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릴 적 내가 되고 싶었던 것은
고정욱 지음 / 샘터사 / 2025년 4월
평점 :
🌱고정욱작가는 1960년생으로 소아마비 예방주사를 두번이나 맞았음에도 불구하고 불행하게도 소아바미에 걸려 평생을 걷지 못하게 되었다.
의사를 꿈꾸던 그는 장애인이라서 환자의 수송이나 민첩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의대에 진학할 수 없어 문과로 옮겨 국문과에 진학 대학교수로 재직중이며 아동문학 작가가 되었다.
1년에 300회가 넘는 강연을 하고 지금까지 378권의 책도 쓰셨다. 와우~
🌱작가는 장애가 없더라도 각자의 아픔과 고통을 가진 독자라면 그가 살아온 모습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에 이 책을 내셨다고 말한다.
📍나,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단어
📍사랑, 상처를 치유하는 단어
📍책, 인생의 변환점이 되는 단어
📍용기, 변화를 이끌어 내는 단어
📍소명, 삶을 충만하게 만드는 단어 라는 글들로 작가의 살아온 이야기가 담겨있다.
세상 풍파에 길을 잃은 어른, 자식을 양육하는데 혼란스러운 부모, 도전하기가 두려운 어른들의 이야기들이 나온다.
🌱책 212쪽 돌아다님의 행복에서 활동보조기구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어릴적부터 갖가지 목발은 다 섭렵해 보았으나 전동 휠체어를 만난 것은 혁명이라 말한다.
“장애인들이여, 전동 휠체어를 타고 많이 나가라.”
방 안에만 있는 젊은이들에게도 이 말을 전하고 싶다.
”그대들도 나가라. 팔다리 멀쩡한 축복을 왜 낭비하고 있는가.“
결핍이 없으면 소중한 줄 모른다.
비장애인으로 살아가는 나는 그저 운이 조금 좋을 뿐인데 그것을 망각하면서 살아간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이야기를 읽고 그동안 내가 배려라 생각했던 것들이 받아들이는 사람은 편견이라 느낄수 있다는 것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작가는 생명을 살리는 사람이 되고 싶었으나 좌절되고 동화작가가 되어 누군가의 마음을 살리고, 삶을 변화시킬 수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하고 싶은 것, 되고 싶은 것이 많았던 시절을 떠올리며 새로운 출발의 원동력, 인생의 소명을 찾아가라 말합니다.
📚지금 힘들고, 어렵고, 허탈하고, 공허한가? 그렇다면 이제 다시 시작할때가 됐다는 뜻이 아니겠는가.p22
📚리더는 자신이 1등을 하는 자가 아닌 전체를 1등으로 만드는 자라는 사실을, 구성원들이 따라오지 못하고, 능력이 안 된다면 그 또한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는 점도... 그 상태에서 할 수 있는 것을 도모하는 자가 진정한 리더였다.p41
📚사소한 동화 한 구절이 오늘 누군가의 삶에 희망의 불씨가 될 수 있다. 우리들의 말과 행동, 삶도 마찬가지다. p206
📚이 세상의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 절대 그냥 툭 떨어진 고난과 갑자기 주어진 행운은 없는 법이다. 그 의미를 찾아내고 겸손하게 살아야 한다. p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