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배꼽, 그리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문명의 배꼽, 그리스 - 인간의 탁월함, 그 근원을 찾아서 박경철 그리스 기행 1
박경철 지음 / 리더스북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시골의사' 박경철. 그가 이십대 청년 시절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저작을 읽으며 서양 문명의 배꼽인 그리스 기행을 꿈꿔왔다고 합니다. 가슴에 묻어두었던 꿈을 펼치기 위해 지천명을 앞두고 그리스를 비롯해 세계 곳곳의 문명을 순례하는 노마드의 삶을 새롭게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의 발과 눈, 마음을 따라 그리스 여행에 동참합니다.


저자는 여행을 떠나기 전에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저작들을 구할 수 있는 만큼 구해서 읽고 또 읽었鳴� 합니다. 저자는 니코스가 그리스에 대해 언급한 말을 서문에 인용하는군요. "그리스의 얼굴은 열두번씩이나 글씨를 써넣었다 지워버린 팰림프세스트이다." 쓰인 글자를 지우고 그 위에 다시 쓰게 되어 있는 양피지인 팰림프세스트처럼 열두 가지의 서로 다른 빛깔을 지난 나라 그리스.


저자가 굳이 이렇게 길고 고된 여행을 택한 이유는 간단하고도 분명하다고 합니다. '즉물궁리(卽物窮理)', 곧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궁구해야 한다는 가르침에 따르고자 했다 합니다. 더디고 고될지라도 현장으로 나아가야만 비로소 내가 만나고자 하는 한 문명과 역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는 이야깁니다. 그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그리스는 지중해의 태양 같은 뜨거운 격정과 말라비틀어진 마른 풀 같은 무기력이 공존하고, 처음 만난 여행자를 집으로 들여 재워주는 인류애적인 친절과 백주대낮에 불법체류자를 둘러싸고 돌을 던지는 야만이 공존한다."


그리스 여행을 위한 비수기는 9월에서 4월 사이군요. 기억 해놔야겠습니다.  저자가 가는 곳곳마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주인공들이 등장합니다. 저자가 지니고 있는 신화에 대한 식견이 상당합니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 매우 오랜 기간 책과 자료를 통해 준비했음을 느낍니다. 특이한 것은 저자와 여행길을 함께 하는 이가 있는데, 그는 곧 니코스 카잔츠키스 입니다. 저자가 읽은 책 속에서 니코스가 살아나와 여정을 함께 해주고 있습니다. 곧 니코스가 곁에서 해주는 말은 니코스의 저작에 나오는 귀절들입니다. 


"아르고스는 스파르타에 맞서 공화정을 유지하려 한 펠로폰네소스 반도내의 거의 유일한 도시였다. 따라서 펠로폰네소스 내에 고립된 성과 같았고, 조상들의 그런 기질은 지금도 여전히 아르고스 사람들에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고 한다. 헤르메스의 시링크스에서 쉬 잠들지 않았던 100개의 눈을 가진 '아르고스'처럼, 그들의 자존심도 그리 쉽게는 잠들수 없는 모양이다."


저자의 여정은 생명의 길로 불리우는 '바사이'로 향합니다. 그곳에 잠시 머무르는 동안 그리스 사람들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인 공동체에 대한 무한한 사랑과 자부심을 느낍니다. 그리스 사람들 정말 대단하군요. 해발 1,130미터 지점에 신전을 세워놓았으니 말입니다. 그것도 도리아 양식의 육중한 돌기둥을 자랑하는 대 신전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아폴론 에피쿠리우스 신전입니다. 이 신전은 언제 어떻게 지어졌는지 아직도 미궁에 싸여 있다고 하는군요. 


'스파르타 교육','스파르트식 교육'이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는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습니다. 작금의 상황에선 기숙학원의 모토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만, 스파르타식 교육은 자녀 교육에 모든 것을 거는 열혈엄마들의 로망이라고도 볼 수 있겠지요. 보수주의자들에겐 '스파르타식'이라는 향수가 통제와 규율을 위한 조건이라고도 생각하지 않을까요. 군사강국을 지향한 '획일적 패권주의'로 표현되는 '스파르타'에 대한 저자의 상념은 길게 이어집니다. 스파르타의 전사들은 '자신'이 아닌 '국가'를 위해 싸웠다고 합니다. 그들은 전정에 나서면 목숨을 구걸해 살아 돌아오기보다 죽어서 방패 위에 실려서 돌아오기를 바랐다고 하는군요. 스파르타인들은 남녀 모두 모든 면에서 탁월함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아직도 스파르타의 역사에 대해선 풀지 못한 수수께끼가 더욱 많다고 하는군요. 


그 외에도 스파르타의 특징적인 체제가 관심을 끕니다.

첫째, 스파르타의 법은 문자로 남기는 것이 아니라 관습으로 계승되는 것을 대전제로 했다.

둘째, 법의 주요 원칙은 원시 공산주의적 규제에 가깝다.

셋째, 왕이 둘이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게루시아'라는 원로원을 구성해서 시민권과 왕권 사이에서 중요한 균형추의 역할을 했다.

넷째, 경제의 기반인 토지소유는 관한 것인데, 스파르타 시민들에게 동일하게 분배를 해서 완전한 평등체제를 유지했다는 점. 등이 특징적인 요인으로 설명됩니다.


저자의 글은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군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지식은 물론 그곳, 그네들의 역사를 꿰뚫으면서 그가 발길을 내딛는 곳마다 깊은 설명을 해주고 있습니다. 2011년 겨울부터 시작한 여행은 앞으로도 계속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리스 전체를 횡단하는 것은 물론 고대 그리스 권역을 아우르는 마그나 그라이키아 등으로 이어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모두 열 권의 책으로 정리할 계획이라고 하니 독자의 입장에서 그의 여정이 잘 이어지길 기대합니다.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임종 직전에 쓴 메모글이 저자의 심정을 대변해주고 있는 듯 합니다.

"나는 이제 연장을 거두고 집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것은 두렵거나 지쳤기 때문이 아니라, 다만 해가 저물었기 때문이다."  저자의 남은 여정에 건강과 행운이 함께 하길 기원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