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
크리스토퍼 프리스트 지음, 김상훈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한 남자의 기억과 한 여자의 기억의 괴리감에 대한 이야기다. 남자는 사고로 사고 전의 부분 기억을 상실했다. 그때 남자에게 그 기간 동안 사귀던 여자가 등장한다. 남자는 최면을 통해 약간의 기억을 되찾는다. 남자는 여자를 프랑스로 가는 기차에서 만났다고 기억한다. 하지만 여자는 아니라고 한다. 그들은 영국의 한 주점에서 만났다고 한다. 하지만 두 사람에게 공통된 점은 한 가지 있다. 그건 여자에게 나이얼이라는 남자친구가 있었다는 점이다.


이 작품은 독특하게 독자들이 남자의 현실의 모습을 읽게 하고 과거를 기억하는 모습을 회상하고, 다시 여자에게로 넘어가 여자의 이야기를 하고 서로 만나 접점을 찾는 과정과 결말까지를 어지럽게 들여다보게 만든다.


처음 시작은 미스터리적으로 시작을 하는 것처럼 보이다가 어느새 남녀의 사랑이야기와 삼각관계의 질투의 묘사로 넘어가고 다시 글래머라는 독특한 사람을 등장시켜 마치 환타지 소설을 보는 느낌을 주다가 마지막에 심리적 스릴러로 마무리하고 있다.


끝까지 봤음에도 나이얼이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나이얼이란 존재는 인간의 기억이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 기억은 인간 스스로 조작하고 있고 자신이 좋은 것만 추리거나 좋게 포장하고 있는 거라고, 글래머란 바로 그런 것이라고 말이다. 그렇다면 이건 단순한 사랑 이야기나 미스터리 스릴러가 아니라 우리 자신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글래머는 환타지가 아니라 인간 스스로가 자신을 격리시키는 환상만으로 보려하는 구름 같은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마지막이 설명이 된다. 그래도 여전히 이해가 안 되는 점은 엽서다. 왜 엽서가 번번이 혼란을 주는 것일까. 그건 우리 기억이 뒤죽박죽이며 정리될 수 없다는 암시는 아닐까. 아무도 한번 걸린 글래머에서 벗어날 수 없고 글래머는 그것이 스스로 사라지려 할 때에만 우리는 벗어날 수 있지만 언제나 구름은 존재하듯이 글래머가 우리 주위를 맴돌고 언제 감쌀지 준비하고 있는 것만은 기억에 상관없이 확실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 같다. 떠나도 남겨지는 알 수 없는 잔상처럼...


그란데 왜 제목을 매혹이라고 했을까? 그냥 글래머라고 했더라면 좋았을 것을. 책에도 매력이라고 말했다가 글래머라고 말하고 있다. 그건 받아들이는 쪽에서 그것을 어떤 식으로 받아들이느냐의 뜻에 차이가 있다는 얘기다. 그러니까 매혹이란 제목은 부적절해 보인다. 혹, 글래머라고 썼을 경우 그 단어가 연상시킬 것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을까? 그렇다하더라도 단순히 매혹은 아닌데 2% 아쉬운 제목이었다.


약간 지루한 면이 없지 않아 있었지만 마지막 장면을 보고 난 뒤 난 이 작품의 섬뜩함을 비로소 느꼈다. 이 글을 쓰는 동안 주위를 둘러본다. 나도 누군가의 정지된 화면속의 픽션 같은 존재는 아닐지... 그리고 내가 가지고 있는 기억은 온전히 사실만을 담고 있는 것일까 하는 생각에 잠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10-09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브리핑을 보다 '글래머'라는 글자에 저절로 클릭이 되어 왔어요.

물만두 2006-10-09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승연님 역시 글래머로 제목을 정했음 오해할 것 같군요^^:;;

문학仁 2006-10-09 2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ㅡ..ㅡ;;;;

물만두 2006-10-10 09: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은거인님 무슨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