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 1. 보온 - 세상 모든 것의 기원 오리진 시리즈 1
윤태호 지음, 이정모 교양 글, 김진화 교양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윤태호, 이정모의 ‘오리진(Origin)’은 세상 모든것의 기원을을 다루는 교양 만화다.




기존의 교양 만화와 다른 점이라면 이야기 전개와 지식 전달이 두부분으로 나뉘어 있지 않다는거다. 이야기 속에서 작중 인물들의 행동과 대사, 에피소드를 통해 교양지식을 자연스럽게 전달하고자했다. 그래서 그냥 보면 일반 만화도 큰 차이 없어 보이기도 한다.

만화는 미래에서 온 21세기형 로봇의 등장으로 시작한다. 거의 모든것을 이룬 인류가 자살로 치닫자 그 해결법을 찾고자 로봇을 보낸 것이다. 로봇은 삶이 충만했던 과거에서 학습을 하고, 미래 인류는 로봇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통해 삶의 의지를 일깨워줄 무언가를 찾으려고 하는 것이다.


단순 교양 만화가 아니라, 철학적인 답까지 탐구한다.


그렇다. 이 만화는 단순히 여러 교약 지식들을 다루는 만화가 아니다. 그를 통해 인간의 삶과 삶의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려는 철학적인 목적도 갖고있다.

그래서 각 에피소드에서 전달해주는 지식의 양 보다는 이야기 전달에 더 중점을 두고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이야기, 그 과정에서 깨닫게 되는 것들이 단순한 지식보다 우선이라는 얘기다.

대신 주제에 대한 지식들은 만화가 끝난 후에 ‘오리진 교양’이라는 이름으로 따로 얘기한다. 웹툰 연재때도 일부 얘기했던 내용들이 있지만, 단행본에서는 그 양을 훨씬 늘려 더 다양한 것들을 얘기한다.

편집도 좋다. 웹툰과 비교해봐도 처음부터 단행본을 생각하고 만들었다는게 보일 정도로 책 쪽이 더 낫다. 웹툰은 무료 연재 후 유료화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웹툰 연재는 단행본 미리보기로 생각해도 될 정도다.

다만, 아쉬운것은 이야기를 진행하다 교양지식 전달로 넘어가는것이 생각보다 자연스럽지 못하다는거다. 앗싸리 두부분으로 딱 나누지는 않았지만, 거의 둘이 구분되어있다고 봐도 될 정도로 이질적이다. 왜냐하면 일상적으로는 저런 지식들을 늘어놓지도 않고, 또한 그걸 진지하게 듣고있지도 않기 때문이다.


이정도면 해설 파트가 따로 있는것과 크게 다르지 않겠다는 생각도 든다.


이정도면 사실상 이야기 진행 도중 정보를 전달하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방식의 만화와 크게 차이는 없는 것 같다. 아니, 차라리 지식 설명이란게 현실적이지 않은 만큼 오히려 완전히 구분지어 설명하던 것 보다 별로라는 생각도 든다. 아직 처음이라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것이라고 봐야할지, 아니면 일정 수준의 지식을 전달하는걸 자연스럽게 이야기 중간에 끼워넣는다는게 그만큼 힘들다는걸 증명한 것으로 봐야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기대를 했었기 때문에 조금 실망한 것뿐, 전체적으로는 이야기나 진행에 크게 무리가 없다. 그리고 전달하는 메시지도 좋다.

웹툰에선 이미 다음 주제인 ‘에티켓’으로 넘어갔는데, 이것도 흥미롭게 따라가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100권, 즉 100개의 주제를 다룰 예정이라니 이제 막 시작한 ‘봉투’의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갈지, 또 목적인 ‘삶의 이유’는 찾을 수 있을지 궁금하고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생 12 - 아직 살아 있지 못한 자 : 비세 (시즌 2) 미생 12
윤태호 글.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미생 12권은 연재본 35수부터 54수까지를 모아 단행본 형식으로 엮은 책이다.




단순히 웹툰을 잘라서 페이지 단위로 나눈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페이지 방식으로 작업했다고 봐도 무리가 없을정도로 정리를 잘 했다. 아니, 이건, 미생이란 웹툰 자체가 그런식으로 만들어져서 가능한거다. 처음부터 페이지 방식을 염두해두고 만들었다는 얘기다. 그래서 단행본과의 차이는 일부 독백 장면이나 효과음 등이 다른 정도밖에 없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보기에는 놀랍도록 편하다. 비록 웹툰에는 편리함이란 마약같은 매력이 있긴 하지만, 그런데도 왜 책이 계속 나오고 또 나오기를 바라는지 여전히 잘 보여주는 것 같다.

다만, 독백 장면에서 글자가 그림을 덮어버리는것은 아쉽다. 이는 애초에 여백을 많이 두는 웹툰의 특징을 이용한 연출이었기 때문에 단행본에서는 어떻게 할 수 없어 그래 된 것 같다. 다행히 무리하게 덮었다 싶은 컷은 딱히 그림이 글보다 중요한것은 아니기에 보는데는 무리가 없었지만 그래도 역시 좀 아쉬웠다.




위즈덤하우스에서는 단행본으로 보는 사람들을 위해 미생 시즌2 줄거리 3분 요약 동영상도 공개했는데, 크고 굵직한 것들을 짧게 잘 정리했으므로 책을 보기전에 기억을 되살리는데 좋다.



* 책 내용에 대해서도 얘기하므로 주의 바란다.

12권의 부제는 ‘비세(非勢)’다. 비세란 바둑 용어의 하나로 ‘형세가 매우 나쁨’을 말하는 것이다. 등장인물들과 그들이 몸담고 있는 회사의 상태를 말해주는데 더 할 나위 없는 말인 것 같다. 그런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회사를, 또 삶을 끌어나가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짠하다.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가 나오지만, 그 중에서도 온길의 전무인 김동수의 활약은 눈부시다. 사실상 12권의 주인공은 김동수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의 모습엔 어디서 봤던 어른들의 모습이 들어있고, 점점 나이들어가는 내 모습도 조급씩 엿보인다. 그의 지질하면서도 거지같은 면모는 물론, 바뀌어가는 모습까지도 하나 하나가 그래서 더욱 인상적이었다.




미생 시즌1에는 큰 회사에 들어간 장그래를 띄워주기 위해서 분히 영웅같은 에피소드들도 만들어곤 했었다. 그게 이야기적인 재미는 있었던 반면, 현실성에서는 조금 동떨어진 느낌을 줬는데 미생 시즌2는 그런게 적다. 있더라도 약간의 작은 반전이고, 그건 우리 인생에서도 볼법한 것들이다. 그래서 더 가슴에 와닿는다.

바둑용어로 ‘온전히 살아있지 않은 것’을 뜻한다는 ‘미생(未生)’은 인간의 삶을 정말 잘 표현한 말 같다. 그런 인간들의 드라마를 잘 그려낸 작품이기에 미생은 재미도 있고 공감도 할 수 있는 작품이 된게 아닐까 싶다. 시즌 2에서도 그러한 면모엔 변함이 없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인 - 더 빨라진 미래의 생존원칙
제프 하우.조이 이토 지음, 이지연 옮김 / 민음사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인: 더 빨라진 미래의 생존원칙(Whiplash: How to Survive Our Faster Future)’은 빠르게 변화는 미래에 어떻게 적응하면 좋을지를 9가지로 나눠 얘기한 책이다.

미래에 대해 말하는 이 책은, 그러나 기존의 책과는 다른 관점에서 어떻게 해야할지를 얘기한다. 그 가장 큰 차이란 ‘미래를 예측하느냐’하는거다.

대게 미래를 예측하고 그 대비책을 생각해보는 책들은, 앞으로는 어떤 미래가 올 것이니 어떻게 대비해야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책은 아니다. 당당하게 모른다고, 심지어 ‘아무도 모른다’고까지 말한다. 미래는 예측할 수 없다고, 전문가나 소위 미래학자라는 사람들의 말은 이제까지 줄곧 틀려왔다고 말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는 말일까. 다음 9가지가 그거다.

1. 권위보다 창발
2. 푸시보다 풀 전략
3. 지도보다 나침반
4. 안전보다 리스크
5. 순종보다 불복종
6. 이론보다 실제
7. 능력보다 다양성
8. 견고함보다 회복력
9. 대상보다 시스템

뭔가 그럴듯한 이 9가지 원칙들은, 그러나 제목만 봤을때는 무슨 얘기를 하는건지 알기 어렵다. 하지만, 각 장에서 충분히 설명하고, 그것들에 해당하는 사례들도 예를 들기때문에 차분히 읽어나간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아니, 반대로 그렇게 해야만 왜 이런 원칙이 나온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있었던 것을 이용해 설명하기 때문에 더 이해하기 좋은데, 보면 애초에 이 원칙들을 머릿속에서 만든 후 실제와 따져본게 아니라 상황을 지켜본 후 얻어낸 것이란게 보이는 것 같다.

그렇게해서 결국 결론은 이렇다: 복잡성, 비대칭성, 예측 불가능성으로 인해 도무지 예측할 수 없는 세상이 됐으니, 회복력, 기민함, 배울것이 있는 실패를 중심으로 하는 조직을 만들어라. 그러면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이 터졌을 때도 대처할 수 있다는 거다.

이건 다시 줄이면 3번 원칙이기도 한 “지도보다 나침반”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 비유적인 이 표현은 그야말로 지도로는 알 수 없을 정도로 바뀌는 미래, 그 안에서 어떻게 목표지점까지 갈 수 있는가 하는것을 잘 함축한 듯 해서다.

기존과는 다르게 미래 예측 대신 행동의 기준을 제시한다는게 신선했고, 특정 미래에 대한 대처법이 아니라서 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쓸만한 원칙인 것 같다. 예시들을 보면 사실상 이미 증명된 원칙같기도 한데, 과연 지금은 생각도 못할 미래가 펼쳐졌을 때에도 정말로 도움이 될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좀비 연대기 클래식 호러
로버트 E. 하워드 외 지음, 정진영 엮고 옮김 / 책세상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좀비 연대기’는 좀비물의 원형이라 할만한 초기 좀비 이야기들을 모은 단편집이다.

수록된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참고를 위해 출판 정보도 함께 표시했다):

- 지옥에서 온 비둘기(Pigeons from Hell) / 로버트 어빈 하워드(Robert Ervin Howard) / Weird Tales, 1938
- 검은 카난(Black Canaan) / 로버트 어빈 하워드(Robert Ervin Howard) / Weird Tales, 1936
- 천 번의 죽음(A Thousand Deaths) / 잭 런던(Jack London) / 1899
- 노예에게 소금은 금물(Salt is Not for Slaves) / 가넷 웨스턴 허터(Garnett Weston Hutter) / Ghost Stories, 1931
- 귀환자들의 마을(The Country of the Comers-Back) / 라프카디오 헌(Lafcadio Hearn) / Harper’s Magazine, 1889
- 나트에서의 마법(Necromancy in Naat) / 클라크 애슈턴 스미스(Clark Ashton Smith) / Weird Tales, 1936
- 나는 좀비와 함께 걸었다(I Walked with a Zombie) / 이네즈 월리스(Inez Wallace) / 1943
- 화이트 좀비(White Zombie) / 비비언 미크(Vivian Meik) / Devils’ Drums, 1933
- 할로 맨(Hollow Man) / 토머스 버크(Thomas Burke) / Colliers, 1933
- 마법의 섬(The Magic Island) / 윌리엄 뷸러 시브룩(William Buehler Seabrook) / 1929
- 점비(Jumbee) / 헨리 S. 화이트헤드(Henry S. Whitehead) / Weird Tales, 1926
- 좀비 감염 지대(Plague of the Living Dead) / 앨피어스 하이엇 베릴(Alpheus Hyatt Verrill) / Amazing Stories, 1927

수록작은 모두 1800년대 말에서 1900년대 초에 쓰인 것들이다. 당시는 남북전쟁(1861-04-12 ~ 1865-04-09)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그래서 흑인에 대한 편견과 노예제의 잔재도 아직 남아있는 때였다.

그게 작품에도 영향을 줬는데(또는 활용됐다고도 볼 수 있겠다), 특히 로버트 하워드의 작품은 ‘에이브러햄 링컨: 뱀파이어 헌터(Abraham Lincoln: Vampire Hunter)’가 어떻게 나온 건지를 알려주는 것 같을 정도였다. 백인들이 가진 당시의 남부에 대한 편견 같은 것도 보이고, 흑인문화의 특수성(주술, 부두술)과 흑인 노예의 반란에 대한 두려움도 엿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링컨을 처음 봤을 때는 웬 편견과 차별, 비약 덩어리인가 싶기도 했는데, 그런 시대적인 편견과 두려움을 판타지 문학으로 승화한다면 충분히 그런 작품이 나올 수 있겠구나 싶기도 하더라.

작품에 등장하는 좀비 역시 옛날에 쓰인 초기 좀비물인 만큼 현대에 익숙하게 보아온 모습들과도 차이가 있다. 현대 좀비 판타지에서의 좀비는 일종의 ‘종족’이거나 외계인 또는 바이러스로 인해 생겨난 SF스런 결과물이다. 그러나 초기 좀비는 주술이나 부두술 같은 좀 더 종교적인 색채를 띤다. 그래서 ‘이게 좀비…?’싶을만큼 낯설기도 하다.

그렇다고 완전히 다른 것만도 아니어서, 보다 보면 현재의 좀비와 연결되는 것들도 보인다. 그래서, 좀비라는 게 어떤 식으로 변형되어 왔는지를 조금 엿볼 수 있기도 하다.

수록 작품은, 초기 좀비물 중에서도 고른 것이라서 그런지, 모두 단편이 주는 매력을 갖고 있다. 소재로 흥미롭고, 이야기도 재밌다는 얘기다. 다 읽고 나면 ‘이게 끝이야?’, ‘더 읽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그래서 현대 좀비물과 다르다는 ‘낯섦’은 부정적이지 않고 그저 신선하게 다가온다.

좀비물을 좋아하는 사람도, 호러물을 좋아하는 사람도, 또는 심령이나 요괴물을 좋아하는 사람도 모두 재미있게 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은유의 힘
장석주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은유의 힘’은 시가 담고 있는 여러 가지 주제들과 그 표현 방법, 즉 은유에 대해서 살펴보는 책이다.

이 책은 본디 월간 ‘시와 표현’에 연재했던 ‘권두시론’ 24편을 다듬어 묵은 것이다. 원래 연재본 이었던 만큼 다양한 주제가 담겨있는데, 각 장은 그에 대해 간단하게 얘기를 하다가 거기에 적당한 시를 소개하고 그걸 파헤쳐 보는 식으로 진행된다. 말하자면 일종의 시 해설서인 셈이다.

이는 또한 시가 얼마나 은유 덩어리인지를 보이고, 각 은유가 어떻게 쓰였는지를 나타내어 시에 은유를 어떻게 써야 할지 그 예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책에서 예로 든 은유들은 꽤 어려운 편인데, 그건 시인이 시를 쓸 때의 상태나 시대 배경 등도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걸 모르면 문장이 주는 느낌까지는 어떨지 몰라도, 그게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까지는 알기 어렵다.

작가는 ‘시는 머리가 아니라 몸에서 꺼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머리를 거쳐 생각한 후 쓰는 게 아니라 몸에서 흘러나오는 대로 쓰는 것이라고. 나는 이걸 이론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게 아닌, 읽으면 느낄 수 있는 그런 시를 써야 한다는 거로 이해했다. 그러려면 시는 비록 은유로 이뤄져 있되, 그게 뭔지 알기 힘들 정도로 어려워서는 안 된다.

하지만, 시가 다 그렇던가. 안 그런 것도 많다. 실제로 책에 수록된 시와 거기에 들어있는 은유들은 그렇게 쉬운 게 아니다. 오죽하면 책을 보면서 든 생각이 ‘왜 시가 인기 없는 문학인지 알 것 같다’는 거였을까. 철학까지 겸비한 시인들의 생각은 너무 깊고, 그들의 은유는 너무 어렵다.

그러니, 은유는 시인의 딜레마가 아닐까. 잘 쓴 시는 은유도 대단하겠으나, 그게 대단하면 할수록 대중에게선 멀다. 대중에게 가까운 시는 좀 더 일상적인, 대중들이 보기에도 몸에서 꺼낸 시다. 거기에 있는 건 뛰어난 은유보다는, 순간의 번뜩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