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는 틀렸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GDP는 틀렸다 - '국민총행복'을 높이는 새로운 지수를 찾아서
조지프 스티글리츠 외 지음, 박형준 옮김 / 동녘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는 ‘GDP 2만 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다’는 말을 국가성장의 푯대 삼듯 자랑스러워하고 있었다. 코스피 2000선에 올랐다고 내 주식 값이 꼭 오르는 것도 아니고, OECD 10위권 안에 있다고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수치에 따라 ‘번영을 닮은 색다른 시대’가 온다고 기대하며, 물가 외의 지수는 다 오르기만을 기대한다.

이 책, 왜 GDP가 틀렸다고 말하는 것일까? GDP는 틀리지 않았다. 다만 사용처가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GDP는 그냥 GDP일 뿐, 그것이 국내총생산 이상을 대변해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세계는 GDP를 세계경제수준의 기축지표를 활용하고 있다. 요 문제점을 제기하고, 대안논의를 위해 이 보고서가 책으로 발간되었다.

프랑스 대통령 사르코지가 현존하는 GDP통계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느끼고, 위원회를 발족시킨다. ‘경제 실적과 사회진보의 계측을 위한 위원회’라는 이름으로 발족되어 내민 보고서는 조지프 스티글리츠를 필두로 하여 아마르티아 센과 장 폴 피투시가 공동 집필하였다. 스타글리츠와 센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경제학자이고, 피투시는 프랑스 경제분석연구소 소상으로 있다.

책은 머리말부터 명확한 집필 목적과 논의 쟁점을 밝히고 있다. 덧붙여 이 보고서가 문제제기로 논의에 대한 노력촉구의 일환이지 완전한 해결책 제시는 아니라는 방어력도 보이고 있다. 1장부터 계량시스템의 중심이 생산에서 행복으로 이동해야 함을 주장한다. 행복지표를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통계시스템 확립을 위해 10가지의 권고사항을 든다.

2장에서는 GDP가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고려사항들을 내밀어 여러 방안을 강구하되 그 측정의 어려움을 같이 토로한다. 이 부분에서 주목할 점은 ‘여가선용의 통계수치를 국가간 소득수준 비교로 활용하자’는 주장이다. 3장은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와 그 한계를 지적하고, 관련 권고사항 5가지를 든다. 4장은 지속 가능성을 측정하는 4가지 지수를 소개하고 그 문제점과 보안에 요구되는 과제요소들을 논한다.

책은 보고서를 옮겼기 때문에, 잡설이 없고 명료하며 문제점 분석과 대안주장이 비교적 깔끔하게 정리되어있다. 그러나 일반 독자에게 보고서 형식을 그대로 노출시키는 것은 자칫 관련주제만을 전문적으로 다뤘기 때문에 중복된 내용언급이 많아 지루할 수 있고, 구성과 문체가 딱딱하기 때문에 표제 이상의 흥미유발에 실패할 가능성이 보인다.

계측시스템과 계량 방식을 비롯한 세계적인 지표들의 각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지적한다는 점에서 ‘GDP의 사용이 과대포장 되었다’는 주제의 유기적인 문제점을 잘 꼬집고 있다. 이들의 예리하고 다각적인 분석에 힘을 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대표적인 경제측정지표로 삼기에 부적합한 GDP를 버리고, 저자가 언급한 바, 경제와 맞물린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계량할 수 있는 새로운 잣대가 출현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