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빙하우스 망각곡선을 통한 학습법

 

 


독학으로 역사학과 언어학, 철학 그리고 심리학을 공부한 에빙하우스는 기억에 대한 새로운 지표를 열었다. 그는 1885년 <기억에 관하여>라는 책을 통해 기억이 가지는 특징을 학문적으로 증명하기 시작했다. 학습후 초기 9시간은 기억히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뒤로는 서서히 줄어든다는 것이다. 에빙하우스는 시간에 반비례하는 망각을 막기 위해 최소한 네 번의 반복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넘어갈 수 있다고 보았다.
학습 10분 후부터 망각이 시작되어
1시간 뒤에는 50% 소실
1일 후에는 70% 소실
1달 후에는 80% 망각한다.
망각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습해야할 때는 한 시간 후, 하루 후, 일주일 후, 한달 후가 되는 것이다.


Hermann Ebbinghaus
 

  

 


이것을 실제로 실행해 옮겨본 사람이 있는데 그는 마인드맵의 창시자인 토니부잔이다. 그의 책인 <Ues Your Head!>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한다.
 
최초의 복습은 학습후 1시간 후 10분 복습하면 일주일 동안 기억
하루 뒤 2-4분 동안 복습하면 일주일 동안 기억
두번 째 복습 후 2분 복슴하면 한달 동안 기억
세번째 복습 후 한달 뒤에 복습하면 6개월 이상 기억하게 되는 장기기억으로 넘어간다.
그 뒤로는 살짝 보기만 해도 기억이 되살아 난다.

 

 

 

 

 

 

 



 

 

 

 

 

 

 




 





이 이론의 의외의 결과는 실제로 학습 후 한시간 뒤 복습을 해도 처음배운 것처럼 100%상태로 기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명확한 이해가 없이 무작정 외우거나 부정적인 생각으로 기계적으로 외우기 때문이다. 학습을 할 때는 부정적인 생각은 뇌에서 노드안드레날린이 분비되면서 기억이 잘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하게 되면 뇌는 알파파를 분출하면서 순식간에 몰입할 수 있으면 기억하는 데에도 많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바라 민토, 논리의 기술
바바라 민토 지음, 이진원 옮김 / 더난출판사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민토 피라미드를 통해 모두가 공감하고 학신하는 결론에 이르게 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간행물 윤리위원회 2011년 4월 청소년 권장도서
 

한국간행물 윤리 위원회에서 발표한 4월 청소년 권장도서목록입니다.  각 10개의 분야에서 전문가를 통해 청소녀들이 읽어야할 책들을 선별하였습니다.

1. 문학 / 여행자 예찬 / 프란츠 카프카-이준미 / 하늘 연못 



 

 

 

 

 

 

 

 2. 역사 /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 / 디 브라운-최준석 / 한결레출판

 


 

 

 

 

 

 

 

3. 철학 / 철학의 숲, 길을 묻다 / 박일호 외 / 풀빛
 

 

 

 

 

 

 

 

4. 정치 사회 / 우리는 왜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을까 / 멜라니 조이 / 노순옥
 

 

 

 

 

 

 

 

5. 경제경영 / 어른들이 말하지 않는 돈의 진실-송승용 / 행성비온다  

 

 

 

 

 

 

 

 


6. 과학 / 우리 몸은 석기시대 / 데트레프 간텐 외-조경수
  

 

 

 

 

 

 

 

 

7. 예술 / 혼자 가는 미술관 / 프랑크 슐츠 외-김재웅 / 미술문화
 

 

 

 

 

 

 

8. 교양 /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천국의 세계 / 구사노 다쿠미 글 서영철 그림-박은희 / 삼양미디어 

 


 

 

 

 

 

9. 실용 / 십대를 위한 재미있는 어휘 교과서 / 서보건 / 뜨인돌 
 

 

 

 

 

 

 

10. 아동 / 거짓말 같은 이야기 / 강경수 글, 그림 / 시공주니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분 만에 책 한권은 뚝딱 해치운다! 정말?


못 믿겠지만 5분 안에 책을 한권 읽을 수 있다. 정말일까? 정말이다. 
대개의 사람들은 모든 책을 정독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독서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특징은 책을 읽다가 앞의 부분이 기억나지 않으면 다시 돌아가 그곳부터 읽는다.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 절대 독서는 한 번 읽으면 절대 되돌아 보면 안된다. 소설처럼 인물이 누구인지, 앞의 스토리가 어떻지에 알아보는 것쯤 괜찬지만 대개는 그럴 필요가 전혀없다. 

어떤 책은 제목봐도 되고, 어떤 책은 저자만 봐도 알고, 어떤 책은 목차만 보면 내용을 알 수 있다. 논문과 같은 책들은 서두와 마지막 결론만 보면 된다. 쓸데 없이 책을 몽땅 읽는다고 시간을 허비할 필요는 없다. 어떤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 가를 배워야 하지만 대개는 정독할 필요가 없는 책들이 대부분이라는 사실은 알고가자.

자 이제 5분 안에 한 권의 책을 떼는 방법을 알아보자. 


[일하면서 책쓰기]라는 책을 읽어 보자. 이 책에 대한 리뷰는 나중에.......

 
 
 
 
 
 
 
 
 

 
 
 
먼저 제목, [일하면서 책 쓰기]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주제는 책을 쓰는 방법론을 말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을 수  있지만 이 책은 그렇다. 그러니 내용은 대충 감이 온다. 


2011-04-09 토 050.JPG

표지를 주목하라.

출판업계에서 일해본 사람이라면 표지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금새 알아 차린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목과 표지를 보고 책을 산다. 책은 곧바로 읽지 말고 표지를 뒤적 거려야 한다. 표지의 겉이나 안쪽에는 이 책의 중요한 주제들을 선명하게 알려주는 단서들이 많다.
 
먼저 지은이가 둘이다. 탁정언,전미옥.. 나는 그들이 누군인지 모른다. 그러나 저자 소개란에 대해 그들에 대해 알게된다. 그들의 다른 책이나 경력들을 통해 어떤 방향으로 쓸 것인지를 눈치챈다. 저자에 대해 알아야 어떻게 책을 읽을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믿고 읽을 수 있는 것이다. 불필요한 책은 읽을 필요가 없지 않는가.


2011-04-09 토 051.JPG

다음으로 살필 것은 바로 뒷 표지...
표지의 중요성은 앞에서도 언급했다. 표지는 출판사에서 책의 내용을 요약하고 어떤 것을 말하려고 하는지를 몇 문장으로 정리해 준다. 이 책은 2시간 동안 공들여 읽었지만 별다른 내용은 없었다. 중간중간 도표와 마지막 결론 부분만  읽어도 되는 책이었다. 

2011-04-09 토 061.JPG

가장 중요한 것은 목차다.
목차는 시작이자 마지막이며,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려준다. 그러니 책을 읽지 않고 제목만 봐도 그냥 알 수 있다. 초보자는 감이 잘 안올 수 있지만 독서광인 나에게 제목과 목차만 봐도 이 사람이 책을 얼마나 잘 쓰는지 엉성한지를 그냥 알 수 있다. 논문에서도 목차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아는가? 하여튼 목차가 책의 70%를 차지하니 꼭 보라. 목차를 통해 책의 전반적인 흐름을 잡을 수 있고, 불필요한 부분은 걸러내고 필요한 부분만을 읽을 수 있다.


2011-04-09 토 052.JPG



자 내용으로 들어가 보자......

표와 그림, 도식에 주의하라.

모든 내용을 읽지 말라. 성경이나 논어 같은 책들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책들은 거의 대부분 주제와 반어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말하고자 하는 것을 돌려서 이야기 한다. 그러나 책 중간중간에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하거나 도표를 통해 깔끔하게 보여준다. 그러니 텍스트를 읽지 않아도 되지만 도표나 메모 등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라. 

그림이나 표는 글과 별 상관없는 책도 있지만, 이런 기획서 같은 것은 도표나 그림에 중요한 것을 모두 담아둔다. 글은 그림을 설명하는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2011-04-09 토 054.JPG

중간중간의 메모에 주의하라.
많은 책들은 이렇게 중간중간에 친절하게도 메모를 해두었다. 앞의 글을 정리하면서 글의 내용을 선명하게 보여주며 정리한다.

2011-04-09 토 055.JPG

도표는 어떤가? 
이 도표 하나 만으로도 저자가 무엇을 말하고 싶어하는 가를 한눈에 알아 본다. 

2011-04-09 토 057.JPG

논문은 대개 서론과 결론을 읽으면 되고, 이런 기획서는 보통 결론은 없고 내용을 봐야한다. 그래서 도표나 이미지들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 읽었다. 
5분이란 길고도 짧은 시간이다. 어쨋든 5분이면 이런 가벼운 책은 읽고도 남는다. 
그러니 별로 중요하지 않는 책을 가지고 하루종일 씨름하지 말라. 
그것은 낭비일 뿐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그런 책이라는 것은 아니다. 하여튼 책의 중요도를 결정한 다음 가벼운 책은 가볍게 읽어야 한다. 이런 식으로 하루에 20권도 읽을 수 있다. 그 이상은 읽지 말라. 한꺼번에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가면 다 잃어 버리기 때문이다.
 
독서법에 관련된 책들은 아래의 책을 참고하면 좋습니다. 제가 가장 추천하는 책은 애들러 [생각을 넓혀주는 독서법]입니다. 근래에 쓰여진 책도 다각도의 독서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낙화 2011-07-11 07: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제가 가장 경계하고 저와 정 반대되는 독서법을 말하고 있어 들렀습니다.
이러한 독서법이 주는 잇점이 과연 무엇일지 궁금해서요.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낭만인생 2011-07-13 17: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방법은 고전이나 무게가 있는 책을 읽는 방법이 절대 아닙니다. 간단한 정보나 내용을 훑어보는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우어엌이? 2013-10-20 0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떤 분이 이 글을 링크하면서 책을 말도 안 되는 방식으로 비난하고 있더군요... 5분짜리 책이라면서.
본문의 말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었던 것 같네요. 독서 방식이라는 것이 수없이 다양한데 너무 이 방식에 대해 확고하게 표현 하신 듯 합니다. 그러니 앞서 말한 '어떤 분'도 본인에게 맞게 수용하지 못하고 곧이 곧대로 받아들여 잘못된 방향으로 글을 인용하셨네요.ㅋㅋ
 

공부, 공부, 공부에 미쳐야 산다. 

 

공부에 미쳐야 한다. 미치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수 없다. 공부라면 일단 홍정욱의 7막7장부터 읽어야 한다. 이 책을 읽다가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를 알아야 하니까...

 

 

 

 

 

 

 

 

공부.. 미쳐라 10대, 20대, 30대, 40대 놀 시간이 없다. 공부에 미쳐야 한다. 늦었다고 말하지 말라. 공부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남자의 평균연령도 70을 넘었으니 40이라고 놀지 마라.

 

 

 

 

 

 

 

 

공부의 방법은 뭘까  

공부의 방법에는 수도 없이 많다. 다만 왕도가 없다는 것, 그러나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말고 핵심을 찔러 공부하라. 몰입하라. 그리고 사랑하라.

 

 

 

 

 

 

 

 

 

  

 

 

 

 

 

 

여기서 가장 추천하는 책은 [진짜 공부는 서른에 시작된다] 단기간의 점수 올리기가 아닌 자아실현을 위한 장기간 프로젝트 공부법을 소개한다.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진짜 공부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