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와 세계 - 인간 우주의 신경생물학적 기원
미겔 니코렐리스 지음, 김성훈 옮김 / 김영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 내가 가진 것 중에 가장 소중한 것이라 감히 말할 수 있는 기관. 사실 내가 뇌라는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게 나는 지금도 신기하다. 이 뇌를 통해 생각을 하고 글을 쓰고 사유를 한다는 것 자체도 멋지고 기상천외한 일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난 <뇌>가 궁금하고 또 궁금하다.


그런 의미에서 <뇌와 세계>를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은 뇌의 시작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까지 설명해줄 뿐만 아니라, <뇌>가 있음에 감사한 마음을 갖게 한다.



책은 총 1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태초에 뇌가 있었다

2장: 뇌가 진화하다

3장: 정보와 논리를 갖춘 유기 컴퓨터

4장: 뇌, 연속적 실체의 동역학

5장: 상대론적 뇌 이론

6장: 뇌는 튜링 기계가 아니다

7장: 브레인넷, 동기화된 뇌

8장: 뇌 중심 우주론

9장: 시간과 공간의 발명

10장: 우주에 대한 수학적 기술의 기원

11장: 정보 바이러스와 시대정신

12장: 디지털 중독의 공격

13장: 불멸하는, 인간의 뇌


"이들은 우리가 잠을 자는 몇 시간 말고는 깨어 있는 시간 내내 디지털 기술에 이렇게 푹 빠져 살다 보면 우리 뇌의 기본적인 작동 방식과 독특한 작동 영역이 빠르게 질적으로 침식당할 것이라 결론 내리고 있다. 거기에 더해서 인간 조건의 탁월함과 특수성을 정의해주었던 그 모든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 또한 사라지게 될 것이다." P.494

- 나는 12장을 읽으면서 깨달은 게 많다. 개인적으로 나의 스크린 타임이 주욱 느는 걸 보면서 과연 디지털에 지배되는 삶이 과연 어쩔 수 없는 시간의 흐름의 이치인가 내게 묻곤 했다. 쉽사리 답을 내릴 수는 없었지만, 이 책을 읽고 깨달았다. 지금이야 말로 분별력이 있어야 할 때고, 나의 뇌를 위해, 그가 가진 능력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디지털에 지배되지믄 말아야 한다고.


"무책임한 탐욕 대신 제한 없는 공정함, 교육, 기회가 인간 우주를 이끌어갈 진정한 동기가 되어야 한다." P.524

- 인간 우주를 이끌어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중에 하나가 교육에 들어간다는 것이 다시 한번 나의 직업의 막중함을 느끼게 했다. 우리에게 주어진 뇌라는 존재를 가장 잘 쓰기 위해서는 교육이 답이기에, 사람을 양성하고 교육하는 직업을 가진 내가 잘해야 한다. 인간 우주를 제대로 된 교육으로 이끌어가는 내가 되기를.


-

이 책은 인간 우주의 신경생물학적 기원인 뇌에 대해서 더 깊게 파보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린다. 사실 나는 자연과학 쪽 책을 어려워하는 편인데, 과알못 (과학을 알지 못하는) 나도 쉽게 읽을 수 있었고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12장과 13장>에서 다루는 디지털 중독과 불멸하는 인간의 뇌를 읽고 나면 인간으로서 <뇌>라는 것을 갖고 태어난 것이 얼마나 신비하고 고귀한 것인지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구를 위한 변론 - 미래 세대와 자연의 권리를 위하여
강금실 지음 / 김영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침묵하는 지구>라는 말을 본 적이 있다. 그 말을 보자마자 나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내가 아는 지구는 절대 침묵하지 않는다는 말을 읊조렸다. 나는 진도 7.6의 지진을 겪었고 그때 비로소 자연의 무서움을 온몸으로 느꼈다. 그때부터 미약하게나마 지구에 대해 경외 로운 마음 반, 무서운 마음 반을 갖게 되었고, 더 나은 지구를 만들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강금실의 <지구를 위한 변론>은 독자들에게 지구를 위해서 힘써달란 말 대신, 지구의 입장이 되어 현재 지구가 어떤 상태인지 알려준다. 그리고 책을 읽자마자 독자들은 깨닫게 된다. 우리가 바로 지금 당장 정신 차리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말이다.



책은 5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 변해버린 세계

2부: 생명을 찾아서

3부: 침묵하는 지구를 위하여

4부: 하늘과 바람, 나무와 강의 권리

5부: 한 사람이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우리를 둘러싼 거대한 우주의 암흑 속에 있는 외로운 하나의 점입니다. 그 광대한 우주 속에서 우리가 얼마나 보잘것없는 존재인지 안다면, 우리가 스스로를 파멸시킨다 해도 우리를 구원해줄 도움이 외부에서 올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P.90

-너무나 당연한 말이지만 그 넓은 우주 속에 지구 혼자 남겨져있다고 생각하니 뭔가 무서워진다. 이 지구가 자생할 수 있도록 나라도 더 노력해야겠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지구가 다치면 누가 도와주나. 외계인이 와서 도와줄 수는 없지 않은가. 정답은 우리에게 있다.


"그 핵심은 <생명은 인간에게 유용한가 와는 별개로 고유한 가치를 가진다>는 것과 <인간에게는 생명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생명의 풍요로움과 다양성을 감소시킬 권리가 없다>는 데 있다. 기계적 사물로 취급된 자연의 가치 복원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생태학의 기원을 이룩했다." P.96

-고유한 가치를 품되 풍요로움 와 다양성을 감소시킬 권리는 없앨 것. 내 독서노트에 적었다. 사회는 유독 다양성에 취약해왔고 요즘도 다른 사람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눈치다. One of us라는 프레임보다는 we are one으로 존재할 수 있는 지구가 되기를. 그러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구의 입장이 되어 지구의 상태를 살피고 헤아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의 사리사욕을 채우는 것은 멈춰야만 한다.


-

이 책은 인간 중심 사고에서 지구 중심 사고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지구에 사는 생명체로써 꼭 읽어야 하는 책이다. 인정하자. 이제는 우리가 지구를 지배해왔던 인간에서 지구를 지키는 수호자로 새롭게 진화할 때가 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브 팩터 - 스펙, 배경, 운을 뛰어넘는 5가지 비즈니스 예측의 기술
패트릭 벳-데이비드.그레그 딘킨 지음, 서유라 옮김 / 부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 오늘 소개할 책은 다른 수식어가 필요 없다. 내가 뽑은 올해 최고의 책이다. 


2021년, 태어나 가장 많은 책을 읽은 한 해. 약 350권을 읽었고, 300권의 책에 대한 서평을 썼다. 그래서 올해 <내 맘대로 어워드>에서 베스트 책을 고르기엔 심히 어려울 거라 예상했으나, 아니었다. 


올해의 베스트 책은 패트릭 벳-데이비드의 <파이브 팩터>다. 이 책을 고른 이유는 가장 단순하면서도 당연한 이유다. 내 마음을 움직였고, 내가 일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성공에 더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줬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고 내가 내 하루의 시간을 더더욱 효율적으로 쓸 수 있게 되었고, 나의 목표를 위해 더 열정적으로 나의 일에 임할 수 있게 되었다면 말 다 했지.



책은 총 5개의 팩터로 나뉘어 있다.

팩터 1. 나 자신을 제대로 알기 

팩터 2. 논리적으로 추론하기 

팩터 3. 이상적인 조직 구성하기 

팩터 4. 기하급수적인 확장 실현하기 

팩터 5. 힘의 균형을 움직이는 전략 익히기 


"나는 꿈을 이루지 못해 불행한 사람들을 많이 만났다. 그들 중에서도 가장 불행하고 또 위험한 부류는 거대한 야심을 지녔으면서 극도로 게으른 사람들이었다. 질투심은 야심과 게으름을 조합한 치명적인 결과물로 한 사람의 인생을 지옥으로 만들 수 있다." P.67

-내가 커리어를 꾸려가면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바로 "빠른 실행력"이다. 나는 내가 무언가를 해야 한다고 마음을 먹는 순간 마음이 급해지기 때문에 (성격이 급한 편) 바로 시작해야 한다. 커리큘럼에 대한 아이디어가 생겼다면 즉시 만들고 본다. 결과는 생각하지 않고 일단 시작하는 것이다. 이렇게 된 이유에는 <경험>을 중요시 여기는 습관이 있다. 실패도 자산, 경험도 자산이라고 생각하는 나는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이 최고의 실패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말이 너무 와닿는다. 가장 불행하고 위험한 부류는 거대한 야심을 지녔지만 극도로 게으른 사람이라는 이 말. 무언가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면 바로 실천해야 하는 이유다. 


나는 앞으로 나의 가장 큰 적을 <게으름>이라 칭하고 게으름을 멀리하는 노력을 할 것이다. 좋은 생각이 났다면 바로 실행할 수 있게 말이다.


"당신이 알아야 할 것은 '자기 자신'을 움직이는 동기의 원천이다. 우리는 모두 서로 다른 목표를 품고 있다. 나를 이끄는 힘이 무엇인지 깨닫고 나면 아침 알람을 꺼 두어도 된다. 그렇기에 나는 이미 경제적 안정을 손에 넣었음에도 그 어느 때보다 열정이 넘친다." P.71

-나의 커리어. 누군가가 봤을 때는 정상에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누군가가 봤을 때는 아직 멀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내가 바라본 나는 내 커리어에 있어서 만큼은 정상에 있다고 감히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치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파고드는 이유는 나를 이끄는 세 가지, <부> <성공> 그리고 <배움>이 있기 때문이다. 나는 이 세 가지가 정확하게 1/3 만큼의 각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어느 하나 빠지지 않고 세 가지가 정확하게 3으로 나뉘었기에 밸런스를 맞춰가며 효율적으로 나의 일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부와 성공만 바라보며 살았다면 지금처럼 책을 읽는다던지 글을 쓴다던지 새로운 것을 배워가며 수업을 만든다던지와 같은 일은 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내가 배움만 바라보며 살았다면 지금쯤 일은 제쳐두고 하루 종일 집에서 책만 읽으며 집중적으로 학문에 매진했겠지. 


이 세 가지가 조화롭게 어울렸기 때문에 지금의 내가 있고, 나는 나를 움직이는 동기를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기에 내 인생이 제일 재밌고, 내가 하는 일에 열정이 넘치고, 한 달에 거의 200시간을 일하는 여름도 그 어느 때보다 즐겁게 보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

나는 늘 그렇듯, 모두가 잠든 시간인 <예슬 타임> (밤 12시부터 3시 사이)에 이 책을 읽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책을 덮고 나서 내가 좋아하는 Celine Dion - A New Day Has Come을 들으며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까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짜기 시작했다. 아주 상세하게.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읽고 새로운 인생이 시작될 것만 같은 좋은 느낌이 든다. 


좋다. 아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 사랑 사랑 웅진 세계그림책 219
맥 바넷 지음, 카슨 엘리스 그림, 김지은 옮김 / 웅진주니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 내게 사랑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주저 말고 <사랑 사랑 사랑>을 추천하겠다. 이 책은 소년이 사랑의 참된 의미를 찾아 떠나고, 그 긴 여정 끝에 집에 돌아와 사랑을 스스로 깨닫게 되는 과정을 그렸다. 작가가 독자들이 스스로 사랑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도록 오픈 엔딩으로 책을 마무리했다고 생각하는데, 이 역시 읽는 사람에 따라 자유자재로 해석되지 않을까.



이 처럼 동화를 읽으면 다양한 해석뿐만 아니라 나 역시도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어서 좋다. 그리 어렵지 않은 단어들과 치유를 불러일으키는 색감과 그림, 그리고 적당히 긴 이야기까지. 이것이 바로 어른이 되어서도 동화를 놓지 말아야 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사랑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사랑이 무엇인지 다른 이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그리고 여기, 한 소년이 사랑의 참된 의미를 찾아 떠났지만 결국 그 답은 자신 안에 있었다는 깊은 깨달음에 함께 하고 싶다면 <사랑 사랑 사랑>을 꼭 읽어보시라고 권하고 싶다. 


곧 추운 겨울이 다가오는데, 마음도 따뜻해지고 괜스레 사랑하는 사람들이 생각이 나면서 마음이 몽글몽글해지는 그런 책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택트 공부 혁명 - 4차 산업혁명 시대, 최고의 교실은 어떻게 배우는가?
호시 도모히로 지음, 정현옥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자인 내게 꼭 필요했던 책, <언택트 공부 혁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최고의 교실은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해 세세하게 설명해주는 친절한 책이다. 아직까지도 오프라인 교육이 더 편하고 좋다고 느끼는 내게 왜 온라인 교육에 한 발자국 더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해 준 고마운 책이기도 하다. 



책에 의하면 최적화된 온라인 수업이 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6가지가 있다: 

1. 한 명 한 명에게 최적화된 교실: 개인 맞춤형 학습 

2. 수업 중에 조는 아이들이 사라진다: 액티브 러닝 

3. 실전만큼 뛰어난 교과서는 없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 

4. 뇌과학으로 밝혀낸 공부의 정석: 학습 과학 

5. 직감 대신 데이터로 학습을 설계한다: 에듀테크 

6. 언제 어디에서든 접근 가능한 학교: 분산 학습 


이 여섯 가지에 대해 읽으면서 앞으로의 교육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배울 수 있었지만, 이 중에 내게 가장 와닿았던 부분은 바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이였다. 


스탠퍼드 온라인 하이스쿨에서는 시험이 거의 없다고 한다. 불필요한 시험은 최소화시키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젝트형 과제들이 특히 많다고 하는데 나는 이를 적극적으로 지지한다. 사실 내가 학생들에게 퀴즈나 시험을 주는 이유는 학생들이 강의를 얼마나 이해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시험을 주는 편인데, 만약 모든 과제들이 워크시트가 아닌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본인들이 기획하고 디자인해야 하는 것이 주 목적인 프로젝트 형 과제가 많이 나간다면 사실 내가 시험을 줄 필요가 없다. 시험을 만드는 것 역시 선생님들의 피로도가 높고, 시험을 채점하는 것 역시 선생님들의 피로도가 더더욱 쌓여가게 하는 주된 원인이다. 더군다나 나같이 강의 위주로 흘러가는 수업은 시험지도 내가 직접 만들고, 학생들이 나의 강의를 기억을 하는지 안 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문제들이기 때문에 문제들을 만들어 내는 것 역시 시간이 많이 든다. 내가 만약 시험을 포기할 수 있다면, 이는 프로젝트형 방식의 수업과 과제로 직결이 되었을 때의 일이라고 생각한다. 프로젝트 형식의 과제가 많이 나가야 아이들의 work를 통해서 수업을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많은 학교들이 제발 프로젝트 형식의 과제를 많이 내주고,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공부하고 깨우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매일같이 한다. 이렇게만 된다면, 선생님도, 아이들도 피로도가 적고, 무언가를 새로 배우고 <학습> 한다는 것이 좀 더 재밌는 과정이 되지 않을까.


-

이 책은 앞으로의 교육이 어디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 학습해야 하시는 분들께 꼭 추천드린다. 사실 교육에 몸담고 있는 나도 생각해보지 못했던 포인트가 있고 이를 통해 배운 것이 많다. 물론 미국을 기반으로 한 학습 커리큘럼을 토대로 쓰인 책이지만 앞으로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을 배운다고 생각하고 읽는다면 아주 많은 도움이 될 책이다. 앞으로의 교육을 이끌어 갈 교육자 분들, 현재 학습을 하고 있는 학생들이 집에 있는 부모님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해서 공부를 해 나아가야 할 학생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