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 많이 바를수록 노화를 부르는
구희연.이은주 지음 / 거름 / 2009년 4월
평점 :
세상에 화장품 안 쓰는 사람도 있을까?
아침에 일어나서 클렌징 폼으로 세수하고 스킨과 로션, 크림, 자외선차단제 바르고 나갈땐 화운데이션에 아이펜슬, 등등을 바른다.
이건 나만 이렇게 쓰는게 아닌 대부분의 여자들이 이런 과정을 거쳐 화장을 하거나 기초 제품을 바른다.
아마도 위에것 외에 더 여러가지를 바르는 것이 대부분일것이다.
여태껏 이것이 당연한줄 알고 시즌이 바뀔때면 새롭게 등장하는 화장품 광고를 눈여겨 보기도 했다.
홈쇼핑에서 세트에 샘플 엄청 끼워주는 방송도 여러번 보고 하며 다음엔 저 제품을 써볼까 하며 리스트를 작성하기도 했는데
당연히 화장품을 비롯한 제품에 무언가 안 좋은게 많다는 걸 이전부터 알고 있으면서도 그래도 써야지 하는 생각에 사로잡혀있다가
이책을 읽으면서 많은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이책의 내용은 총 다섯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우리가 다시 점검해야 할 화장품 고르는 습관편과 정말 필요한 화장품은 어떤 것인지,
화장품 성분의 비밀, 천연 화장품의 진실, 당신의 파우치를 다이어트하라. 인데 정말 피부에 와닿는 이야기로만 구성되어 있어
모든 사람이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지금은 대부분 3종 세트나 에센스가 포함되어 4종 세트가 대부분인데 십여년전만 해도 아스트린젠트라고 모공 관리 제품이 꼭 들어가 있었다.
헌데 이것이 우리나라만 있는 것이라니 무척 새로왔다.
저자들은 화장품 회사에 근무한 경험과 화장품을 연구한 사람으로서 기존에 몸담았던 회사에 독이 될수도 있지만 현실을 외면할수 없어
이책을 썼다고 한다.
기초 라인 세트, 아이제품 라인 세트, 또 화이트닝 세트, 등등 우리나라 화장품은 뭐든지 세트로 써야 흡수도 잘되고 호환이 잘 된다고 설명해서
아이크림을 사면서도 세럼이나 에센스를 같이 사기도 하고 스킨부터 에센스, 크림까지 모두 세트로 장만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것은 화장품을 많이 팔기위한 회사의 전략이라고 한다.
저자는 우리가 써야 할 화장품을 총 네가지로 분류하는데
클렌징 제품들, 요즘은 부스터나 토닉, 등 스킨과 비스무리한 제품들이 많지만 수분이 많은 제품은 모두 화장수로 분류하고
그다음 로션, 에센스, 크림등을 하나로 묶고 , 마지막으로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하는데 이중 자신이 써야 할 제품은 각 분류에서 한가지씩만
골라서 써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어쩌다 귀찮으면 밤에 세수하고 스킨 바르고 크림 하나만 달랑 바르면 왠지 모르게 얼굴이 가벼워 잠도 더 잘 오던 것이
대충 바른게 아니었다는 것이니 여태껏 속고 살았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작년부터 무척 유행중인 비비크림에 대한 이야기도 들어있는데
나또한 보통 가장 많이 쓰는 제품이다. 하지만 본래 재생크림이었던 비비크림이 지금은 자외선차단+영양+보습+잡티커버까지
마치 만능 크림인 것처럼 광고가 되고 있다. 이모든 효과를 기대하는 것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걸 잘 찾아 쓰고 잘 씻어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고 하니 그냥 피부에 맞는 파운데이션을 새로 사야 하나 싶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화장품속에 감추어진 유해 성분들, 과연 어떤 것들이 들어있을까?
대표적인 것은 역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로 대표적인 방부제이다. 이건 정말 대부분의 화장품용기에서 읽은적이 있어 무척 낯익은데
이것이 화학방부제이기때문에 되도록이면 들어가지 말아야 하지만 바디제품에도 폼에도 어디에도 모두 들어가있으니 안 쓸수가 없다.
그리고 계면활성제 이것이 많을수록 거품이 잘나고 잘 씻겨진다니 여태껏 거품 잘 난다고 좋아했던 것이 참 씁쓸하다.
그외에도 많은 성분들의 설명이 있지만 워낙 어렵고 생소해 기억하기가 쉽지 않은데 친절하게도 뒷면에 가장 피해야할 유해성분을
카드로 만들어 가지고 다니며 화장품을 살때 눈여겨보라고 한다.
지금은 화장품 전성분 표시제가 시행된지 몇개월이 지났는데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하는데 이것이 왜 중요한가 하면
환경과 우리가 쓰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각종 유해 성분들이 암을 일으키게 하고 안정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화장품 회사들도 조금씩 변화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쓰는 제품에 최소한 어떤 성분들이 들어가있는지는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집에 있는 화장품 몇가지를 살펴보니 정말 놀라웠다.
전성분 표시가 가장 잘 되어 있는 내 클렌징 폼은 성분 표시는 다 되어 있지만 유해성분이 많이 보이고
아이가 쓰는 샴푸와 바스, 로션은 아마 대부분의 아이들이 한번씩은 사서 썼을 제품인데도 성분 표시가 별로 없었다.
그냥 무향, 무알콜, 저자극 제품이라고만 되어 있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파라벤, 즉 방부제는 모두 들어가 있었는데 앞으로는 살때 살펴보고 사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뭘 살까 고민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성분을 보면서 꼭 필요한것만 써야겠다.
쓸데없이 광고에 혹해 화장품 회사를 배불려주지는 말아야지 싶다.
삼십대가 되며 저절로 눈길이 가던 기능성 제품들이 실제는 좋은 성분들로만 채워진 것이 아닌 경우가 많고 때로는 무슨 기능성 인증이라고
광고하지만 그냥 ** 성분이 들어가 있어 기능성 인증이 된 경우도 있다고 하니 저자가 책에서 밝힌 유해 성분이 되도록 적게 들어간 제품을 골라 쓰는 것이 피부에 좋을거라 생각한다.
모두 읽어야할 필독서로 감히 추천한다. 정말 모든 말들이 피부에 와 닿는걸 느낄수 있을 것이다.
![](http://cfile211.uf.daum.net/image/1416452149FB0CE05BD745)
- 클렌징 폼과 아이 바스 제품의 성분 표시 부분 - 파라벤 성분이 보인다.금지 색소까지 -
![](http://cfile227.uf.daum.net/image/1716452149FB0CE15DE1DD)
- 샴푸와 아이가 바르는 유명 유아로션제품의 표시성분 -
아예 무자극 이런 말만 있지 표시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