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본성]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돈의 본성
제프리 잉햄 지음, 홍기빈 옮김 / 삼천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한 사회. 그야말로 식상함으로 떡 해먹을만한 구절이다. 자본주의가 출현한 이후, 돈은 개인의 삶이나 가족보다 소중해졌고, 사람 목숨은 차치하고라도 국가의 흥망조차 돈으로 결정되는 지극히 당연스러운 세상에 살고 있다. 우리나라 사전은 배금주의와 물질(황금)만능주의를 다 같은 개념으로 사용하며, 물질이든 금이든 결국은 ‘돈’이라는 관념을 내포하고 있다. 물질이 돈일까? 돈이 물건일 수 있을까? 이런 차원의 생각을 정립하고 있는 책이 바로 ‘돈의 본성’이다.

저자는 제프리 잉햄. 케임브리지대학 사회학과 교수. 레스티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학과 정치경제학을 아우르는 분석을 통해 자본주의와 노동, 화폐문제를 연구해 왔다고 한다. 화폐는 자칫 경제학자들의 소임으로 치부되기 쉬운데, 우리는 실상 경제과에서 보다 역사과에서 화폐의 역사와 그 흐름을 더 자세히 배운 기억이 있다. 그런 점에서 사회학을 연구한 그의 이력이 본 주제에 더 광범위한 시각을 제공하리라 기대했다.

책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뉘어있다. 개념과 이론 파트와 역사와 분석 파트. 책은 전체적으로 그 주제에 맞는 여러 학술, 유명 학자들의 논쟁, 공리, 공준과 이론들의 요점을 정리하는 것에 많은 부분을 할애한다. 때문에 각주와 주석 사용이 빈번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에 모순을 지적하고, 한계와 드러나는 문제점 등을 열거함으로써 자신의 주장을 더 확고히 하는 방식을 주도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저자는 화폐가 상품의 교환 비율을 상징한다는 ‘중립적 베일’이라는 화폐개념을 설파한다. 일반 독자들이 표제를 통해서 기대할만한 내용은 4장-화폐 이론의 기본 요소-에 압축적으로 들어있다. 그러나 이 장이 저자가 궁극적으로 하려고 하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이 장은 2부로 들어가기 전 단계인 워밍업의 수준으로 쓰여 있다. 1장에서 3장까지는 화폐의 성격을 각 이론에 맞추어 재조명한다. 이 부분에서 20세기의 이론과 학설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고 흥미로운 대조들을 이룬다.

5장은 화폐탄생의 기원인 고대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6장과 7장에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화폐가 갖는 위치와 성격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히 화폐의 다양한 성격과 그에 따른 여러 가지 기능 중 ‘신용’이라는 부분이 얼마나 큰 영향력을 갖는가에 새삼 놀라움이 있었다. 나라마다 무수한 통화가 남발하던 불안정한 유통구조의 상황에서 출현한 신용화폐는 오래가지 못했다. 그러나 현대와 같이 제도적 틀이 잘 정비된 시대에서 신용화폐가 갖는 사회적 기여도와 그 역할은 탁월하다.

돈의 본성이라는 표제를 취지로는 다각도로 분석된 내용들을 접할 수 있었기에 훌륭한 책이라고 하고 싶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저자가 주장을 펼치는 방식이 조금 애매하고, 다른 이의 연구와 학설을 갖다 붙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자신의 언어에서는 일반적 사실 거론을 주로 하고, 타에 대한 비판은 신랄하게 지적한다는 점이 거슬렸다.

서평은 그 책이 가진 성향을 따라가기 마련이다. 그렇게 봤을 때 내 서평은 전혀 그 책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일반 독자의 접근이 어려울 정도로 너무 전문적이고 원론적이기에 비전공자로서 어쩔 수 없는 위압감이 있다. 그냥 편하게 읽을 수 없고, 정독을 위해서는 형광펜이라도 들어야 할 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