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우스콘서트 서울기타콰이엇 공연을 봤다. 무대에서 공연을 관람하는 것 자체도 신선했고 기타 주법이며 손가락 움직임을 눈 앞에서 지켜보니 신기했다. 진지하고 사려깊게 기타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도레미송에 신이 나서 예전에 조카랑 외웠던 노래를 흥얼거리고 자작곡의 제목만으로 전해지는 음악 분위기와 감정들을 느꼈다. 앞으로도 이런 기획과 공연이 자주 열렸으면 좋겠다. 시골은 문화소외 지역이라고 하지만 문화가 꼭 공연만 있는건 아니라 그동안은 적적함이 크지 않았다.

 

 오히려 사람 자체가, 사람들 사이의 관계와 어슷거리는 이야기들이 문화라고 생각했다. 다행스럽게 하는 일이 재능을 가진 분들을 접하고 함께 궁리하는 일이라 내 경우에는 오히려 도시에서보다 문화가 풍족해졌다. 게다가 흔한 말로 책 몇권은 됨직한 사연을 가진 어르신들과 함께 지내니 부족한건 세렴됨이요, 아쉬운 건 주류의 문화 같은 것 정도였다. 오랜만에 흔히 문화란 말에서 떠올리는 정형화된 공연을 접하니 그 나름대로 즐거웠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a의 핸드폰에서 가사를 찾아내 도레미송을 불렀다. '도'는 암사슴~ 레는 떨어지는 햇살, a가 부끄러워 저만치 도망쳤다.

 

 

                           야옹

 

* 워크숍을 빙자한 술자리에서 기타를 좀 칠줄 아는 사람이 기타를 집어들었다. 연가나 바위섬 같은 말랑말랑한 노래를 부탁했는데 맨 나오는게 김광석 노래였다. 감정에 심취한 연주자의 '서른 즈음에'가 나왔다. 잘 부르는 노래도 아니었고 그 분위기에 어울리는 것도 아니었다. 그런데 툭, 눈물이 났다. 나는 내가 청춘이고, 내 청춘이 조금씩 가고 있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다. 나이는 몇인지 알되(가끔 까먹기도 하지만) 별다른 인식을 하면서 살지 않았다. 어려보인다거나 늙어보인다는 남들의 이야기는 귓등으로 흘렸다. '나는 나'라는 것보다 무감각했다는 게 더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나이답지 않다거나, 나이보다 어쩌고란 덧붙이는 말에 우쭐한적은 있었지만 역시 무감했다.

 

 나이가 들든 하루하루 해내야할 일이 있고, 그 일을 잘하고 싶은 맘, 조금씩 아픈 어깨, 뭐 이런 것. 그래서 '서른 즈음에'의 어떤 것이 이렇게 맘을 아프게 했는지 궁금하지 않았다. 그런데 그렇게 무감하게 살아도 되는지, 이대로도 족한지에 이르자 다시  툭, 눈물이 나왔다. '기다려줘'를 목터져라 부르는 사람에게 왜 시간을 주지 않고 다그쳤는지도 생각했다. '일어나'란 노래가 나오자 부흥회처럼 다들 일어나 박수를 치고 난리도 아니었다. 아무런 결론이 필요하지 않은 술자리에서 나라 잃은 백성들처럼(이 표현은 짠하면서 적절하다) 먹고 마셨다. 

 

 

 

 

 *

 

 

 

 

 

 

 

 

 

 

 

 

 

 어깨가 아팠다. 운동을 하거나 병원 가는 대신 책을 집어들었다. 수술과 물리치료로 통증을 치료하는데 문제의식을 갖은 의사가 내 몸은 내가 잘 알고 돌볼 수 있다는 입장에서 쓴 책. 자신의 세계에 빠져 글을 쓰거나 강압적이지 않게 몸의 원리와 통증의 원인을 다뤘다. 이 책을 읽는다고 단박에 아픈 어깨와 어깨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나은 건 아니다. 요가를 시작했고 자기 전후로 스트레칭을 한다. 30대가 넘어서면서 안 아픈데 빼놓고 다 아프다. 20대 때 왕성한 활동을 보여준바 없음에도 왠지 그 시절 젊은 몸에 대한 아련함 같은 게 생기는 계절이다.

 

 

* 평상에서 까치발을 해가며 짖는 멍멍이.

시골에는 멍멍이가 많다. 멍멍이들은 좁은 철장에 갇혀있거나 짧은 끈에 묶여있다. 며칠동안 밥을 안 먹었는지 모를 정도로 초췌한 멍멍이도 지 주인이 나타나면 꼬리가 안 보일 정도로 흔들어댄다. 안쓰럽고 속상하다. 내가 해줄 수 있는 게 없어 속상하고 보답받지 못한 사랑에 애를 쓰는 모습이 안쓰럽다.

 

 

* 오늘 밥 먹으러 가는 길에 슬슬 단풍이 올라오는 게 보였다. 요즘 내가 일하는 곳에서 컨설팅을 받는데 모든 것을 수치화한 데이터를 갖고 있어야 정보로서 의미가 있다고 했다. 감각적으로 단풍이 조금씩 들기 시작한다는 말보다 전체 산의 20%가 단풍이 될 때부터 단풍철이란 수치화된 정보. 좋아하는 언니는 그런 말을 했다. 일을 열심히 하는 건 역량이 자라는 것이고 관계 속에서 나를 투영하고 부딪히면서 쌓아가는 건 성장이라고. 자꾸 일로 우회하는 건 관계맺음의 고단하고 피곤한 과정을 피하고 싶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 일생의 목표가 성장인 나는 부지런히 사람을 만나고 대화하고 침묵한다. 대화할수록 이해한다기보다 오해한다. 상대방의 말을 듣기보다 자신의 말이 먼저다. 자신이 처음 갖은 씨앗 생각은 절대 바뀌지 않는다. 만날수록 답이 안 나오지만 이렇게 만나고 사귀면서 조금씩 서로가 할 수 있는 것, 양보되지 않는 부분등을 파악한다. 어렸을 때 사람들 사이에서 부딪히거나 고민하기보다 혼자 있길 좋아해서 여전히 이 부분이 가장 어렵다. 혼자 심각하고 예민하게 받아들여 상처받는다. 하지만 첫 마음, 이거 하나 믿고 계속 밀고간다. 그리고 조금씩 재미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뷰리풀말미잘 2014-09-26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간만에 아치님 페이퍼를 그냥 넘어갈 수 없지. ㅎㅎ 구텐탁! 글도 마을도 아름답군요.

다락방 2014-09-26 2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 소식 전해줘요 아치.

Arch 2014-09-27 11: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주 소식 전할게요. 일기 대신 페이퍼 모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