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 비채 무라카미 하루키 작품선 1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비채 / 201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 쏟아져 나오는 많은 책들 중에서 내 손에 들어오는 책은 극히 일부. 책을 골라서 손에 쥐는 기준은 여러 가지고 있고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사람들이 이 책, 무라카미 하루키의 잡문집을 골라들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루키라는 사람의 지명도는 아니었다 적어도 내 경우에. 하루키라는 작가에게 호감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작가의 이름 하나로 골라들게 할 정도는 아니기 때문에 '1Q84' 가 나왔을 때에도 그 분량을 보고 아예 읽어볼 생각도 하지 않았다. 신간평가단 지정도서이긴 하지만 내가 추천한 책이기도 한데 이 책을 추천했던 이유는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작지만 확실한 행복' 등의 수필집을 읽으며 느꼈던, 소설과는 또 다른 하루키 작품의 맛을 알았기 때문이다. 주황색 산뜻한 표지도 눈길을 잡아 끌지 않는가?

한번도 작가가 되기 위해 따로 공부를 하거나 결심을 한적 없다는 그를 작가의 세계로 이끈 것은 음악, 특히 재즈라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다. 그의 글에는 그런 '우연히 들어선' 길을 걸어서 나오는 것 같은 어떤 자유로움과 여유가 있다. 어디 한군데 매여서 휘몰아치는 열정이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그런 열정이라는 일종의 '얽매임'에서 스스로 발을 빼고 여기 저기 혼자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방랑자의 시원함, 그래서 가끔은 독자가 소설 속의 주인공과 동질감을 느끼다가도 결코 일치할 수 없다는 독특함에 재미를 느끼게 한다. 어쨌든 작가를 직업으로 하고 있는 이상 독자를 신경쓰지 않을 리 없겠지만 그의 글은 그 누구도 신경쓰지 않고 쓴 것 같은 느낌, 자기의 세계를 확실히 가지고 있고 그것을 내세우지도, 숨기지도 않는 방식이 특히 그의 이런 잡문을 읽는 재미가 아닐까 한다.

아쉬웠던 것 하나. 그래도 500쪽이나 되는 분량의 책인데 하필 '잡문집'이라는 제목을 달아서, 이미 어딘가에 발표했던 글들을 '쓸어모았다'는 느낌을 더 강조할게 뭐냔 말이다. 그런 생각으로 이 책을 처음 대할 때부터 호감을 많이 깎아먹었는데 읽어본 결과 드는 생각은, 제목은 참 정직했다라는 것. 작가가 타계한 후, 더 이상 나올 수 없는 작가의 작품을 아쉬워 하는 마음으로 이런 식의 책들이 기획되는 경우는 있지만 아직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작가가, 각종 수상식의 수상 소감문에서부터, 음악 잡지에 투고한 글, 지인의 딸 결혼식 축사에 이르기까지 끌어모은 이런 책이 별로 반갑지는 않다. 실린 글은 어디에 발표했든, 무슨 목적의 글이든, 하루키 글에서 느껴오던 그 느낌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지만 그냥 그 뿐이었다.

읽으면서 포스트잇으로 표시해 놓은 부분은 500쪽 분량 중 딱 세 곳. 하나는 지인의 딸 결혼식 축사로 썼다는 다섯 줄의 짧은 글인데, '결혼이라는 것은 좋을 때는 아주 좋습니다' 라고 썼다 (87쪽). 좋을 때는 아주 좋다라는 말이 얼마나 웃기던지. 하루키가 아마 직접 그 축사를 읽었다 하더라도 아마 그는 아무 표정 없이 무심하게 읽어내렸을 것이다. 결혼 생활이 꼭 좋지만은 않다는 것, 좋을 때 아주 좋더라도 나쁠 땐 아주 나쁠 수도 있다는 뒷말을 삼키고 있는 것이 참 하루키답다.

두번째 포스트잇은 420쪽에 붙여져 있다. 평소에 하루키가 나라를 막론하고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이유를 생각하다가 나도 들었던 의문인데 '고국의 주류에 가담하지 않고' 일본 문단과 관련 없는 곳에서 활동해온 이유가 있는지에 대한 하루키의 답변이다. 그는 원래 조직이라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외국에서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편이 정신적으로 더 편했는지도 모르겠다 했다. 그래도 대부분 일본인이 등장하는 소설을 일본어로 쓰고 있기는 하지만 가능한한 독립된 개인으로 존재하고 싶다고.

세번째 포스트잇이 붙은 곳은 모든 세상사를 유효한 문장으로 만들어 독자에게 제시하는 것이 소설가에게 요구되는 작업이라는 말 (425쪽). 이 말 역시 하나의 유효한 문장이 되어 나에게 소설가란, 소설이란 무엇인가 라는 애매한 생각을 정리해준다. 그래서 그는 글쓰기 이외의 일, 즉 매스미디어에 자주 출연하여 주목을 받는 일을 중요시하지 않는다고 했다. 텔레비전에 나가고 싶다면 탈렌트가 되었을 것이고 노래를 부르고 싶었다면 가수가 되었을 것이며 정치가 하고 싶다면 정치가가 되었을 것이라고. 지금 여기서,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알고 그 일에 집중할 수 있는 작가로서의 '재능'이 그에게는 분명히 있는 것이다. 작가로서의 이유 말고 다른 일에 여기 저기 한눈을 팔지 않을 수 있는 것은 그의 기질때문도 있지만 그런 확실한 재능때문이 아닐까. 여기 저기 한눈 팔며 살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의 생각인데, 뭐, 한눈 팔며 사는 것도 나름 재미있다고 믿고 싶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2-01-24 07: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날 잘 지내셨어요?
새벽 일찍 즐거이 글 하나 띄우셨군요~

아이들 두 할머니 할아버지를 모두 뵙지 못했지만,
한쪽 할머니 할아버지를 뵙는
왕복 열일곱 시간은
참으로 길고 고되면서 즐거웠답니다... @.@

hnine 2012-01-24 09:21   좋아요 0 | URL
어제 도로가 얼마나 막히던지, 산소 가는 길이 평상시 1시간 반 되는 거리인데 어제는 5시간 걸렸답니다. 돌아오는데는 또 3시간 반 걸리고요 ㅠㅠ
하지만 왕복 열일곱 시간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네요. 고생 많으셨어요.
막히는 차 속에서 덕분에 저는 위의 책을 다 읽어치웠어요.

춤추는인생. 2012-01-24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저도 하루키의 잡문집에 어디서 긁어온듯한느낌의 글들이많아 아쉬었어요 .. 전 작지만확실한행복의. 식당칸열차이야기를 가장 사랑해요. ㅎ잡문집도 굴튀김이야기 때문에. 살짝 용서가 되구요 ~~ 하루키는 저에게 맛스러운 작가로 통한답니다^^. 나인님 새해에도 따뜻한글들 많아 써주시길요. 새해복많이 받으세요

hnine 2012-01-25 06:28   좋아요 0 | URL
저도 '작지만 확실한 행복', '달리기를 말할 때...' 책이 더 좋았어요. 이 책은 책 내용이 아쉬웠다기보다는 이런 식의 기획이 아쉬웠던 것이지요.
저는 이제 매해 시작할때마다 뭔가를 꼭 이루자는 목표대신 하루를 여한없이, 재미있게 살자는 목표가 우선하고 있답니다. 그래도 춤추는 인생님 나이에는 목표가 뚜렷한 계획이 더 필요할 때인지도 몰라요. 건강하게 지내시고, 가끔씩이라도 소식 들려주어요.

2012-01-26 00: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1-26 22:1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