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루레이]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 : 한정판 오마주 컬렉션 - HD 리마스터링
홍상수 감독, 이응경 외 출연 / 컨텐트존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모더니즘의 시작
아주 우연히 아주, 지금 방송하고 있는 kbs일일저녁 드라마<오늘부터 사랑해>를 보던 중 이응경과 조은숙이 같이 출연하는 것을 보고 불현 듯 희미하게 잊혀져 버린 아련한 기억이 떠올랐다. 너무나 바랜 옛 사진을 보는 것 마냥 이것은 기억에 대한 판타스틱한 복구이며 고즈넉한 재현이다.
이 두 여인은 지금으로부터 19년 전 정확히 1996년 홍상수의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에서 삼류소설가 효섭을 사이에 두고 질투를 벌이던 사이였으며 결국에는 그들의 삼각관계는 비극이라는 파멸의 길을 걷고 만다. 그런데 홍상수는 여기서 주인공이었던 김의성은 그의 예술적 야심의 다른 출발이라고 불리는 <북촌방향>에서 다시 등장시킨 이후 계속해서 그의 성격을 변주하면서 출연하지만 이 두 여인은 그 이후 홍상수에게 매몰차게 버림받은 이후 다시 찾지 않는 인물이 되었다.
난 이러한 현상을 조금은 이상하게 생각되었다. 그러니깐 홍상수 그는 그의 영화에 나온 남성은 어떻게 해서든 다시 불러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습관적인 제스처를 이용해 영화속 행동과 대사로 다시 재활용하는 데 익숙한 감독이기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는 일종의 법칙이 있으면 예외가 있다. 절대적인 보편성을 벗어던지면 그는 남성으로는 백종학, 김유석, 정보석 여성으로는 오윤홍, 성현아, 박은혜, 황수정을 그의 영화에서 다시는 볼 수는 없었다.
여기에는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지만 나는 여기서 더 밀고 나아가지고 않고 잠시 멈춘 다음, 애초에 질문했던 테마에 대해서만 한정해서 답을 찾을 것이다. 그동안 홍상수의여인들은 남성과의 관계는 한쪽으로 심하게 기울어진 불평등한 사회적 관계를 차지하고 있었다. 남성과 여성이라는 생물학적 대립과 강사와 학생이라는 권력적 함수, 이 관계는 그의 데뷔작을 제외한 여태까지 유지한 일관적인 표면의 특징이었다.
한마디로 홍상수의 여인들은 한마디로 종잡을 수 없는 히스테리한 모습들을 보였다. 어떤 때는 남성에게 순정적이었다가 또 다른 때는 겁 잡을 수 없는 화를 낸다. 그래서 그들의 관계는 매우 괴기하게 비춰졌다. 그런데 여기에는 일종의 도식적인 법칙이 있다. 중년을 사랑하는 처녀는 그녀의 또래의 남자에게 다시 사랑을 받는다. 그런 다음 여인들은 사랑하는 남자에게 매달리며 애원하다가도 알 수 없는 행동을 보인다.
조은숙이 김의성에서 사랑한다고 외치다가 길거리에서 뺨까지 맞지만, 그녀를 짝사랑하는 손민석에게는 여성의 모습을 상실할 정도로 쌀쌀하게 대한다. 물론 이응경은 김의성에게는 친절하지만 정작 그녀의 남편 박진성에게는 냉랭한 모습이었으며 오랜 시간동안 기다린 오윤홍이 늦게 온 김유석에게는 갑작스럽게 화가 솟구쳐 오르는 짜증을 부리며 나중에는 이별의 눈물을 보이지만 백종학에게는 그와 다시 만난다는 만남의 눈물을 흘린다.
모든 여인들이 그랬다. 이은주, 예지원, 추상미, 성현아, 엄지원, 고현정, 박은혜, 정유미, 문소리, 송선미, 정은채, 서영화 그녀들 모두 남성 때문에 눈물을 쥐어짜지만 더불어 그녀들의 남성에게도 멸시에 가까운 따가운 눈길을 보냈으며 그들과의 관계에 대해서 의심의 눈초리를 끝까지 놓지 않았다.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부터 시작해서 <자유의 언덕>까지 유일하게 주체적인 모습을 끝까지 유지한 여인은 아쉽지만 로컬성의 본질을 지닌 원주민이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 방문객자격으로 온 미지의 여인 이자벨 위페르였다.
<다른 나라에서>에서 연인관계였던 문성근이 자리를 떠나려는 그녀에게 명령적인 어투로 “앉아” 라고 말하자 그녀는 특유의 감정이 실린 빠른 프랑스어조로 “나에게 명령하지 말라”고 단언한듯한 거절의 뉘앙스를 내뱉는다. 여기에는 홍상수가 그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여인의 태도가 갑자기 튀어나온다. 낯선 시작 그리고 충격적인 결말, 그러나 이 영화는 끝까지 모든 인물들이 괴팍한 모습을 지녔기에 그렇게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잠시 상승하다가 다시 소멸,
계속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