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 카레니나 세트 - 전3권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박형규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 번역본이 두 개 이상 나와 있는 책을 구입할 땐 미리보기로 일일이 번역을 대조해 보고 구입하는데 웬일인지 이번엔 그러질 않고 그냥 문학동네 것으로 구입을 했다. 완전 패착.

 

첫 문장을 읽는데 완전 질려버렸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무릇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p.11)

 

아니 이게 뭔 동요집도 아니고...

 

거기에 몇 줄 내려가 또...

 

한 여인숙에서 우연히 같이 묵게 된 사람들일지라도 자신들보다는 서로서로 훨씬 친근한 관계로 맺어졌을 거라고 느끼고 있었다. (p.11)

 

밑줄을 그어 지워버리거나 고쳐쓰는 부분이 발생하면서부터 이 책은 내게 수정본을 기다리는 가본이 되고 소장가치는 제로가 된다.ㅠㅠ

 

민음사에서도 똑같은 가격으로 50% 할인하는 책을, 다른 책이 급해 함께 끼워 넣어 주문하느라 번역을 대조해 보지 않고 구입했더니...ㅠㅠㅠㅠ 전집 비닐커버를 뜯었고 읽기 편하라고 표지를 접었으니 반품도 안 되겠지...ㅠㅠㅠㅠㅠ 그냥 문학동네를 믿었을 뿐인데 이런 배신을...ㅠㅠ

 

쓰린 마음을 부여잡고 미리보기로  확인한 민음사 판 번역은 다음과 같았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

 

 

  오블론스키의 집은 모든 것이 뒤죽박죽이었다. 아내는 남편이 전에 자기 집의 가정교사로 있던 프랑스 여자와 바람이 난 것을 알아차리고, 남편에게 더 이상 한집에서 살 수 없다고 선언했다.  이런 상황이 벌써 사흘째 이어지자, 당사자인 부부뿐 아니라 다른 가족과 하인들까지 못 견디게 괴로웠다. 가족과 하인들은 모두 오블론스키 부부가 함께 사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느꼈다. 심지어 여인숙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들도 오블론스키 가의 부부, 가족, 하인들보다는 사이가 더 좋을 거라고 그들은 생각했다. 아내는 자기 방에서 한 발짝도 나오지 않았고, 남편은 사흘째 집에 들어오지 않았다. 아이들은 부모 잃은 고아처럼 온 집안을 뛰어다녔다. 가정교사인 영국 여자는 가정부와 다투더니 친구에게 새 일자리를 구해 달라는 편지를 썼다. 요리사는 어제, 그것도 저녁 식사 시간에 맞춰 집을 나가 버렸다. 그리고 허드렛일을 하는 하녀와 마부는 급료를 계산해달라고 성화였다. (pp.13-14)

 

- 민음사 판

 

 

이쪽도 아쉬운 부분이 아주 없는 건 아니지만 내용이해가 훨씬 선명하게 잘 된다. 문학동네 것은 다음과 같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무릇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오블론스키 집안은 모든 것이 어수선하게 들떠 있었다. 아내는 남편이 전에 그들의 집에서 가정교사로 있었던 프랑스 여인과 관계를 가졌다는 것을 알고, 남편에게 더이상 한집에서 살 수 없다는 말을 내놨다. 이러한 상태가 벌써 사흘째나 계속되어 당사자인 내외는 물론 가족들과 같이 사는 사람들까지 더할 수 없는 괴로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들 모두 자신들의 동거생활은 무의미하며, 한 여인숙에서 우연히 같이 묵게 된 사람들일지라도 자신들보다는 서로서로 훨씬 친근한 관계로 맺어졌을 거라고 느끼고 있었다. 아내는 제 방에서 얼굴도 내보이지않고 남편은 사흘째 집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아이들은 온 집안을 마치 부모를 잃은 아이들처럼 뛰어 돌아다니고, 영국인 가정교사는 가정부와 말다툼을 하고 친구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주었으면 한다는 편지를 썼다. 그런가 하면 어제는 또 요리사가 식사시간에 맞춰 자취를 감춰버렸고 가정부와 마부까지도 급료를 계산해달라고 하였다. (pp.11-12)

 

- 문학동네 판

 

 

그러니까, 행복한 가정들의 모습은 다 비슷한 모양새인데 (그림이 그려진다) 불행한 가정들의 사연은 다 제각각으로 다양하다는 말이다. 근데 대체 행복한 가정은 고만고만하고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 불행하다는 건 대체 뭔 뜻이냐고..ㅠ

 

<"가족들과 같이 사는" 사람들>은 누구고 "동거생활"은 또 뭐냐고...ㅠㅠ 영국인 가정교사는 갑툭튀 친구를 위한 일자리를 부탁하는 편지를 누구한테 썼다는 거지?? 요리사는 담배 피러 갔나? 가정부와 마부가 급료 달라는 게 뭔 문제? ('성화'라고 하면 뭔가 줘야 하는데 못 주고 있다는 걸 내포하지만)

 

문학동네판을 읽으며 뭔가 안개속을 헤매는 것 같은 찜찜한 느낌은 민음사 판을 읽으며 걷히고 무슨 뜻인지 선명해진다.

 

문학동네판 역자 약력을 보니 러시아문학회 고문, 러시아 톨스토이 박물관 '벗들의 모임' 명예회원, 고대 교수...

 

이 21세기에까지 왜 이런 안개가 낀 것 같은, 무슨 소린지 종잡을 수 없는 번역으로 세계명작을 읽어야 하나 싶다.

 

(돌이켜 보니 저 위 100자평에 "최고의 번역을 찾는 사람들에게 추천"이란 문구가 구매에 결정적 역할을 했던 것 같다. 또 밑에 다른 분이 "미친듯한 웹서핑 끝에 박형규 교수의 번역이 좋다는 이야기를 보고"란 문구도 있었구나. 웹상에 고대 제자들이 작전을 펴고 있나? 종이도 잘 바래지 않는 얇은 미색 종이로 내가 젤 좋아하는 재질인데 내용물이 이게 뭐냐고...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독 2013-04-25 14: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번역 문체에 대한 취향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님이 지적한 부분에서 민음사판은 오역을 하고 있습니다. 번역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그대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박형규 선생의 번역은 톨스토이의 원문에 가장 충실한 번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하인(слуга)’이라는 러시아 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톨스토이가 굳이 ‘같이 사는 사람들(домочадец)’이라고 표현한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домочадец(domochadets)라는 단어는 단순히 하인 등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한집 안에서 함께 거주하는 사람들, 가족이나 다름없이 한집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러시아 아카데미판 사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박형규 선생님의 답변)


"다음의 문장을 보시면 민음사판은, ‘오블론스키 부부가 함께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이 무의미하다고 느꼈다,는 뜻으로 번역했지만 이렇게 번역을 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비록 톨스토이의 단순한 문장이라고 할지라도 그 속에는 많은 비밀이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 '오블론스키 부부'라고 번역한 대문은, 원문에는 '오블론스키 부부'라고 되어 있지 않고 다만 소유대명사인 'ikh', 즉 '그들의' 혹은 '저네들', '자기네의'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블론스키 부부라고 번역해서는 안 되고 그저 막연하게 '그들의' '자기네의'로 번역해야 합니다. 그래야 바로 이어지는 뒷문장과도 구문론상으로 일치됩니다." (박형규 선생님의 답변)


이런 상황이 벌써 사흘째 이어지자, 당사자인 부부뿐 아니라 다른 가족과 하인들까지 못 견디게 괴로웠다. 가족과 하인들은 모두 오블론스키 부부가 함께 사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느꼈다. 심지어 여인숙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들도 오블론스키 가의 부부, 가족, 하인들보다는 사이가 더 좋을 거라고 그들은 생각했다. (민음사판)


당사자인 오블론스키 부부는 물론 그의 가족들과 그들과 같이 사는 사람들 ‘모두가 자신들이 한집에서 사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한 여인숙에 우연히 같이 묵게 된 사람들보다도 친근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면서요.


이러한 상태가 벌써 사흘째나 계속되어 당사자인 내외는 물론 가족들과 같이 사는 사람들까지 더할 수 없는 괴로움을 느끼고 있었다. 그들 모두 자신들의 동거생활은 무의미하며, 한 여인숙에서 우연히 같이 묵게 된 사람들일지라도 자신들보다는 서로서로 훨씬 친근한 관계로 맺어졌을 거라고 느끼고 있었다. (문학동네판)



로쟈님의 번역 비교 글도 참고가 되실 듯하여 덧붙입니다.
[로쟈의 번역서 읽기] 번역본 4종이 선사한 즐거움이란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458963.html

그렇게혜윰 2013-04-25 16: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 땜에 책을 구입하시고 배신감에 부들부들 떨고 계서서 괜히 죄송하네요. 근데 전 지금 비교하신 글을 보아도 문학동네 판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론적 근거야 위에 오독님께서 잘 설명해주신 것 같고, 민음판도 이해엔 별 어려움이 없지만 문학적인 느낌은 제 개인적으로는 박형규 번역가님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모든 번역본을 읽어본 것이 아니므로 지금 생각해보니 '최고'라는 표현은 과장되었네요. 그 추천평은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하지만 제가 읽어본 중에 최고는 맞는 것 같아요. 사실 번역을 비교해 볼만큼 객관적 소양을 갖추지 못했기에 설득할 수 없을 것 같아 이만 공개적 디스를 당한 사람으로서 약간의 변명을 해 봅니다. 아차, 전 박형규 교수가 저렇게 나이드신 분인 줄은 뿌시킨하우스에서 톨스토이전집 낸다는 기사를 보고서야 알았어요. 고대출신인지도 사실 잘 기억하진 못했네요.

porque 2013-08-18 10: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책만먹어도님께/ 공개적으로 디스까지 한 건 아닌데 그렇게 심하게 느끼셨다면 죄송하네요. 아이디 빼고 무명처리하도록 할게요. 그리고 고대제자들이 웹상에서 작전을 펴고 있나보다라고 한 건 님들을 지칭한 게 아니라 빙빙님이 웹을 검색해 보니 그런 내용들이 있었다 하셔서 그렇게 다른 웹상에서 의도적으로 박형규 교수 번역이 좋다는 말들을 쓰는 사람들이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는 뜻이었고요.

오독님/ "오블론스키 부부가 함께 사는" 부분에 대한 지적은 이해했지만 그래도 제 생각에는 변함이 없네요. 제가 지적한 "가족들과 같이 사는 사람들" 부분의 문제는 "가족들, 그리고 집에 함께 사는 다른 사람들"로 읽히지 않고 "가족들과 같은 집에서 사는 사람들"로 "가족들"이 목적어(?)로 처리되도록 읽혀지기에 정작 "가족들"은 괴로움을 겪는 주체에서 제외된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톨스토이가 "하인들"이라 하지 않고 "같이 사는 사람들"이라 한 것은 당근 가정교사의 경우 하인이 아니기 때문이었을 텐데 그래도 독자 입장에서 "가족들과 하인들이 괴로움을 느꼈다"는 걸로 이해하고 넘어갈 때 가정교사를 하인의 카테고리에 넣어버렸다는 문제의 발생은 <<<읽는 사람 입장에서의!>>>> 내용 이해에 있어 사소하다 할 수 있는 반면 "가족들과(<-이 부분은 목적어로서) 함께 사는 사람들"이란 대체 어떤 군식구를 말하며 그들이 왜 가족들보다 위에 군림하는 것처럼 참을 수 없어 한다는 거지?라는 의문이 들게 하며 내용이해에 심각한 블락을 초래하는 문제는 독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합니다. 둘 다 완벽하지 않은 번역이라 쳐도 문제의 스케일이 다르다는 겁니다. 오역으로 치면 "가족들"이 목적어로 읽히게끔 번역한 오역이 더 큰 오역이란 말입니다. 또한 톨스토이 시대의 귀족 독자들이라면 "같이 사는 사람들"이라고만 에둘러 표현해도 그게 하인들과 가정교사등을 지칭한다는 것을 알았겠지만 현대의 한국독자들에게는 그게 와닿지 않기에 시대와 문화가 바뀌면 번역도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아니면 주를 달든지)

말씀하신대로 번역에서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는 것은 직역이어야 한다는 것보다 오히려 우리말로도 의미가 정확히 이해되게 읽어내려갈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 생각합니다. 러시아 사람들이 논리적으로 아무런 문제 없이 이해하면서 읽어내려가는 글이라면 우리한테도 그렇게 읽혀야 한다는 말이죠.

그런데 "행복한 가정은 고만고만하고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 불행하다"는 말에선 "행복한 가정의 이미지는 한 가지 모습인데 반해 불행한 가정들은 다양한 사연들을 갖고 있다"는 원래 뜻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소설 특히 대가의 소설들에서 첫 문장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실 테죠. 이 작품의 첫 문장도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의미를 갖는다 생각합니다.

첫 문장을 그렇게 동요집 쓰듯이 이상하게 번역해 놓고 원문에 충실한 번역을 운운하시려면 학술서적으로 출간하셔야지 일반인들이 한국어 소설 읽듯 읽는 문학전집을 번역하시면 안 된다고 생각되고요.

하지만 이 책도 (1권 읽다 만 상태지만) 앞부분을 지나 읽어갈수록 그런대로 의미전달에 큰 무리 없이 읽혀진다 생각합니다 (내용이 전개되면서 설명보다는 대화와 행동으로 이어졌기 때문일지 모르지만). 개정판을 내실 때 특히 도입부를 포함해 번역을 좀 더 다듬어주신다면 구입자들이 종이가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joancreator 2021-02-05 0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완전 공감합니다. 읽는내내 짜증이...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