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신 살인사건 ㅣ 동서 미스터리 북스 158
다카기 아키미쓰 지음, 김남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5년 3월
평점 :
문신을 하나의 문화 내지는 작품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문신사, 문신을 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 문신을 갖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다. 일본 문신사들에게는 금기가 있다. 절대로 같이 새기면 안 되는 것들과 새기는 방법을 지켜야 하는 것들... 이 중 하나가 뱀과 개구리와 괄태충은 함께 새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한 문신사가 이것을 자신의 삼남매에게 각각 새겼다고 한다. 그리고 뱀 문신을 새긴 여자는 자신이 죽을 것이라는 예언을 하고 죽음을 맞는다...
처음에 이 작가가 반다인의 작품을 작품에서 언급 했을 때 나는 범인을 바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의 문제는 범인을 찾는 것보다 그것을 작가가 문신이라는 기묘한 소재 안에 얼마나 그럴듯하게 담아내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어떤 작가든 자기만의 독특한 세계가 있고 글 쓰는 방법이 있고 패턴을 가지고 있다. 다카기 아키미쓰의 다른 작품 <열한개의 의문>이나 <불꽃같은 여자>를 보면 알 수가 있다. 그런데도 같은 패턴을 사용하는 작가에게 매력을 느끼는 것은 같은 소재라거나 같은 방식이라 할지라도 작가의 개성이 담겨 전혀 색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고 각 나라의 문화와 생각이 담겨져 독특한 독서로의 여행을 떠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일본 추리 소설은 자기 나라의 문화와 전설을 잘 사용한다는 점에 있다. 그래서 평이한 작품도 그럴싸하게 만드는 것이다. 장기에서 포 떼고 차 떼고 하면 뼈대는 별 볼일 없게 되지만 거기에 붙인 졸들의 수비가 마지막까지 재미를 남겨주었다. 괜찮은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