국 수사를 둘러싼 갈등에서 여권이 펼친 프레임도 구악인 부패 검찰의 정권 위협이었다. 이것이 핵심 지지층과 진보계 지도자 다수에게 먹혔던 것은 포퓰리즘의 효과였다. 흥미로운 것은 윤석열 측의 프레임도 정권 부패 수사, 즉 ‘반부패 민주주의’였다. 그래서 조국 이후 검찰과의 갈등은 국가기관끼리의 갈등이라는 점뿐 아니라 문재인 식 포퓰리즘의 위선을 드러내는 계기가 된 것이다.(윤석열 측의 정권 핵심부 수사를 지지하며 적극적인 반문재인으로 전환한 서민 교수와 진중권 등 지식인들이 문재인 정부를 반민주적이라고 비판하는 이유다.)

이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문재인 정부를 좌파들조차 문재인이 검찰 개혁, 공수처, 남북 평화, 반일 등을 제기하거나, 저명한 운동권 인사(가령 윤미향)를 영입하면 대부분 비판을 주춤하거나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경우를 반복해 왔기 때문이다. 일부 좌파는 ‘정권이 아니라 체제를 바꿔야 한다’는 식의 추상적인 논리로 진정한 쟁점을 회피하기도 했다.

문재인은 임기 초에 박근혜가 실행한 쉬운 해고와 임금 삭감 등 양대 지침과 성과연봉제를 폐기했고, 최저임금 인상 등 양보를 하며 노동계 정치·조합 지도자들을 대화로 유도했다. 남북정상회담도 포퓰리즘적 지지를 얻는 소재로 잘 써먹었다.

그래서 2018년 말 (기업주들의 탐욕스런 볼멘소리 속에서) 탄력근로제 개악 등 노동개악을 추진하다가, 그 여파로 민주노총 김명환 집행부의 노사정 합의 노선이 2019년 초 민주노총 임시대의원대회에서 부결됐을 때 문재인 정부는 상당한 타격을 받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문재인의 포퓰리즘 전략은 이럭저럭 대중 투쟁을 어느 정도 억제해 왔다. 이런 투쟁 억제가 유지되는 조건 하에서 기업주들도 문재인에게 지지를 제공해 왔다. 그 조건이 아직 유지되고 있어서 문재인이 완전히 나락으로 빠지지는 않은 것이다.

우파 야당에 대해서는 아직 진보 염원 대중의 반감이 크고, 문재인의 줄타기가 무너지면 아래로부터의 불만이 투쟁으로 표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칫 경솔하게 행동했다가는 자본가들 자기네에게 필요한 정치적 안정을 해칠 위험이 아직 있는 것이다.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위기를 겪는 대중에게 조심성 없이 군 통치자들 때문에 미국,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지에서 대중 반란이 일어났었다.


계급 타협

최근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코로나 양극화에 대응해 (자발적) 이익 공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코로나 위기로 성장한 산업의 하나인 배달 분야의 사실상 독점기업인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이 자영업자들과 상생 협약을 맺고 상생협의체를 꾸리기로 하고, 이를 널리 홍보했다.

동시에 배달의민족 창업자이자 현 이사회 의장인 김봉진은 1조 원이 넘는 개인 재산의 절반을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했다. 그 직전에 IT 대기업 카카오의 이사회 의장인 김범수는 10조 원 재산 중 절반을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당대표인 이낙연은 이익공유제가 가능하다는 희망을 이런 움직임에서 얻었다고 하고, 곧장 노동계에 사회연대기금 입법과 기금 조성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사회적 대타협에 노동계도 양보로 화답하라는 것이다.

2월 18일 문재인은 LDS(최소잔량주사) 주사기를 개발한 공장에 들러, 이를 개발한 중소기업들을 극찬하면서, 여기에 삼성이 도움을 줬다고 추켜세웠다. 코로나 위기 국면에서 기업들의 구실을 강조함으로써 사회의 나머지에 국민 통합을 기대하는 포퓰리즘적 언행을 하는 것이다.

한편, 문재인 정부 하에서 자본가들과의 연결 통로도 소폭 재편됐다. 전통적으로 정권·정치권과의 통로가 돼 왔던 전경련이 약화되고 대한상공회의소가 부상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최태원이 새 회장을 맡고 전통적 재벌들뿐 아니라 김범수, 김택진 등 신흥 IT 자본가들을 새 임원으로 영입했다. 이전 정부 때도 대한상의(두산 박용만 대표 체제)는 우파 정부뿐 아니라 야당인 민주당과도 협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현 정부 하에서는 박용만이 주도해 정부에 요구한 ‘규제 샌드박스’ 따위의 선물을 여러 개 받았다.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위기 모면용으로 문재인은 노동운동과 사회운동의 요구였던 이른바 공정경제 3법과 중대재해법을 통과시켰다. 재계는 (소극적으로) 반발했지만, 최종 통과된 법안들에서 실리를 챙겼다.

그러나 제스처와 미약한 양보로는 한국이 처한 경제 위기와 지정학적 불안정 속에서 비롯하는 기업주들의 요구와 우파의 압력을 문재인 정부가 이기기 어렵고, 개혁 염원을 포섭할 수도 없다. 그래서 노동개악뿐 아니라 한일위안부 합의 번복 약속 폐기, 세월호 진상규명 약속 폐기 등 지지층을 또다시 실망시키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개혁 배신과 부패, 위선에 대한 환멸이 커지고, 코로나로 인한 경제적 양극화 심화가 속도를 높이면서 문재인의 위기도 심화되고 있다.


최근 위기의 성격과 선거 판세

민주당은 재·보선 국면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인 신현수의 사표 문제로 난관에 봉착했었다. 봉합됐지만 상흔은 깊고, 비슷한 성격의 다른 갈등도 예상된다.

신현수는 검사 출신으로 퇴직 후 (악명 높은) 김앤장에서 일했고, 그 과정에서 노조 파괴 공작을 벌인 갑을오토텍 사측의 변호인도 했다. 그는 단순한 검찰 출신 인사가 아니다. 노무현의 청와대에도 파견돼 사정비서관으로 근무했고, 문재인의 두 차례 대선 출마 때 모두 선거캠프에 참여한 친노·친문 인사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가정보원 기조실장도 지냈다.

이런 인물이 검찰 인사 문제로 사의를 표했었던 것은 정권 중심부에서 검찰과의 관계, 레임덕 대응 문제로 갈등이 심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여러 엇갈린 보도가 있지만 박범계 등 강경파들은 정권 주요 인사들에 대한 수사가 계속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환경부장관까지 구속되는 마당에 검찰 단속을 계속 밀어붙여야 한다는 입장인 듯하다. 조국, 백원우, 윤건영(차명계좌) 등 측근들뿐 아니라 친문 진영의 후보들도 검찰 수사 타깃이다. 옵티머스 건으로 이낙연, 울산시장 선거 개입 건으로 임종석 등이 수사망에 포착돼 있다. 임종석은 이낙연으로 어렵다 싶으면 친문과 호남 기반을 계승해 이낙연 자리를 대체할 카드 중 하나다. 이낙연 연루 의혹이 터진 옵티머스 수사를 맡고 있는 서울남부지검 지검장 자리에 윤석열 징계에 1인 다역으로 앞장섰던 심재철을 보낸 인사의 의도는 뻔한 것이다.

아마도 신현수는 지나친 강경 기조가 오히려 위험도를 높이고 판을 키워, 자칫 한 방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보는 듯하다. 몇 명 희생하는 수준에서 검찰과 타협하는 것이 정권 핵심부 보호에 낫다고도 본 듯하다.

정권 말기로 가고 레임덕 위기가 깊어질수록 믿을 수 있는 사람들, 측근들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서 측근들 일부를 내칠 수 없기 때문에 이 갈등이 내분으로 번진 듯하다.


지금의 선거 판세

조국 임면 국면에서, 정부 지지율이 떨어지고 우파가 회복하는 듯하다가 조국 사퇴 후 우파 지지율이 도로 제자리로 돌아가고 정부 지지율이 소폭 회복됐었다. 이는 조국의 위선과 이율배반에 분노한 다수가 우파에 부화뇌동해서 그런 것이 아님을 보여 준다. 문재인 임기 내내 우파는 지지율이 회복되다가 도로 떨어지고를 반복해 왔다. 문재인에게도 실망했지만 우파는 여전히 싫어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다.

이런 배경 속에서 반(反)문재인과 중도를 표방한 안철수가 서울시장 선거에서 불안한 1위를 고수 중이다. 가상 양자 대결에서도 대체로 우세하다. 가상 3자 대결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에게도 승산이 있다.

그래서 지금 민주당은 ‘중도’를 표방한 안철수와 우파인 국민의힘이 단일화하지 않는 것, 우파가 반사이익을 얻을지 모른다고 걱정해 문재인에 등을 돌렸던 일부가 우파 반대 투표를 하는 것, 이 두 가지에 기대를 걸고 있다.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1980년대 좌파 학계 출신이자 나중에 이명박(MB) 측근인 박형준이 부동의 1위를 달리고 있다. 민주당 후보는 김영춘이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출신으로 김영삼 정부의 청와대 정무비서관을 지내고 노무현 당으로 옮겨와 서울에서 재선을 하고는 부산으로 지역구를 옮기고 문재인 정부의 해수부 장관을 하며 노무현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 그를 당선시키려고 민주당은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는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 민간인 사찰 의혹을 재점화해서 박형준에게 타격을 주려고 한다.

정의당은 불출마를 결정했고, 진보당은 정의당보다도 더 존재감이 없어서 이번 재·보선에서 진보적 목소리는 별로 대변될 것 같지 않다.


우파가 반사이익 얻을까?

만약에 재·보선 승리 가능성만 생각해 안철수로 반문재인 보수 단일화를 한다면 국민의힘은 제1야당인데도 대선 전초전에 후보를 못 낼 수도 있다. 이런 국민의힘이 이번 선거에서 회복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을까?

현재 야권의 쟁점은 후보 단일화 문제와, 국민의힘 내부에서 강경보수 색깔을 어떻게 가릴까 하는 문제다.

강경보수론은 올해 1월 나경원의 “우파 짜장면” 발언으로 시작됐다. 짬짜면을 시켜도 둘을 한 그릇에 섞지 않고 각각 내주므로, 중도라는 이름으로 진보/보수 경계를 흐리지 말고 (좌파가 짬뽕이라면) 우파는 짜장면을 맛있게 제공할 생각을 해야 한다는 논리다. 짬뽕에 질린 국민이 짜장을 선택할 거라는 것이다.

오세훈과 오신환은 강경보수로는 떠나간 민심을 잡을 수 없다며 이런 주장을 반박했다. 특히, 지난 총선 참패가 바로 황교안-나경원 지도부가 태극기 우파 세력과 연합한 노선을 걸은 것에 대한 국민적 심판의 결과였다는 주장이다. 그러자 나경원은 2월 초 노무현의 사람이자 삼성 임원 출신인 진대제를 영입하고 “나경영” 소리를 들어가며 대대적 복지지출 공약을 내걸었다. 선거를 앞두고 부동층 얻기 노력을 하는 것이다.

우파 야당이 반사이익을 얻다가 미끄러지기를 반복하는 것은 부패하고 경제 위기 고통을 전가했던 강성우파 정부 시절에 대한 반감이 아직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부산시장 선거에서 앞선다지만 박형준은 친박도 강경보수도 아니다. 여론조사에서 정권 교체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더 많지만, 지금 우파의 재집권이 환영받는 분위기는 아니다. 차기 대선 지지율을 보면, 비친문이고 더 개혁적으로 평가돼 온 이재명이 1위를 달린다. 국민의힘 후보들은 지지율이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 우파 지지층은 중도파처럼 되기에 반발하고 중도층은 아직도 국민의힘을 싫어한다. 그래서 ‘중도화’한다고 탈당했던 바른미래당이 실패하고 다들 복당했던 것이다. 정권을 잡던 시절 전통적 지지층이 중도우파와 강경우파로 분열된 조건 하에서 이를 아우를 지도자도 없고, 지금은 고만고만한 기회주의자들이 문제 해결을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선 후보 선출을 멀찌감치 11월로 미룬 것도 이런 고민 때문일 것이다. 지난해 총선 때는 신흥 재벌 격인 엔씨소프트의 김택진을 영입하려고 했는데, 올해는 7월에 검찰총장에서 물러나는 윤석열을 영입할 시간을 벌려는 계산일지도 모르겠다.

특히, 우파 야당이 어려움을 겪는 데에는 지난해 총선 때 재난지원금 논쟁(이나 이후 재정, 소득 지원 논쟁)에서도 지원에 인색한 입장을 고수하다가 표를 잃었다. 그럼에도 부산시장에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하고, 서울에서 민주당이 패한다면, 국민의힘과 우파가 강화되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다. 수십 년을 통치해 온 세력이고 지배계급의 전통적 선호 정당이었으므로 그들을 우습게 봐서는 안 된다.

게다가 경제 위기 지속이 사회적 양극화를 촉진하고 있어서 이것이 정치적 양극화로 이어질 것이고, 이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우파는 다시 성장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노동자 운동의 대응이 중요하다.


노동운동, 문재인 정부와 확실히 결별해야

이런 배경에서 우파가 반사이익을 얻을지 모른다고 걱정해, 문재인 정부에 등을 돌렸던 사람들의 일부가 “미워도 다시 한 번”의 심정으로 민주당에게 다시 표를 던질 수 있다.

이를 이용하려고 문재인은 다급하게 왼쪽 깜빡이를 켜고 있다. 2월 17일 문재인은 고(故) 백기완 선생의 빈소에 직접 조문을 가 진보연하는 제스처를 취했다. 국가정보원을 동원한 이명박 정부의 정치 사찰을 폭로해 진보계의 위기감도 자극하려 한다.

그리고 정부가 나서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문재인이 직접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대선 당시 공공부문 일자리를 수십만 개 창출하겠다던 공약은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질 정도로 흐지부지돼 있었다. 또한 4차 재난지원금의 액수와 범위를 늘려서 지급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진보계가 이반하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지, 실제로 진보적 개혁을 추진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다시 기대를 가졌다가는 환멸만 더 커질 것이다.

안타깝게도 노동계 대표 조직들(민주노총·정의당·진보당)의 지도부들은 문재인 정부에 대한 실망을 진보 쪽으로 가져오려는 좌파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정치적 존재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진보정당들의 행보에는 객관적 위기에 걸맞은 좌파적 과감함과 대안적 호소력이 별로 없다. 조국 국면에서 실망을 시킨 뒤로는 특히 그렇다.

물론 아래로부터의 투쟁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는 것이 정의당(과 진보당)의 정치적 존재감을 미미하게 만들지만, 그 당들의 온건한 노선이 또한 이러한 상황을 변화시키지 못하게 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특히, 선거 영역에서 노동계를 대표해 온 정의당은 일종의 좌파적 포퓰리즘 노선으로 문재인 정부와 협력해 개혁을 얻겠다는 기존 노선에 더해, 미중 갈등이라는 국제질서의 불안정, 경제 침체,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초유의 위기의 속에서 체제 안정에 협조해야 한다는 압력에 크게 취약해진 듯하다. 체제 안정에 협조하는 것과, 대중의 불만과 개혁 염원을 대변하는 것 사이에서 동요하면서 이도 저도 아닌 행보가 된 것이다.

그래서 정의당이 재·보선에 후보를 내지 않기로 했지만 선거 판세에는 아무 영향도 없다. 진보당은 후보를 냈지만, 마찬가지로 판세에 영향을 못 주고 있다. 진보당도 문재인 정부 비판을 삼가거나 절제해 왔다. 진보당은 선거 부정으로 재선거가 치러지는 울산 남구청장 선거에 후보를 내고 독자 완주를 호언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민주당 지지율이 뚝 떨어졌기 때문에 민주당과 단일화하면 더 손해를 볼 것이다.

그래서 이번 재·보선에서 정부에 대한 실망이나 우파에 대한 반감은 정치적으로 표현되기가 더 어렵게 됐다. 그럼에도 객관적 상황 때문에 기회는 다시 올 것이다. 문재인과 우파 야당 모두 반사이익을 기대하며 권력을 지키거나 쟁취하려고 한다. 위기 때문에, 공식정치를 주름잡던 양당이 실은 매우 초라한 처지인 것이다.

투쟁에 나설 자신감을 고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올 상반기의 선거로 그렇게 하기는 어렵게 됐지만, 기회가 없는 것은 아니다. 우파 야당의 고전을 보면, 대중이 진보를 참칭한 문재인에게 환멸을 느끼지만 곧장 우파 지지로 이동한 것은 아니다.

노동자 운동이 문재인 정부의 개혁 배신에 대한 환멸감과 분노를 적극 대변하며 문재인 정부에 확실히 저항해야만 우파의 부상에 맞설 수 있다. 서두의 말을 반복하자면, 우파를 두려워해 문재인 편을 들거나 침묵하면 오히려 우파의 부상 가능성을 키운다. 우파 측의 문재인 비판으로 그 왼쪽까지 침묵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진보·좌파와 노동운동은 문재인 정부와 확실히 결별하고 노동계급을 단결시키는 정치를 고무하면서 팬데믹과 경제 침체라는 이중의 위기에 맞설 대중적 계급투쟁에 나서야 한다. 이 점에서 혁명적 좌파의 존재가 중요하다. 이들이 막중한 과제를 전진시키려면 기회주의와 종파주의를 넘어서야 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https://wspaper.org/article/25234

현재까지 제출된 가장 단단한 대안적 논변 중 하나로 확인되어 그에 대한 찬반여부와 무관하게 일단 논의 출발의 가치는 충분하므로 게재키로 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하는 몇 년 전 한 symposium에서부터 주장했던 내용인데, 근래 Bitcoin을 중심으로 한 암호화폐류의 내재가치가 zero라고 용감하게 역설하는 어설픈 소위 전문가분들이 하도 많아서, 미루다 올립니다.


일단 암호화폐류를 정말 곧이 곧대로 화폐 그 자체나 digital 금으로 보는 시각은 매우 초보적인 첫인상에 불과하고 이런 관점에서는 실물 금이나, 적어도 꽤나 오랜 역사 속에서 금태환성을 유지해왔었고, 현재도 최소한 이를 대리보충하는 외부 담보력에 기반한 화폐에 비하면 실체가 없기 때문에 내재적 가치가 zero라는 결론은 매우 자연스런 논리전개가 됩니다.


그러나 ( [1] ) 암호화폐의 본질은 그 자신의 주장과 달리 화폐라기보다 21세기 (신종) 증권에 가까우며, 역사 속에서 주식이, 이전까지는 시장에서 결코 거래될 수 없었던 기업과 회사 자체를 (분)절((/)파)편화하여 상시 거래가 가능하도록 유동화시킨 제도적 장치의 발명이었다면, 암호화폐의 발행은 technology와 (그에 기반한) network을 결합시킨 system 일반과 (특히 경제)공동체 자체를 (분)절((/)파)편화하여 유동자산화할 수 있는 강력한 장치인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는 본질과 실체에 대한 인지적 혼란과 금융공황이라는 정세적 국면, 잠재적 미래가치의 선반영 등등의 복합원인들로 인해 dot com bubble과 동일한 현상이 극단적으로 재현되고 있긴 하지만, 암호화폐 그 자체는 분명한 내재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측정, 계산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원리적으로 화폐 일반의 내재가치는 결국 (경제)공동체에 대한 주식 평가로 정의될 수 있고, 법정화폐도 거칠게는 국부총량[2]÷화폐발행량이라는 내재가치를 표현하는 근원지수에 기반하여 국가신용도÷총통화량을 중심으로, 매 시기의 국제적 수요-공급(량) 관계와 국제역학 및 국가정책 관계에 간섭되어 변동하는 가격함수로 환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암호화폐도 결국 이러한 방식으로 내재가치에서 출발하여 실제 가격에 이르는 지수체계가 개발될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암호화폐의 내재가치는 Blockchain technology에 기반한 각종의 구체적 service들이 개발-구현되어 나아가면서 참여, 이용하는 경제주체들의 범위와 규모가 계속 확대하고 이 network(과) system 상에 포괄, 축적되는 (digital) 자산이 늘어날수록 이에 비례하(여 계속 증가해 나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대중적으로 인지된(, 즉 인지도 있는) 암호화폐의 발행총량과 통화량이 공급을 구성하면서 이에 반비례하는 가격을 형성해 나갈 것입니다.




[답변으로서의 확장적 논의들]_________________________


이상에서 특수증권으로서의 화폐와 일반증권 이론을 통합하는 공통원리에 대하여 간략히 고찰하였는 바, 이후 점차 내재가치를 부정하고자 하는 주장들이 다시 반복되는 듯해 이에 대한 상술을 추가코자 합니다.


1.

우선 화폐가치에 기반한 Inflation이론은 보수 경제학의 입장이고, 진보 경제학은 수요-공급에 기반한 물가이론이(어야 한다)라는 주장이 있었는데, 이는 진보 대 보수의 관계라기보다 엄밀히는 총체적 복합 현상의 단면들에 해당하기 때문에 양면 모두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으면 물가변동현상이 완벽하게 해명될 수 없고 이는 보다 근본적 차원에서 가격현상과 가치개념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성립하는 관계입니다.


따라서 먼저, 정밀한 물가변동식은 다음과 같이 기술되지 않으면 안되고

                                                                                

   현재 물가(t) = 직전 물가(t-1)  X    상품가격(변동률(Δt))  

                                                   화폐가치(변동률(Δt))

         


                                                     현재 상품가치(t)  

                    = 직전 물가(t-1)  X      직전 상품가치(t-1)   

                                                    현재 화폐가치(t-1)  

                                                    직전 화폐가치(t)



여기서 상품은 주로 고용과 임금에 의해 변동규정되는 수급 관계의 함수인 실물상품과, 금리, 대출 등 통화 및 재정 정책에 의한 화폐 조정의 직접적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금융)자산상품으로 양분되며, 화폐 대 상품, (금융)자산상품 대 실물상품으로 분리된 (시장)영역 간 경계와 불균등 분포, 그리고 확산 속도를 저해하는 점도라는 (복합)시장 물성의 저항값 때문에, 그리고 이에 더하여 지금까지의 고용불안과 근로소득 및 실질임금 저하가 유발하는 실물상품영역에서의 독립적 deflation 경향 누적이 복합되어 각종 완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곧바로 즉각적 Inflation으로 직결되지 않고 완충과 지연효과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일반원리를 부분적으로만 포착해낸 것이 바로 MMT인 것입니다.




이하는 일종의 학술적 기밀누설에 해당하는데 보다 근본적 차원에서, (보수경제학과 Marxist 정치경제학(비판) 체계가 대립하지 않는 것은 전혀 아니지만,) 널리 퍼진 흔한 오해와 달리 각각의 가격 및 가치이론은 별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과 마찬가지 원리로 시장현상의 일면들만을 반영할 뿐인데, 단적으로 집약해서 효용/사용가치가 수요곡선을, 교환가치가 공급곡선을 형성합니다.

단일상품에 대하여 시장에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주관적) 효용/사용가치 평가를 '가격 또는 가치 X [구매의사] 동의자 수' 직교좌표계 상의 인구 분포 곡선으로 나타내면  대개 4차 W곡선의 제1 극저점에서 시작해 제2 극저점에서 종결되는 구간 곡선으로 나타나는데 동의가치 이하 가격구간에서는 모두 기꺼이 구매의사를 갖기 때문에 이것을 '역'누적 적분하면 구간 내에서 2개의 극점과 3개의 변곡점을 갖는 2단 역S자형 단조감소 5차 곡선 graph가 되고, 정반대로 동일상품에 대하여 교환가치의 엄밀한 정의인 SNLT를 공급자별 필요노동시간 INLT로 분해해 분포 곡선으로 나타내면 역시 유사 형태의 4차 W곡선으로 나타나는데 이들은 이상가격구간에서 모두 기꺼이 공급의사를 가지므로 이를 순누적 적분하면 이번에는 2개의 극점과 3개의 변곡점을 갖는 2단 S자형 단조증가 5차 곡선 graph가 됩니다. 이 pattern 쌍을 경험적으로 매우 단순화한 직감적 모형이 바로 2차 포물곡선이 교차하는 수급 곡선이었던 것이고, 따라서 SNLT는 상품에 대한 평균이윤율을 결정하는 본원적 내재가치이지 수시로 변동하는 현상적 시장가격을 완전히 결정하거나 설명하는 유일요소는 아닌 것이며, 이게 바로 가치와 가격 간에 괴리가 발생하여 그간의 무수한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근본 원인이었던 것입니다.



2. 암호화폐류의 실체와 본질 문제

일단 암호화폐 개발자들 사이에서 coin과 token, 증권 등 용어들에 대하여 경영경제학이나 상법과는 다른 사적 재정의 체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얕게 접근하시는 분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키는데 







3. 근대 금융 System을 붕괴시킬 Postmodern Digital 대안 경제 System들


Metaverse 대안 경제 공동체/System들의  폭발적 설계(와) 실험


자동차업계에서의 자율주행차에 해당하는 탈중앙, 탈주체화된 탈근대 무인 금융 System들


Coin은 증권에 가깝지만, System 자체는 은행(과 모든 등기소, 중개소 )등을 대체할 거대한 기록관리체계이자 Cloud Data Center이며 국제 Computer System이기 때문에 이것이 최저 물적 청산 가치를 형성, 지탱하므로 결코 내적가치 zero가 될래야 될 수 없는 구조임.

 

Bitcoin 가격은 왜 이렇게까지 고공행진을 계속하는가? 

  : Swiss 비밀금고(/)은행에 해당하는 Bitcoin System





4. 암호화폐류 투자의 위험성


사소한 사기피해들에 비하여 암호화폐류를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최대 risk는 바로 경제(통제)권력을 끝까지 독점하고자 하는 (일부) 수구반동적 근대 국가( 체계)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물론 일부 암호화폐 개발/옹호 세력들은 의도적으로 증권화를 지양하고 화폐화를 추진하기 위해 노력하고는 있으나


[2] 여기서 국부 개념의 핵심 요소는 당연히 Niccolo MACHIAVELLI로부터 Baruch (de) SPINOZA의 potentia/puissance와 conatus, 그리고 Adam SMITH와 David RICARDO에서 Marxism에 이르는 위대한 전통에 따라 '노동력'으로 보는데 일말의 이견이 없지만, 또한 장차 생산력으로서의 (경제적) 국력과 생산물(, 특히 국고)로서의 국부를 구분해 재통합하는 체계도 일고해볼 만한 가치는 있다고 사료됨. 




[작성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0. 
이 글은 반론이라기 보다는 최근 제기된 작은 견해차들에 대한 해명서에 가까운 것으로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1. 철학사의 미래











   심심찮게, 매우 비슷한 통찰을 보여주는 세계적 지성들을 만나게 되고, 대개 그 때의 감정은 확신과 연대감에 기인하는 반가움이지만, 이 책은 당시 마치 생각을 그냥 통째로 도둑맞은 것처럼 너무나도 똑같은 나머지 당혹감에 압도되어 서평도 작성하지 못했었다.

그러나 이 책은 미래 철학사의 (새로운) 방향 전환을 예시하는 매우 중요한 책이자, 내가 이 계열의 지적 작업 전통을 버릴 수 없는 결정적 사유인 동시에, 그래서 여기에 무지하게 되면 기계와 Data, 산업혁명과 Data혁명 등을 단순 이분법으로 대립시키면서 (sub-/post- indivdual quantum(ic)) Data혁명이 단지 채굴[data-mining]기술과 채굴기계혁명에 의존하는 후기산업혁명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간파해내지 못하고 역사변동 및 시대전환의 방향들과 scale을 완전히 오독하게 되어 득한 혼란에 빠져버리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그러한 종류의 척도 이론에 해당한다.

Data(산업)혁명을 마치 산업혁명을 대체하는 혁명으로 과대평가하게 되면 다음 위기에 이어질 5차 산업혁명이 생화학기계[1] 혁명으로서의 Bio(-pharmaceutical) revolution이 될 것이라는 사실도 예견은커녕 도저히 설명조차 할 수 없게 될 것이다.  



rf. 

















2. 기업이 주도하는 혁명??  Data 자본주의 Utopia라는 환상 

  ;위로부터의 수동(사회)혁명의 본질 대 아래로부터의 주체적 근원혁명의 관계






























O'NEIL, Cathy('2016). Weapons of Math Destruction: How Big Data Increases Inequality and Threatens Democracy. NY: Crown Publishing Group;

>국역: 김정혜 ('2017) [[대량살상수학무기 :어떻게 빅데이터는 불평등을 확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흐름출판;


SHAFFER, Kris ('2019). Data versus Democracy How Big Data Algorithms Shape Opinions and Alter the Course of History. Apress;

>국역: 김선 ('2020) [[데이터, 민주주의를 조작하다 :빅데이터 알고리즘은 어떻게 여론을 만들고 역사의 경로를 바꾸는가]] 서울: 힐데와소피;




3. 객체지향에 관한 오독들

  ; 오직 사소설만이 존재할 이 신물나는 개인주의 시대에 맞서기 



66

어떤 식으로 자연의 문제가 정신 안에서 해소되는지 설명하는 자연철학과 어떤 식으로 정신의 문제가 자연 안에서 해소되는지 설명하는 초월적 철학은 분명히 상반된 과제를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일한 체계를 구축하며, 이 체계를 바탕으로 ‘보이는 정신’인 자연과 ‘보이지 않는 자연’인 정신이 ‘하나의 전체hen kai pan’로 통합된다. 이것이 바로 셸링의 몇 안 되는 완성작 가운데 최고의 걸작으로 간주되는 『초월적 관념주의[2] 체계System des transcendentalen Idealismus』(1800년)의 핵심 내용이다.

이 저서에서 셸링은 정신의 진화사에 관한 생각을 발전시켰다. 이를 모형으로 구축된 것이 바로 헤겔의 변증법이다. 셸링에 따르면 정신은 필연적으로 무의식 상태에서 일종의 ‘외부 세계’로 객관화되며 이 객관화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서야 완성된 자의식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 ‘자아’의 역사를 지배하는 것은 자연철학에서 유래하는 대조의 메커니즘, 즉 무한하고 무의식적인 원심 활동과 자의식 및 유한한 세계를 생산해 내는 제한적이고 의식적인 구심 활동 사이의 상응관계다.

99[3]


이상의 서술이 극명하게 보여주는 바와 같이 Schelling-Hegel에서 만개한 독일 관념론 철학 전통의 합리적 핵심을 전복적으로 계승한 Marxism은 당연히 자연과 정신, 객체와 주체의 통일을 넘어 그 형이상학적 이분법 자체를 지양하고자 한다.

그러나 당면한 시대적 문제의 핵심 중 하나는 자유(지상)주의 지배체제의 결과로 '너 자신'[4] 이외에는 그 어떤 존재나 가치, 문제에도 전혀 관심 없는 이 저주스런 세계의 풍경이다. 따라서 시대 전환을 만들어 내기 위해 불가피한 과도기의 사상적 구호로, 세계-내적-존재로서의 주체가 녹아 있는, '통일적 세계구성체로서 객체'를 지향하는 '객체지향철학'(으로의 대주제 변경)이 요청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5]    






4. 다시, Sokrates에 대하여


당시 제출한 반론은 먼저 모든 문제상황(의 원인)을 오직 개인만의 통제불가능한 내적 충동과 욕동의 반복에 의해 설명하려는 방법론에 반대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특히 Sokrates의 경우 당대 최고의 자기통제적 지성 중 하나로 그의 행적은 당시 주어진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한 의식적 인지 분석과 대응으로서 개입의 결과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대안적 방법론에 기반한 것이었다. 이것은 붕괴 직전의 연속위기 속에서 (상대주의적) 궤변론 진영이 장악해 중우정치[6]로 타락해버린 민주정파와 이에 도전하는 비판적 귀족주의 참주/과두정파[7] 간의 대립이라는 당대의 사회정치적 핵심모순을 무시하고서는 그의 기괴한 행적들이 전혀 이해될 수가 없다는 관점의 분석틀인 것이다. 이 관점에 입각하면, Sokrates의 죽음은 제자들이 주도했던 coup d'etat와 재발 위험에 공포를 느낀 민주정파들에 의해 그 배후[ 뿌리]로 지목됨으로써 제자들을 위해서라도 궁극적 책임을 지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음이 그야말로 명약관화하다. 


이미 처음 반론을 제출했을 당시부터 이것은 너무나 명확히 현시된 사실이었고 이를 포함한 전모를 밝힐까 했으나, 별로 난해한 관점도 아니고 많은 분들이 조금만 들여다 보면 곧 아시게 될 문제라 생각된 데다, 고백하건대 그 오래전부터 일일이 모든 것을 적기가 매우 귀찮아지기도 했던 터라 실행에까지 옮기지는 못 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 이후 사회적으로 Sokrates에 대한 많은 관심과 의문, 논의가 일어나는 것을 목도하다 이제 다시 촛점이 모아진 계제에 결국 마무리를 지어야 하겠기에 마음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그런데 기나긴 서술을 이어 나가야 할 바로 그 찰나에 마침 완전히 동일한 관점으로 정리된 기존 논의가 발견되어 이하 인용으로 대체키로 한다.


66

아테네의 민주주의는 기원전 404년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패배한 후에 위기를 맞이했다. 전쟁에서 많은 피를 흘린 것은 물론이고, 전쟁이 끝나자 스파르타의 조종을 받는 30인 참주정이 세워지면서 또다시 많은 사람들이 희생을 당했다. 또한 소크라테스의 재판이 열리기 2년 전, 30인 참주 독재의 끔찍한 기억이 채 가시기도 전에 아테네에서는 쿠데타가 일어났다.


소크라테스는 이 쿠데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다. 반역의 주역들이 대부분 소크라테스와 가까운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스파르타 편에 서서 아테네를 배신했던 [Sokrates의 젊은 연인] 알키비아데스와, 30인 참주정의 지도자였고 쿠데타의 주범인 크리티아스와 카르미데스는 모두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소크라테스는 이 부유한 귀족 청년들과 어울려 다니며 대화를 나누곤 했다. 이 청년들은 민주주의를 별로 탐탁하지 않게 여겼다. 이는 다분히 소크라테스의 영향이었다고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가 보기에 다수의 어리석은 사람들을 따르는 민주주의보다는 현명하고 정의로운 탁월한 통치자가 지배하는 사회가 더 완벽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아테네의 시민들 입장에서는 청년들에게 그러한 영향을 미친 소크라테스는 민주주의에 가장 중대한 위협이 되는 인물이었던 것이다.


결국 소크라테스에 대한 사형 선고는 아테네의 민주주의를 유지하고자 하는 정치적인 판단이 근저에 깔려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당시의 재판은 제비뽑기로 추첨된 배심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재판에 501명의 시민 재판관이 참여했는데, 이 정도의 숫자면 당시 얼마 되지 않았던 아테네 시민의 숫자와 비교해볼 때 시민의 의사가 반영된 것이라고 해도 전혀 무리가 없을 것이다.


501명의 시민 재판관들은 280 대 221로 소크라테스에게 유죄판결을 내렸고, 형량에 관한 두 번째 표결에서는 더욱 압도적인 표차인 360 대 140으로 사형을 선고했다. 아테네 시민들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것으로 보였던 소크라테스를 용인할 수 없었던 것이다.

99[8]




그런데, 당시 이러한 취지의 반론을 본격 제기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Sokrates가 어찌 되었든 그동안 자신이 뱉어 온 수많은 '말'들을 지키고 그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탈출도 거부한 채 차라리 자살에 가까운 죽음을 향해 걸어갔던 데 반해, 그에 관해 여러 궤변을 늘어놓은 한 사람은 순수하고 무구한 의도의 단순이견일 뿐임을 강조했음에도, 약간의 비판이 들어오자마자, 그간 자신이 청년들을 유혹하기 위해 그토록 쏟아 놓았던 중요한 말들을 (바로 직전 것까지) 곧바로 손바닥 뒤집듯 뒤엎으며 모욕을 포함한 정반대의 비윤리적 언행들을 거침없이 행했다는 사실이다. 자신의  그 '말'들을 실제로 지켜가기 위한 어떠한 실질적 노력도 전혀 없다는 점에서 그에게 그것은 단지 일신의 생계를 위한 달콤하고 얄팍한 유혹의 수단에 불과할 뿐이라는 강렬한 진실을 보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더욱이 기가 막힌 것은 이후 1년이 넘어 뒤늦게 알게 된 사실이지만, 그 이익 보호를 위해 바로 다음날 있었던 강연에서도, 임상교육도 전혀 받지 않은 그가 임상윤리의 철칙까지 유린해 가면서 강연 내내 청중들을 세뇌시키기 위해 십여 차례가 넘도록 Sokrates를 멋대로 재단한 것보다도 훨씬 못한 방식으로, 그야말로 분석이나 깊이는커녕 그 어떤 근거도 뭣도 없이 다짜고짜 환자로 몰기 위한 공허한 규정과 선언 행위들을 반복 자행했다는 사실이다.

이또한 그가 역설해 온 정상과 비정상의 전복, 환자에 대한 옹호와 정당화 논리들을 정면으로 뒤엎는 또 다른 파렴치의 추가된 일례일 뿐이다.


겸허히 성찰하건대, 그의 제자와 독자들은 이런 점들을 각별히 유의해야 하며, 우리 둘은 목숨을 걸고 치열한 자성을 통하여 더욱 맹진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X. 

여기서 생산되는 글들은 직접 통신이 어려운 산포한 여러 신/구 좌파들, 특히 (범)Marxist 동지들께 드리는 진정 어린 보고서이자, 정책 기획-제안서들로 의도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갈수록 변혁적 실천에는 전혀 관심 없고 심지어 내용이나 논의 자체에도 별 관심 없는, '아님 말고' 식의 극히 무책임한 호사가들과 사찰단들만 꼬여 들고 있어 글쓰기가 점점 더 역겨워지고 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투명한 문장 의도까지 마음대로 왜곡하고, 목적 대상에 전혀 부합하지 않는 그런 분들은 제발 관심을 좀 꺼 주셔도 좋겠다는 강력한 당부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리는 바입니다.










SS.


악법에 의해 그간 불거져 온 보안문제에 대하여 정면돌파와 측면돌파 양안 사이에서 고민하다 일단 측면돌파를 선택하고 이미 보안계정이긴 하나 가일층 강화된 보안을 위해 이곳은 일단, 이 쯤에서 폐쇄키로 합니다.





떠나기에 앞서...


한 물리학자께서 제기하신 예측가능성 문제에 대하여는 이미 충분한 답변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혀 이해 못한 채 증명을 못 했다고 아직도 분위기만으로 착각하고 있는 심각한 문송이 분이 어제 발견되어 이에 대해 해당 문서에서 상술하고 싶지만 기회가 더 있을지 몰라 그냥 여기서 잠깐 약술하는 것으로 갈음코자 합니다.

예측에 있어서는 거시 vs 미시 관계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은 기후모형을 예로 들면 계절과 일기[日氣; 일일기상]의 관계와 같아서 일일기상을 정밀하게 예측하는 것은 극도의 초기조건 민감성에 지배되지만, 계절변화에 따른 변동 대역(/)폭 등의 추세 예측은 전혀 다른 차원의 system이기에 상당히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고, 일일기상 같은 미시data 복잡계도 주장하신 것처럼 예측이 보편적으로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립니다. 제가 그 때 강조드린 근원변수와 이들을 타고 하향하여 실사해야만 하는 심층구조 분석의 중요성이란 이러한 총-기후계에 있어서는 목표 국소계 상의 일조량과 태양광 energy의 (누적) 총량이 근원변수에 해당하고, 구조실사 이전에는 절대 상상할 수 없었던 지구 자전축 기울기 같은 배후에 숨어 이 모든 변동을 시초 규정하는 숨은 매개변수들의 존재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이 기울기에 의한 단위(지표)면적 당 입사광량[광속]이 경제순환 sysytem에서는 이윤률과 그 확장/파생변수로서의 Piketty지수(군)[10]에 해당하고 이 수치의 시계열 통계자료가, 반복되는 (pattern의) 많은 역사 사건 변동들과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너무 빠른 답변으로 이후 동어반복적 방송들이 계속되는 바람에 더 증폭된 듯한) 일각의 오해와는 달리, 말씀드린 바처럼 "충분한 답변"이 이미 애초에 주어졌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 문송이 분이 더 한심했던 이유는 일반상대론적 예측의 증명방법을 생각해 내고, 실제 증명을 실행한 것도 Einstein 본인이 아니고, 오히려 이것이 과학 발전의 일반적 (작업)방식인데, 제출된 타당성과 개연성 높은 생산적 이론이나 가설, 예측에 대하여 발전과 보완을 위한 사회적 협력이라는 방향의 사고는 전혀 못 한 채 알만한 분이 시비 걸듯 "증명해 봐" 같은 태도만을 풍긴다는 것이었습니다.

동일 맥락에서, 당시 과학을 존중하는 태도에 입각해 상찬만을 하였으나 냉엄하게 돌아보면, 애초의 예측가능성 문제 제기 자체가 그리 엄밀한 과학정신으로만 이루어졌다고도 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할 것입니다. 제기 내용도 그렇고 진술 방식도 상당히 수사(학)적이었으며, 직접 반증은 전혀 없고, '많은 경우에서 예측이 쉽지 않다'는 일반적 진술의 변주와 예시 열거들만이 반복되는 전형적 환유 뿐이었다 사료되고 또한 그 의도에 있어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은 영롱한 과학정신과는 다른 정치경제적 목적이 느껴지기에 상기한 협력적 태도가 더 아쉽습니다.)






마지막으로 그간 일정 쪼개 잠깐씩 갈겨 쓰느라 항상 느슨한 졸고였던 글들에 관심 가져 주신 많은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이만 작별인사를 고합니다.

  
















[각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전태일 열사는 우리의 영원한 사표이자 진정한 영혼의 스승입니다.

이 철학적 '기계' 개념은 스승의 유훈 선언과는 다른 것이지만, 어떤 우려들 하고 계시는지는 잘 알기에 그러한 염려조차 완벽히 일소할 수 있는 철학적 방안을 반드시 찾아내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는 약속을 올립니다.




[2] 초험적 관념론



[3]

¶ GRIFFERO, Tonino Bernardo('2012). 'Friedrich Wilhelm Joseph [von] Schelling

@ ECOUmberto (a cura di). Storia dell’età moderna e contemporanea.  Gruppo Editoriale l’Espresso. vol11;

@ ECO, Umberto et al. Storia Della Filosofia;

>국역: 윤병언 ('2020:53).



rf.

  Schelling은 Hegel의 사상적 직계가족으로서 뿐만 아니라, Max WEBER가 [[종교사회학Gesammelte Aufsätze zur Religionssoziologie]]에서 Bougeoisie적 근대(성)의 주요 지표 중 하나로 본격 개념화하고 따라서 혁명적 현대 Mao주의 문화(혁명)이론[11]에서 핵심 공격 목표의 하나로 설정된 '탈주술화[脫呪術化;Entzauberung]'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인물이기도 하기 때문에 여러가지로 중요성을 가지며, 

  Griffero는 Italia를 대표하는 독일철학, 미학 연구자이자 Schelling 전공자로서 주목할 가치가 있기에 이하 동저자의 조사된 관련 주제 저작 목록을 공유키로 함. 



직접주제 단행본

(1994) Senso e immagine. Simbolo e mito nel primo Schelling, Guerini, Milano

(1995) Cosmo Arte Natura. Itinerari schellinghiani, "Pratica Filosofica 9", Cuem, Milano

(1996) L’estetica di Schelling, Laterza, Roma-Bari

(2000) Oetinger e Schelling. Teosofia e realismo biblico alle origini dell’idealismo tedesco, Nike, Segrate (Milano)



직접주제 논고

('1992) Schelling: filosofo della mitologia (with F.C.), ≪Informazione filosofica≫, 7, may, 39-42

('1993) L'≪immagine in quanto immagine≫. La pittura nella filosofia dell'identita di Schelling, ≪Rivista di estetica≫, XXXIII, nn. 44-45, 24-51

('1994) ≪Misteri≫ della filosofia nel giovane Schelling, in Filosofia '93, ed. by G. Vattimo, Laterza, Roma-Bari, 95-119

('1994) Intuizione intellettuale e intuizione estetica. Theoria e visio beatifica nel primo Schelling, ≪Paradosso≫, 9, 59-82

('1995) Paradossi del theatrum mundi nel giovane Schelling, ≪Bollettino A.I.S.E.≫, III, n. 4, 18-20

('1995) La coscienza postuma. Immediatezza e autoriflessivita dell'autocoscienza nel pensiero del primo Schelling, ≪aut aut≫, nn. 267-268, 125-160

('1995) Essentification. Escatologia e Geistleiblichkeit nello Schelling intermedio, in G. Carchia e M. Ferraris (edd.), Interpretazione ed emancipazione. Studi in onore di G. Vattimo, Cortina, Milano, 11-33

('1995) Perche l’arte e non, piuttosto, la filosofia? In margine alla prima ≪estetica≫ di Schelling, in G. Vattimo (ed.), Filosofia '95, Laterza, Roma-Bari, 119-140 (spanish transl., ¿Por que el arte y no, mas bien, la filosofia? Notas marginales a la primera "estetica" de Schelling, in G. Vattimo, compilador, Filosofia y poesia: dos aproximaciones a la verdad, Gedisa, 1999)

('1996) Signatura siderum. Pianeti e comete nella filosofia dell'identita di Schelling, in La natura tra Oriente e Occidente, Atti del Convegno Nazionale A.I.S.E, Trento 11-12 aprile 1994, ed. by R. Troncon, Luni Ed., Milano, 277-294

('1996) Mathesis universalis. Costruzionismo e metodo assoluto in Schelling, ≪Rivista di estetica≫, XXXVI, n.s. 1-2, 103-136

('1998) Introduzione. Identita di essere e significato: la mitologia come processo teogonico della coscienza, in F.W.J. Schelling, Filosofia della mitologia. Introduzione storico-critica, ed. by T. Griffero, Guerini, Milano, 11-66

('2000) Grund ed Existenz. Classicita e melanconia alla luce della “Teoria dei principi” di Schelling, in C. Tatasciore (ed.), Dalla materia alla coscienza. Studi su Schelling in ricordo di Giuseppe Semerari, Guerini e Associati, Milano, 238-272

('2001) Clef de voute et chef-d’?uvre. Esthetique et philosophie de l’art dans le Systeme de l’idealisme transcendental, in A. Roux-M. Veto (ed.), Schelling et l’elan du Systeme de l’idealisme transcendental, L’Harmattan, Paris-Montreal-Budapest-Torino, 153-174

('2003) Essere senza poter essere. Spunti ontologici nell’ultimo Schelling, ≪Rivista di estetica≫, n.s., 22, XLIII, 71-84

('2003) Presentazione, in F. W. J. Schelling, Le arti figurative e la natura, ed. by T. Griffero, Aesthetica Edizioni, Palermo, 7-30.

('2004) “Wie die Alten sagen…”. Bemerkungen zum Verhaltnis von Schelling zu Oetinger, in R. Adolphi/J. Jantzen (hrsg.), Das Antike Denken in der Philosophie Schellings, Frommann-Holzboog, Stuttgart-Bad Cannstatt, pp. 497-519.

('2005) Un ≪segreto pubblico≫. Schelling e l’idea di proprieta intellettuale, in F. Vigano (a cura di), La natura osservata e compresa. Saggi in memoria di Francesco Moiso, Guerini e Associati 2005, Milano, pp. 54-86.



간접주제 논고

(2012) Arte e verita, in U. Eco (a cura di), Storia dell’eta moderna e contemporanea, Gruppo Editoriale l’Espresso, vol. 11, pp. 90-97



직접주제 편집저작

(1998) F.W.J. Schelling, Filosofia della mitologia. Introduzione storico-critica, ed. by T. Griffero, Guerini, Milano

(2003) F. W. J. Schelling, Le arti figurative e la natura, ed. by T. Griffero, Aesthetica, Palermo



[4] ☞[14] P.S.


[5] ☞[13]


[6] 衆愚政治, 현대 Greek: χλοκρατία=okhlokratía, 영어: ochlocracy


[7] 이 진영의 정치체 대안에 대한 평가와 형식적 단계론에 대한 회의를 반영한 규정임.


[8] ¶ http://www.redian.org/archive/26197


[9] ☞[12] P.S.


[10] Piketty 체계는 그 연역적 구조에 있어(서는) 결국 Marx 체계, 특히 이윤률 개념으로부터 제2 기본법칙을 거쳐 자본 대 (총)소득 (비교) 관계를 지시해 주는 지수군들의 개발과 이 지수들의 (귀납(/)통계적) 관측 관계를 표현하는 제1 기본법칙을 향해 수립되어 나아간 것으로 요약되기 때문에 제1 법칙이 명시하는 바와 같이 자본수익률γ가 역사적으로 큰 변동이 없는 (실증)조건에서는 자산(자본):소득비β가 함수 α[자산소득분배율]를 포함한 주요 경제(system) 지표들을 결정하는 원인변수가 된다. 그러므로 β를 정의하는 수식인 제2 기본법칙이 Piketty 체계에서의 핵심 중 핵심에 해당하고, Marx 체계로부터 Piketty 체계로 확장하는 디딤돌로서의 제2 기본법칙이란 결국 이윤률 변동에 대한 자본의 대응(전략)으로서 금융 중심 자산화를 통한 금융 (및) 독점 자본주의 지대 (추구) 경제로의 전환 정도를 수학적으로 포착해 내기 위한 매우 '근사적'인 방편이었기 때문에 이윤률 곡선의 inversion 형태를 띄는 것이며, 그래서 Piketty 체계에서 (유사)근원변수로 등극할 수 있었던 것이다.

즉, 세속적 주류경제학 체계에서는 통상 g값이 이윤률을 (간접) 표현하고, 여기서 s값은 금융화 정도를 추출해 보여주는 sampling 지표, 표본값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원된 여러 개념들이나 방법론적 엄밀성에 있어서 다소 문제가 있을 수는 있어도 본질적 논리구조 상에서는 궁극적 이단 관계라기보다 확장적 응용 관계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초엔 제도(/)개혁주의자로서 순진한 기대를 품고 매우 '합리적'인 조세 개혁 방안을 제안했다 그조차 전혀 받아들여질 기미도 보여주지 않는 체제의 완고한 보수성을 깨닫고 후속작에서 정치의 불가분한 연계성을 중요하게 역설하며 급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그를 비판이나 경쟁 상대로만 여겼던 일부 Marxist (경제학) 분파의 초기 대응은 재검토의 여지가 있어 보인다.

[여기서 쓰인 '이단 관계'란 용어에 대하여 간혹 일부 종교계의 image를 떠올리는 분들도 계시던데, 이 맥락은 현대 France 철학에서 온 것으로, 이단(점)이란 Gaston BACHELARD적 과학사학 전통 상의 '인식론적 단절'에서 유래한 분절, 절단(점)과 유의어이며, 반대 의미의 접합(점)과 함께 '절합' 개념을 형성하는 하위 요소의 변용이므로 굳이 불필요한 우려나 걱정을 갖지 않으셔도 좋을 것임. (간혹 절합과 동의어로 '이접'이 사용되기도 하나 이는 논리학적 빈용어인 'disjuction[Le.]/disjonction[Lfr.]'과 혼동을 초래하므로 주의를 요함.)



[이후 (Marxism 전통에서의) '이단' 개념과 관련하여 수려한 논변이 발견되어 여기에 추기함.

66 

한국에서 알튀세르 전유는감히 말하자면알튀세르가 스피노자에 대해 말했던 바를 상기시킨다. “만약 스피노자가 이 세상에 출현한 이단이 남긴 가장 위대한 교훈 가운데 하나일 수 있다면이단적 스피노자주의가 되는 것은 거의 정통 스피노자주의인 것이다![Louis Althusser, “Éléments d’autocritique”, in Solitude de Machiavel, p. 182.] 우리는 비슷한 방식으로이단적 알튀세리언이 되는 것은 알튀세르 사상 자체의 일부라고 말할 수 있다.[따라서 알튀세르 같은 철학자에 대해 적용” 운운 하는 것은알튀세르가 어떤 유형의 이론가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그것이 마키아벨리가 됐든 스피노자가 됐든아니면 바슐라르나 캉길렘 또는 프로이트나 라캉이 됐든아니면 레닌이나 마오심지어 마르크스 자신이 됐든 간에알튀세르는 자신이 활용하는 사상가들의 사상을 비틀고 때로는 뒤집어서 활용한다이처럼 이단적인 방식으로 그들을 활용하면서도알튀세르는 그 사상들에 관해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진리 효과를 산출한다그에게는 그것이 그 사상가들에 대한 충실성을 지키는 유일한 방식이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가 바로 그랬다이는, 1980년대 말과 90년대 초 마르크스주의의 몰락이 거의 모든 사람에게 불가피한 것으로 비쳤을 때 PD의 알튀세리언들이 수동적으로 세계사의 흐름을 추종하지 않고오히려 역설적이게도 1970년대 말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를 선언했던 알튀세르의 저술에 의지하여 마르크스주의의 현재성을 입증할 수 있는 길을 추구했으며나중에는 한국의 국민적 역사의 시간 속에서 마르크스주의를 전화할 수 있는 길을 필사적으로 모색하려고 했다는 데서 단적으로 드러난다그리고 바로 이러한 상상적인...막대 구부리기’ 덕분에 알튀세르는 상아탑 속에만 현존하는 서방 마르크스주의자들’ 가운데 한 사람 또는 현대 프랑스 철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는 데 그치지 않고, 1980년대 이후 한국 인문사회과학 및 사회운동 속에 깊이 지속되어온 정치적지적 효과의 부재하는 중심이 될 수 있었다.

99

¶ 진태원('2020). '필연적이지만 불가능한: 한국에서 알튀세르 효과'@{황해문화}no.108 '2020가을호. 새얼문화재단 간. p238.]

]




참고로 3체 문제 불능 증명을 통해 태양계 안정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태양계도 chaos system이라는 사실을 암시한 등의 업적으로 chaos 이론의 아버지로 불리는 Poincaré의 반론을 최대한 고려하더라도, (초기 조건들에 대한) 거시계와 미시계의 민감성 임계/역치는 단순히 공간지리적 규모에서뿐만 아니라, (병진)운동에서의 관성량인 질량과 특히 시간 단위에서도 그 scale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北京에서의 나비 한 마리 날갯짓이나, 심지어 수백 수천 번의 핵폭발(/)실험을 하더라도 인간의 인식 가능 범위 내 시간 단위에서 지구가 궤도에서 이탈하는 등의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거시 system의 경우 (초기) 조건 변수의 수치가 작을수록 발생빈도가 급격하게 많아져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쇄 효과와, 거시계 특유의 자기조절 효과 창발 등등도 반드시 고려되어야만 할 요소이다.)


 





[11] 막다른 골목에 몰려 정체에 빠진 문화연구 진영(/)Group들은 바로 이 방향에서 광활한 새 활로의 착상을 찾아 보아야만 할 것이다.


(여기서 Mao주의는, 물론 전고에서와 마찬가지로 당연히 Mao를 전적으로 숭배하는 교조주의나 그 체제 자체, 특히 현재의 중국 체제에 대한 평가 논의와는 전혀 아무런 관련이 없(고 현재 지금 여기의 문제상황을 돌파해 나가기 위한 정신적, 이론적 도구 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12] P.S.

이후, 사회적으로 쟁점이 된 이 문제에 대하여 한 선생께서, 근거가 수반되진 않았지만 그 이름과 얼굴을 걸고 지상파 전국 방송에서 이견을 제기하셨기 때문에 존중과 예우의 의미로 일단은 열린 문제로 남겨두기로 하겠습니다.

(

그러나 양 계열의 해석차는 본질적으로 Text 표면에 천착하는 (내재적) 하등비평Lower Criticism과 Text 이면을 관통해 토대와 조건의 Context를 위주로 읽어내려는 (초월적) 고등비평Higher Criticism 간 관계, 특히 방법론 상 근거자료 우선순위에 대한 차이로부터 비롯하는 것으로 Text 표면에 이런 맥락들이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Sokrates 본인이 정치 문제에 직접 관여하거나 정치적 주장을 노골적으로 행하기보다 청년 정치가들의 Mentor나 정신적 지주로서, ('진리의 정치'로 필연 귀결될) 진리론을 중심으로 하는 추상적 철학 및 이념적 지향을 주로 제공한 그야말로 사상적 뿌리에 해당하는 관계였기 때문으로 보이며, 후자의 해석은 무수한 논자들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더욱이 전자적 해석의 최대 난제는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나 도덕군자들은 항상 존재해 왔고 세속화, 속물화된 욕망의 노예라는 성격에서 당시보다 결코 뒤지지 않을 자본주의 말기인 현재의, 성철이나 법정과 유사한 존재로 상정되는 그 해석에서 왜 유독 Sokrates만이 이런 이유만으로 극형에 처해졌다는 것인지 납득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점일 것임을 주지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후자 계열(의 무수한 논자들)에 속하는 주요 논의로는 같은 방송에서 수 차례 강의하신 바도 있는 박홍규 선생님의 명료하고 선명한 논의나, 미국을 대표하던 치밀한 전설적 급진주의 탐사보도 전문 기자로, 그 자신에 관한 전기도 여러 권 출간되어 있는 Isidor Feinstein STONE을 위시한 다음 자료들을 우선 검토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리고 차제에 철저한 학문적 솔직성을 위해 반대 자료들도 모두 공개하면, 애초 문제가 되었던 δαιμόνια[daimonia]에 대한 과잉 주목으로 특징지어지는 특이 해석도 전혀 계통 없는 돌출은 아니고, 한일 모두에서 역시 많은 비판을 받긴 했지만 유명한 柄谷行人 선생이 최초 제출했던 착상들의 기본 Frame에 기대어 그 일부를 postmodernism적으로 과장한 열화본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 문제에 관심있는 분들은 다음도 참조해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13]) 

또한 비록 비판은 많이 받았지만, 柄谷 선생의 일관 해석 중 몇몇 발상은 참고할 만한데, 특히 흥미로운 한 가지는 객체지향철학 계보와 완전히 동일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면서, 그 정치적 의의를 서술하고 진정한 철학(의 기원)으로 승인하고 있는 Ionia 자연철학에 관한 다음과 같은 대목들입니다.

66

이오니아의 사상가는 윤리나 인간에 대한 인식을 ‘자연학’의 관점에서 이야기했다. 그것은 인간과 세계를 일관되게 자연(physis)으로 보는 것이다. 그들은 그와 같은 보편적 시점을 처음으로 제기했다. 나는 바로 이런 태도를 ‘자연철학’이라고 부르고 싶다. 내가 생각하기에 그것은 이오니아의 정치(이소노미아)와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99

66

이오니아에서 인간에 대한 사랑은 인간을 노모스가 아니라 피시스[퓌지스]에 의해 보는 태도, 즉 인간을 폴리스, 부족, 씨족, 신분과 같은 구별을 괄호에 넣고서 보는 태도와 분리할 수 없다. 이와 같은 태도를 가져온 것이 이소노미아다. 이소노미아(무지배)는 단순히 개개인이 참정권에 있어 대등하다는 것만이 아니라 좀 더 근본적으로 생산관계에서 지배-피지배의 관계가 부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금노동이나 노예와 같은 시스템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것들은 피시스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99





[14] P.S. "너 자신을 알라Γνώθι Σεαυτόν."

             ; Frame과 Main Frame, 그리고 Meta인지. 수구반동의 사상적 본질


웬만한 기타 오독들은 그냥 철저히 무시하고 떠나려 하였으나, 정말 알만한 유명인사 행세를 하며 돌아다니는 분 중에 자신의 무지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이 말이 '네 분수를 알고 나대지 말라'는 뜻이라 우겨대는 분들이 계셔서, 보다 못해 이에 대하여는 한마디만 덧붙입니다. 


a. frame

   일단, 특히 기자분들이나 언론계 쪽에서 frame을 무슨 가짜 news 같은 범주와 동일시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던데 frame이란 인간 인식의 선험적 조건이자 형식으로서의 인식틀을 의미하며, 따라서 frame의 외부란 있을 수 없고, 다만 눈에 쉽게 띄는 국소적 조각 frame들과, 배후에 숨어 전체를 장악한 채 모두를 포획/세뇌함으로써 결코 보이지도, 의심받지도 않는 Matrix가 되어 버린 거대한 default (/) main frame이 있을 뿐입니다. 

이 말의 의미는 가짜 news를 파헤친답시고 설치고 있는 바로 당신 자신이 지배체제와 지배질서를 유지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가장 거대한 거짓의 세계를 지탱해 온 [나사와 조이개를 움켜쥐고 있는] 가짜 중의 가짜, Smith 요원이 아닌지를 항상 의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b. meta인지

    이 frame들 중에서 세계와 주체의 관계, 특히 사회 내 주체의 위치에 대한 가상적 도식이 바로 ideology입니다.

그런데 위 '인사'들은 이런 일말의 의심도, 자성도 없이 기성/기득권의 main frame과 ideology적 상징(체)계에 매미처럼 찰싹 달라 붙어서 마치 한 몸이라도 된 듯 이 체계를 곧 세계 전체이자 실재 그 자체라 철석 같이 신봉하며, 조금이라도 자기 믿음에 맞지 않게 행동하는 타자를 발견하면, 무조건 그는 이 현실을 '몰라서' 그러는 것이라며 분노에 휩싸여 자기 믿음(/)체계에의 맹종을 강요하느라 울어대기 바쁜 나머지 자기 의심은 꿈에도 해보지 못 하는 노둔한 한계를 보여주고 있을 뿐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수구보수반동이란 바로 이 추호도 자기 자신은 의심해보지 않는 반성적 무능, 반성능력의 부재 이외 다른 그 어떤 것도 아님을 이들은 결코 깨닫지 못 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 바로 꼰대 중의 꼰대왕이라는 사실과 그렇게 된 이유조차 끝까지 알아채지 못 한 채 엉뚱하게 fashion이나 humour 같은 사소한 변장술에만 목을 매고 있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한심한 문제의 진원지인 최경영 기자는 여러 심각한 요소가 있어 보이므로 도대체 뭘 어디서 어떻게 확인했다는 것인지 밝히고 책임을 지시기 바랍니다.




____________________



나름 언론개혁 부르짖던 분이라 일단 자정능력 test 기간을 가졌습니다. 


바라는 개혁이 이루어진 세상에서는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조심조심 눈치보며 "부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아직 그간 자신이 한 일의 역사적 의미를 전혀 모르고 계시고, 그걸 알 수 있거나 지금이라도 자정이 가능했던 분이라면 애초에 그런 일을 하지도 않으셨으리라 생각됩니다.


문재인 정부의 검찰개혁이 난관에 빠진 이유가 (인사참사에 의한) 조국사태 때문이었다면, 

대한민국 언론사에서 문재인 정부의 언론개혁을 좌초시킨 것은 바로 당신(이 일으킨 나비효과) 때문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언론의 2대 핵심 가치로서의 '정론'과 '윤리'를 완전히 유린하면서 위기 부정론을 가장 열렬히, 가장 저열한 방식으로, 가장 뒤늦게까지 주장하다 심지어 이미 재난재원금까지 풀리고 난 위기의 한복판에서 재출연한 {Journalism Talk Show J}에서조차 "이것은 위기가 아니다"라는 주장을 다시 펼쳐 경제 문외한인 panelist로부터도 핀잔을 들을 정도의 행태를 반복하고 그녀와 함께 Corona19 Pandemic도 별것 아니며 금방 회복하고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것이라는 둥의 얼토당토 않은 주장들을 계속해 언론개혁세력의 신뢰성에 결정적 의혹과 파열구를 발생시켰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가?


먼저, 민주당 정부에 대하여는 우호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고, 지금도 복잡한 심경으로 지켜보고 있는 분파에 속함을 밝히며 오해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언론개혁 팀의 기본정서

 : 보수언론보다 극심하고 외설/노골적인 천박한 elitism을 가장한 반동적 위계주의.

   이는 진실된 개혁세력이 그 관점과 태도에서만 일시적 실수를 범한 것이라기 보다 정치권력 경쟁을 중심으로 일부 경제 정책에서만 부분적 진보성을 띄면서 지식교육문화 분야에선 극단적 보수반동성을 가진 사이비 개혁세력의 본질이 폭로된 사태로 보아야 합니다.








'210110___________________


1.

문맥을 보면 아시겠지만 원래 진행하려던 문화자본의 욕망과 행동 특성 및 계급적 속성 등등 자세한 추가분석이나 비판은 일단 중단한 (/) 대기 상태입니다.

최근 좌측으로부터 격화된 비판과 지지율 급락으로 위기감에 사로잡힌 일부 민주당(내) 우파 인사들의 본격적 우경화 타개 시도 등으로 급작스럽게 조성된 정세적 고민 때문에 길어진 것이긴 하지만, 그런데 그새 점차 개인의 실수를 넘어 집단적 비호를 통해 조직 전반의 문제로 비화하면서 자칭 개혁언론의 민낯과 밑바닥이 드러나는 점입가경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원래 문제를 제기한 계기도 진중권 교수 등, 이 사건을 그 결과의 진위와 상관 없이 [일부] 소위 '대깨문들의 타정파 제거와 인신공격을 위한 신상털기 시도'로 보는 시각이 있고, 이 시도를 어리석고 섣부르게 밀어붙이는 과정에서 적어도 4~5가지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인데, 이들은 복잡한 문제의 구조나 도대체 뭐가 진짜 문제인지도 전혀 이해를 못 한 채, 애초에 진심어린 사과와 반성, 피해회복과 재발방지 등을 위한 자정조치 정도만 취해도 될 일을 일부 몰지각한 외부 인사가 "잘 버텨라"며 선동을 하는 듯싶더니, 급기야 강 씨는 1일 공장장으로 출연한 program에서 막판에 "한마디만 하겠"다며 "소비자가 원하는 방송입니다. 어느 한사람에 의해....."까지 말하다 잘리는 일이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분명히 밝혔듯이 문재인 정부에 대하여는 우호적 입장을 견지해 왔고, "국민"이 간절히 원하는 소중한 과업이므로 망치지 말고 제대로 하라는 고언이자 채찍인데 이 충정을 완전히 곡해하면서 "소비자"나 "국민"이 원하는 방송이므로 무슨 짓을 해도 되고 무슨 말을 해도 면죄되는 거라고 생각하는 인사들이 사태를 정반대 방향의 걷잡을 수 없는 시한폭탄으로 키우고 있습니다. 



그들이 진정으로 정의롭고 윤리적인 개혁 세력인지, 단지 새로운 주류 (/) 권력 밑으로 줄만 바꿔 섰을 뿐 기본적인 자기 정정과 자기 개혁 능력조차 전혀 없는 참칭 세력인지 헷갈리는 많은 분들은 당장 그들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하나만 관심 갖고 지켜보셔도 극명한 시금석을 얻게 될 것입니다.




2. frame론 재고


학문적 솔직성 원칙을 위해, 상기 개진된 frame론은 당연히 최근의 결론에 해당하는( 신neo-Kantian계보의 명맥을 잇는 후예들), 특히 post-Althusserian적, Balibarian적 frame론을 전제하고 있는 것임을 숙지하고 읽어 주시기 바라며, 그 이전 논의까지 포함하는 frame론들의 전체 계보 구조를 모두 공개하면 다음과 같음.  



  a. (전기)Althusserian과학주의   유물론적 정신분석 및 해체론, 정동이론

      ↘                                   ↗                                    ↘

  b.        post-Althusserian                                              Balibarian계열 탈해체주의

                                            ↘                                    ↗

  c.                                            postmodernism



a열은 아직 frame의 외부를 견지하고 있었고, b열은 외부를 상정하나 직접 대면/인지의 불가능성을 강조함으로써 인식론적 외부는 부정하는 것이며 따라서 frame 간 평면 관계를 부인하는데 반해, c열은 담론의 물질적 외부를 부정하거나 frame 간 평면 관계를 강조함.


그러므로 a, b열에서 '사실'과 '진실'은 frame에 균열과 파열구를 내는 중요한 경로이자 핵심 수단으로 설정되며 '사실'은 주로 과학적 이성의 종합을 통해 위로부터, '진실'은 무의식과 정동, 대중/민중 등의 경로를 통해 아래로부터 정신분석적 진리 개념과 정동이론, 소수자 위치/관점론 등의 형태로 주어짐.


여기서 중요한 점은 따라서 항상 최소한 이 두 방향으로 동시에 준거/참조점이 주어져야 하는 것이지, 하나가 다른 하나를 대립적으로 배타/배척하거나 억압하는 관계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며, 특히 소위 '전문가'가 욕망과 이해관계로부터 완전히 면제, 해방된 존재가 전혀 아니고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더욱더 그러하기 때문에 온전한 과학성을 항상 보증하는 동의어가 절대 될 수 없다는 점으로, 본인의 입장이 이런 모든 점들을 도외시한 'τέχνοκρατία[Tekhnokratia]전문가 독재론'을 비판하는 것일 뿐 '전문가 참조론'을 반대하는 것도 아니므로, 또다시 '전문가'를 외설적으로 강조하는 전략은, {Journalism Talk Show J} season1을 통해 기자 계층 자신을 포함한 여타 주체들의 강력한 감정적 저항을 불러 일으키는 역효과를 수반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 언제나 과학적 진리일 수도 없다는 것이 스스로 충분히 입증되면서, 중도하차 등을 포함한 파산 과정을 이미 겪을 만큼 겪었기 때문에, 이를 반복하는 것이 결코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없고 반동적 퇴행에 불과하다 아니할 수 없으며, 차후 상황에 따라 문화자본 분석론을 통해 상술될 수 있음. 


(이 외에도 전문가 독재론의 폐해 중 하나는 그 어떤 분야의 전문가도 자기 영역에서 한 발자국만 벗어나면 모두 곧바로 대중으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 현실인데, 이 사이에 존재론 상의 고정불변한 절대적 격차를 공상하면서, 한 분야 전문가에게 영원한 특권적 작위를 부여하고 모든 분야에 대한 독점적 발언의 전권을 허용하는 인식론적 착오로 여기에서 수많은 치명적 오류가 발생하며 전문가들의 세계란 사실 항상적 논쟁 상태이기 때문에, 이에 무지한, "우리 엄마가 그러는데" 식의 초등 교내 방송 동아리를 연상시키는, "전문가들은!", "전문가들에 의하면!"만 강조하며 전혀 상관없는 분야 종사자들을 뭉개고 퉁쳐서 뭉뚱그리는 얄팍한 조작적 포장 방식 보도보다 여론조사 인용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취재원과 출처를 명시해 그에 대한 신뢰도(평)가는 보도 수용자들의 주체적, 개별적 판단에 맞겨야만 함. 더구나 평소 기껏해야 1명, 좀 중요하거나 헷갈리는 문제라야 2~3명 정도 취재하는 관행에 비추어 그토록 모호하고 정의도 안 된 출처를 최근처럼 너무 티나게 빈용하다간 곧바로 정말 취재는 한 건지 한낱 기자 개인 의견에 불과한 조작인 건지조차 의심받게 될 것임.)






3. 和와 不和














和란 군국주의적 전체주의를 포장하는 기만일 뿐이며, 不和야말로 실재하는 갈등과 모순을 투명하게 드러내어 진정한 변화와 혁신을 불러올 수 있는 유일한 원천이자 진정한 동력이라는 것이 우리의 확고한 정치철학적 신조임을 천명함.

 

(또한, Carl Schmitt(-Claude Lefort) 이래로 Chantal Mouffe에 이르기까지 '정치(적인 것)'[이]란 본질적으로 적과 동지의 구분 행위로서 정의되므로, 그 자체로는 어떠한 문제도 없으며 단지 이를 경쟁 관계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광의의) 자유(민주)주의 주류 양당제라면, [다만 원론적 체계화 차원의 논의일 뿐이지만] 실재하는 적대 관계를 반영하며 정체되고 붕괴 중인 기득권 기성 정치를 초월하여 위기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해법의) 정치를 발명해 보고자 모색하는 것이 급진(민주)주의 정치라 할 수 있는데 반해, 요즘 다시 부상하려는 통합은 [특히, Jacques Rancière의 분석에 의하면] 본원적으로 행정의 영역에 속하는 것임.


이상 제3절은 특히 이 선생님께 대한 존경을 담아 서술하였음을 양해 부탁드림.)





'210117___________________



4. 기계지향철학 문제


이에 대한 논평을 하시려는 분들은 신유물론 계열과 객체/기계지향철학 계열의 최신 철학들이나 최소한 Deleuze-Guattari 사상만이라도 검토를 하고 나서 해주십사 당부를 드려왔는데, 아주 단순한 image 하나에만 의지해 함부로 1변수 선형함수 (운동)만을 "기계적"(인과론)이라 인상하면서, (초)다변수 경향 인과와 대립하는 것처럼 말하시는 분들은 이에 대하여 신유물론 계열과 객체/기계지향철학에선 '(nano)경향기계동맹 대 (nano)반경향기계동맹들 간 전쟁'으로 설명하고 있음을 숙지해주시기 바람.


여기서도 곧바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이 철학적 '기계' 개념은 여러분이 상상하는 그 낡은 기계가 아니라 차라리 '변수' 또는 '함수' 개념에 가까움. 

원래는 GUT[대통일이론] 등의 통일적 세계구성체론을 향한 하나의 경로로서 제기된 매우 추상적인 개념 model이나, 혹시 19~20세기와 그 이전 기계 image에 개인적으로 너무 깊이 침윤되어 심각한 기계-혐오감을 극복하기 어렵다 느껴지시는 분들은 대신 그냥 '행위소'나 '행위자'와 동의어로 이해하고 계셔도 큰 문제는 없겠음.


(참고로 '당신은 기계이다'라는 문장을 '당신은 예술품이다'의 경우와 비교하면 이것이 단순히 생명의 문제는 아니라는 사실을 곧 아실 수 있으리라 사료됨.)


그러므로, 존재자들 간의 관계는 그 차이뿐 아니라 공통성 또한 균형 있게 동시에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이 기본 정신으로, 인간의 특별한 입장만을 배타적으로 강조하는 대립적 인식체계로서의 humanism을 '인류세anthropocene' 시대에도 여전히 다시 주장하기보다는 협력적 동물-인간-기계 공동체로서의 commune을 지향하는 post-humanism[ 일각에선 trans-humanism]에 더 친화적이며,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철학들은 우리가 아무리 저항한다 해도 결국엔 Big Data와 IoT 시대의 정신이 되고 말 것으로 보이나, 아직 형성 중에 있는 최신 철학이기에 모두 열려있는 문제이므로 이에 대한 불순하지 않은 이론적 토론과 논의는 언제든 환영함.



(이에 대한 지독한 오독을, 가해공격의 빌미로 삼고 있다는 건 정말 구토 나는 일이 아닐 수 없음.)








SSS.


"짤리지만 않으면 좋겠"다며 잔뜩 주눅 들어 있다가 고삐라도 풀린듯이 신이 나서 오히려 도발을 계속하고 있는 최 기자 등으로 인해 우울해하고 슬퍼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몇 자만 적습니다.


애초 문제 자체도 주요하게는 시금석으로서 제기했던 것이자, 응당한 최소한으로서 당사자의 진심어린 반성과 사과 정도만을 요구했고 이외 어떠한 법적 대응도 없을 것임을 시사하며 최대한의 협력 의지를 밝혔을 뿐 아니라 오늘도 사실 문재인 정부에 적극 협력하여 돌파해 나아가야 하는 정세라는 취지의 글을 쓰러 들어 왔었건만, 이와 정반대로 집단적 2차 가해 담합과 (절대우월적 지위를 이용, 출연자에 대한) 사주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는 슬퍼할 문제가 아니라 분노해야 할 문제입니다. 


담합의 (배후) 주체들을 정확히 특정할 수 있지만 여기선 하지 않겠으나, 국민은 바보가 아닙니다. 이런 식으로 대책 없이 사태를 키우다간 제가 굳이 뭘 하지 않더라도 곧 그 얕은 의도를 모두 알아채게 될 것이고 제2, 제3의 진중권을 탄생시키며 자칫 중요한 보궐선거 모두를 잃고 언론개혁만이 아니라 개혁 자체와 정권을 좌초시킨 장본인들로 역사에 길이 남게 될지도 모른다는 깊은 우려를 전합니다.















분노해야 할 문제라고 말씀은 드렸지만, 사실 저부터도 분노보다 웃음이 나긴 하는데 누누히 강조해 왔듯, 너무 황당하게도 '전문점'[ㅋㅋㅋ] 같은 걸 부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거니와 전문가의 가치 자체를 부정하는 것도 전혀 아닐진대 자존심에 치명상이라도 입으셨다는 건지 더욱 극성을 부리려는 기세인 듯하나, 앞으로 언론 신뢰도 평가 여론조사 추이도 주시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모두는 더욱더 깊어져야 하고 동시에 넓어져야 하며, 따라서 우리에겐 specialist들 뿐 아니라 훌륭한 융합적 generalist들도 필요합니다. 

이 중, 한없이 깊어진 공부의 모범을 보여주는 분들은 물론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애초 문제제기의 이유는 그것을 무기로 다른 국민을 깔보고 무시하며 깔아뭉개려는 태도와 고정적 독점 권력-계급화 시도를 통한 전문가 독재 체제 욕망에 대한 준열한 비판과 반대였음을 명심하고 사건의 본질을 덮어버리려는 불순한 의도로 왜곡하고 호도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전문가들은 자신의 지식을, 대중 위에 군림하고 지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겸손하게 그들 속에서 그들을 위해 복무하고자 사용해야 한다는 점을 일깨워 주는 대중노선을 강조하기 위해 불가피 그것을 공 중의 공으로 갖는 Mao주의까지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인데, 

이미 저리톡1에서 스스로 파산하고 중도하차된 반동적 권위주의에 20세기 공장형 지식 model을 잔뜩 버무려 다시 들고 나와, 그나마 season2에서 보여주었던 반성과 전환 시도조차 완전한 위선과 연기였을 뿐임을 스스로 폭로하고 있는 당신들은 앞으로 언론개혁은 포기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이번 일을 계기로 그나마 단 한 가닥 남겨두었던 희망도 완전히 접었습니다.

이것은 완전한 치기이자 광기 이상 아무 것도 아닙니다.

그 수준이니까 스스로 좌초한 거지 대체 누구 탓을 하는 겁니까? 전 아주 조금 빨리 현상을 명료히 의식화했던 것에 지나지 않고 그조차도 이미 season1이 스스로 실패한 뒤였음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정권이 교체될 경우 동북아 정세가 본격적으로 불안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시기입니다.

유치한 짓은 그만두고 서둘러 연대와 협력의 길로 돌아 나오실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











(정부에 비판적인 여러 동지와 선생님들께는 너무 죄송하고, 혹시 다른 판단이나 전략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서재 내 아무 문서에나 비Login 비댓을 달아주시는 등등의 방법으로 조언과 입장을 적극 표명해 주시기를 간구드립니다.)










P.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ourgeoisie 유물론과 자본주의 Realism의 위력을 잘 보여주는 책.

넓게 보면 Isolde CHARIM까지를 포함하여 (특히 (아류화된) Postmodernism의 자장 안에서) 한껏 관념화하면서 모호한 안개 속을 헤매고 있거나, 아니면 반대로 mannerism에 빠져 규격화된 Cliche´와 Routine들로 점철된 형식적 정세분석만을 답습하고 있는 웬만한 양대 계열 좌파들보다도 훨씬 명료한 의식으로 현실을 꿰뚫고 있음.
(이것이 바로 지배 ideology에 세뇌되어 흐리멍텅하고 허황된 꿈을 꾸며 반대계급을 위해 투표하고, 그들의 행동대원으로 동원되어 온 대중들에 비해, 냉철한 계급의식으로 철저히 무장한 채 단 한시도 자기 계급(의 관점과 이익)을 배반하지 않는 일관된 투표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지배계급의 비밀무기인 것이다.)




다만, 당연히 American Narkissism은 전혀 극복되지 않아서 치명적 오판으로 떨어질 수 있고 아직 그 정도로 확정된 미래 상태는 아니며 이유도 타당하지 않음.


technical한 주요논점으로는 두 주기가 독립적으로 각각 작동하다 이번에만 우연히 일치하게 된 게 아니라 하나의 유기적 사회구성체가 운동하면서 전술했던 바와 같은 하나의 장주기 파동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며, 이에 대하여 FRIEDMAN은 반주기 단위로 세분화된 '(사회)경제적 주기'는 비교적 정밀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소위 '제도적 주기'란 실은 정치-군사 구조주기로서 미국이라는 특수한 역사 상황 속에서 내전적 갈등은 과잉각인되고 (특히 고립주의 시기 발생한) 국제전들은 과소각인되어 반주기와 완주기를 혼합/혼동하면서 상상적으로 구축한 특이성 착란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
반주기와 완주기에서는 공히 체제 위기가 발화하면서 국내 및 국제적 갈등과 모순이 폭발하나 별다른 특별 변수가 없다면 대개 반주기에서는 (모순의 강도에 따라 Vietnam전 같은 중소규모의 저강도 국지적 국제전들이 병발하기도 하나) 주로 내전 유형의 일국적/사회 내적 갈등이 주요모순으로 폭발하고, 완주기에서는 총모순이 모두 폭발하면서 패권 경쟁과 세계질서 재편을 그 핵심으로 하는 세계체계 수준의 전면적 국제총력전 발발로까지 격화할 위험을 내재하고 있음.

따라서 이 세계체계 수준에서는 실은 미국의 첫 번째 경제주기[ 소위 Washigton 주기]의 붕괴가 불-영 패권 전쟁이었던 Napoleon 전쟁의 일환으로 수행된 영미 전쟁에서의 미국 해안 봉쇄와 해상 무역 차단의 여파이자, 이 때문에 본격화되었던 농광업국가에서 (자립)공업국가로의 체제전환을 위한 필연적 과정이었던 것임.
이 때부터 가속화된 본격적 공업화[1]가 기존 농업기반 지주세력들의 저항과 내적 갈등을 심화시키다 결국 격발한 것이 미국내전인 남북전쟁인 것이며 FRIEDMAN은 이를 첫 번째 제도적 주기의 붕괴로 인지하게 된 것으로 이는 새 체제의 기원이나 원인으로서의 시작점이라기보다 그 반영이자 결과로서의 현상이며 본질적으로는 체제전환점이 아니라 (상부)구조조절/변형점에 해당함.
따라서 저자는 '제도적 주기'라는 개념으로 이러한 내적 사회구조 조절 주기를 지칭하고자 하는지 (국제적) 체계 전환 주기를 구축하고자 하는지 아니면 '사회경제적 주기'처럼 반주기 단위로 양자 모두를 통칭하고자 하는지 명확히하고 개념적 통일성과 일관성을 갖추지 않으면 안 될 것이며, 전자라면 2차 제도 주기의 붕괴점은 (소위 4차 사회경제적 주기와 함께 붕괴해 버린,) 남북전쟁에 이은 제2 내전기로서의 1960년대 후반~70년대의 반전-민권운동기로 잡아야만 할 것이며 한국의 '87년 체제'~'97년 체제' 변형기도 결국 세계체계 상에서는 이 내전(과 조절) 주기의 지연된 일부에 해당함.
그러나 그는 이 개념 범주 하에서 1차 제도적 주기까지는 내전 주기를, 이후 2차 제도적 주기부터는 국제총력전 주기를 접합시켜 버리고 있음.


또한, 여기서 각별히 주의할 점은 지금 현재의 국면을 포함하여 국제전 주기에는 내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내전으로 시작하나 국제전으로 격화하여 주요모순은 결국 국제전( 또는 최소한 국제갈등)이 된다는 뜻으로 이 때문에 내(전)적 갈등은 곧 봉합되어 버리게 되는 것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P.S.
최근 주식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대한 작은 문제제기가 있었던 듯한데, 물론 이 작업을 향한 제기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나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우리가 장기적 거시경제와 체계위기의 pattern을 역사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지 속물적으로 미시 주가선을 예측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임.
일반적으로 증시는 무엇보다 scale 부존재 문제를 넘어 복잡계 내에서도 자기참조적이고 자기실현적인 feedback system이라 '예측' 자체가 계 구성요소, 즉 시장참여자들에게 격렬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특히 이번처럼 위기 시에는 국가나 각종 국제 기구들의 필사적 초거대규모 개입을 촉발하기 때문에 그 자연적, 잠재적 낙폭이 전혀 기록되지 않는, 실현된 시계열 주가data만으로 접근하는 피상적 수학주의 현상학으로는 절대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고 이 때문에 실제 BOURBAKI group 이래로 성공한 사례도 없음.
뿐만 아니라 '악재'나 '호재'란 이름의 빈발하는 각종 불가사의한 단발, 특발성 외생변수들로 가득 차 있는 noise가 매우 심한 말단 종속성 함수계임.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수군들의 network system이란 paradigm으로 접근해서 단발, 특발성 변수군과 외생변수군들로 연결되는 node 다발을 사상하고 (반복적) 장기지속 독립변수군들을 통해 심층 구조 분석으로 하향하는 방법을 반복하면서 근원변수들을 향해 나아가면 복잡계 특성이 점차 제거되고 이론적 추상선을 추출하는 것이 완전히 불가능하지는 않으며, 또한 이번 9월 증시조정도 금융-실물 변동 관계 분석을 토대로 이미 오래전[4월경]부터 예측되어온 사실이기 때문에 (fuzzy) pattern 추론이나 이런 식의 다양한 예측기법들이 전혀 불가능한 것도 아님.
 
관련하여 간혹 '도과'에 대하여 위기의 '종결'이나 '완결'로 읽은 듯한 분들도 계시던데, 이는 전적인 오해이며, 이 위기는 장기적 "General Crisis"의 일환으로, 앞으로도 계속 이런 도과하는 파동들이 연속하면서 점차 심화되어 결국 (minus) 초저금리인하 등의 각종 완화 정책들이 실효 한계에 도달하고 재정위기 Bubble 붕괴를 몰고 와 유가위기 및 패권경쟁 등과 복합적 상승작용을 일으켜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되어 나아갈 것이며, 언제든 느닷없이 돌발할 계속되는 새로운 방역위기와 기후위기는 수시로 그 진폭과 속도를 비선형적으로 배가할 기폭제[Big trigger]가 될 것임. 또한, 설령 경이로운 대처를 통해 이 모든 위기가 극복되더라도 10여 년 후 다음 Juglar 파동 위상에서 다시 증폭되어 재발하게 되는 그러한 위기임.)


어쨌든 이런 영롱한 과학정신의 cool하고 dry한 문제제기와 토론들은 언제든 진심을 다해 환영합니다. 











 




[작성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