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과학사 이야기 1>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 카이스트 신동원 교수님이 들려주는 하늘과 땅의 과학 한국 과학사 이야기 1
신동원 지음, 임익종 그림 / 책과함께어린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제목만 보고도 굉장히 흥미로웠던 책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기를 과학… 이라고 하면 대부분이 서양쪽의 과학만을 생각하기 때문에 이런 책이 나와 주었다는 사실 자체가 굉장히 좋다. 원래 우리 나라의 과학사들 또한 서양에 지지않는 뛰어난 것들이 많은데 그러한 사실들이 잘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었지만 알려질 기회도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이 <한국 과학사 이야기>에서 그 내용들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그래서 더 읽어보고 싶던 책이기도 했었다.

우선은 책을 읽기 아주 쉽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스토리텔링 방식을 사용해서 아이를 앞에 앉혀두고 미주알고주알 옛날 이야기를 할아버지나 할머니께서 해주시듯 하는 말투의 문장들은 자칫 교양계열의 과학서적은 너무 어렵다 - 라고 생각할 수 있을 아이들의 경계심을 누그러뜨려 줄 것이다. 그리고 적절하게 실제 사진들과 도표들을 책의 내용에 많이 삽입해서 아이들의 이해를 돕는다.

책의 내용들을 살펴보니 한국의 과학사를 하늘의 과학과 땅의 과학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당연하게도 하늘의 과학이라 하니 천문학이나 첨성대가 떠오르고, 땅의 과학이라하니 풍수지리가 먼저 떠오른다. 하지만 실제 내용을 보니 그들 포함하여 보다 더 많은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보통 과학이라 하면 불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의 분류를 생각하는데 이런 방식으로 나눈 것 자체가 우리의 옛 과학에 대해 더 잘 들어맞는 듯 하더라.

하늘의 과학은 현대로 보자면 천문학에 가깝지만 그보다 범위는 좀 더 넓다. 그리고 생각보다 오래 전부터 천문학이라는 것이 있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는데 나는 선사시대에 만들어진 고인돌에 별자리가 새겨져 있다는 사실은 이 책을 보면서 처음 알았다. 선사시대에서부터 별을 관찰하고 기록했다는 사실을 찾아낸 것은 최초에 고고학자였다는데 그 과정들을 짧게 이야기 해 놓은 부분도 읽으니 참 재미있다.

땅의 과학은 자신들이 살 고 있는 땅에 대한 정보인 지도와 좋은 딸을 찾는 학문인 풍수지리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었는데… 지금까지도 과학이냐 미신이냐를 놓고 다투고 있는 풍수지리를 우리의 과학사에 편입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지만 생각보다 내용이 적어서 아쉬웠다.

하나의 사실을 이야기하는데 그 배경과 유물들, 문서들에 대한 언급까지 되어 있기 때문에 옛 사람들의 과학이라고 하는 분야에 대한 생각들과 여러 발명품이나 고대의 유물까지 자세하게 알 수 있었던 책이었다. 내용이 생각보다 깊고 자세하게 나와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되어야 읽을 수 있을 것처럼 보이는데… 뭐 요새 아이들은 워낙에나 배우는 것들이 우리 때와는 또 틀리기 때문에 과학 쪽에 관심이 있는 아이라면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책을 읽다보니 뭔 몰랐던 내용들도 많고 흥미가 가는 내용들도 많은지… 아이들에게 읽도록 하기 전에 내가 먼저 좀더 정독으로 우리의 옛 과학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두고 싶다. 이렇게 우리의 과학도 서양에 지지않는 뛰어난 것들이라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는 책은 한번쯤 꼭 읽어볼만한 내용이라고 생각이 된다. 3권으로 구성이 될 거라고 하던데 나머지 책들의 내용이 몹시도 굼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