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한겨레 필진네트워크에서 구본준 기자의 임석재 교수 서재에 관한 글을 읽다. 무릇 저술가라면 이 정도의 자료실은 가지고 있어야지 하는 생각보다는 그 자료들이 그 자리에 모이기까지 자료를 모은 이의 노력을 먼저 생각했고, 더 나아가 그 자료들이 낳은 그이의 저술서들을 생각했다. 그만한 노력 없이 어찌 인정받을 만한 결과물을 낳을 수 있겠는가?

두 가지 생각이 떠올랐다.
하나, 어젯밤 텔레비전에서 들은 강호동의 말 ; 씨름할 때 아침 여섯시에 일어나 2시간 동안 뛰는 일을 하루도 쉬지 않고(일요일은 쉬었단다) 10년을 하였다.
둘, 조선 정조 때의 문무자 이옥(文無子 李鈺, 1760~1813)에 관한 에피소드. 이옥은 누구보다도 열심히 창작에 몰두하였다. 개성과 진정성이 담긴 글들을 실험적인 문체와 형식에 담아냈다. 그러나 그의 문학은 몇몇을 제외하고는 많은 이들로부터 칭송받지 못하였다. 그는 이렇게 썼다.

“오늘날 세상 돌아가는 꼴을 들여다보았다. 박학하다고 칭송이 자자한 이가 있어 그에게 질문을 던졌더니 독 속에 들어앉아 별을 세는 꼴이었고, 사부(詞賦)와 고문(古文)을 잘 짓는다고 알려진 이가 있어 글을 뽑아 읽어보았더니 남의 글을 훔쳐내어 흉내내는 꼴이었으며, 시문(時文)에 능하여 과장(科場)에서 기예를 뽐내는 이가 있어 구해다 감상하여 보니 모두 허수아비를 꾸며 저잣거리에서 춤추게 하는 꼴이었다.
그럼에도 글 솜씨에 힘입어 저들은 모두 큰 도읍에서 명성을 날리고, 태평성대에 활개를 치고 있다. 살아서는 과장과 관각(館閣)에서 솜씨를 발휘하며 여유를 부리고, 죽어서는 또 글이 목판에 새겨지고 빗돌을 수놓았다. 몸은 죽어도 문장은 죽지 않는다. 낮은 것도 그들이 쓰니 높아지고, 자잘한 것도 그들이 쓰니 크게 되어 모두들 자신의 문신(文神)을 저버리지 않았다. 유독 나만이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제 아무리 술을 마시듯 경서를 탐닉하고, 여자를 탐하듯 서책에 빠진다 하여도 마찬가지다. 눈과 귀에서 놓친 것을 손으로 베껴 공부하여도 나를 박학하다고 칭찬하는 사람 하나 없고 마을의 멍청한 아이들조차 도리어 모욕한다.” - 『선비답게 산다는 것』(안대회 지음, 푸른역사, 182쪽)

     

     

   

강호동이 어느 순간 벼락같이 나타나서 씨름판을 제패한 것이 아니다. 명성을 떨치기까지 노력 없이 천하장사에 오를 수 없었음은 당연한 것. 물론 그의 타고난 힘과 유연성, 상황에 대처하는 반사신경과 순발력 등은 씨름선수로서 천부적인 것임에 분명하다.(먼저 쓰러질 듯 하면서도 넘어가지 않고 버드나무처럼 휘며 버티는 그의 유연성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던 이만기와의 경기가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그러나 노력 없이 이러한 능력을 극대화시키고 꽃피울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하루 두 시간씩 십년을 쉬지 않고 지속하면 이룰 수 있는 일이 적지 않을 것이다.)
물론 강호동보다 더한 노력을 하고서도 씨름선수로 명성을 떨치지 못한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이옥도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겠다. 물론 지금은 눈 밝은 이들에 의하여 그의 뛰어난 글들이 소개되고 알려지면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그가 처한 현실에서는 그러하지 못하였다.
이옥은 ‘세상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글’을 쓰기 위하여 노력에 노력을 더하였다. 그러나 그의 노력은 빛을 보지 못하였고, 심지어 소품체를 불온시한 정조에 의하여 유배형에 처하게 된다. 1800년에 완전히 사면되었으나 이후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고 불우하게 생을 마친다.

위에 인용한 글을 읽다보면 200년이 흘렀어도 그때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옥 전집은 구입해두었지만 아직 읽지 못하였고, 산문집 『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심경호 옮김, 태학사, 2001년)를 읽은 적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