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의 노래 - 2013년 제44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이승우 지음 / 민음사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지인의 추천으로 읽게 된 이승우 작가님의 "지상의 노래". 이승우 작가님의 작품은 처음 읽었다. "생의 이면"이라는 제목이 여러번 눈길을 끌기만 했을 뿐이다. 이승우 작가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것이 없었다.

  '후, 박중위, 연희'의 이야기가 점점 재밌어지면서, 문장도 까다로워졌다. 한번 읽어서 이해안되는 문장이 점점 많아졌다. "무슨 뜻이지?" 하면서 다시 읽으면서 감탄사가 나오는 문장도 있었다.  문장을 다시 읽고 다시 읽으면서 끝냈다. 내용을 놓칠정도로 문장이 어려운건 아니었지만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은 슬그머니 화가 나기도 했다. 그런데 읽으면서 '김훈'작가님이 떠올랐다. 왜일까? 모든걸 드러내 놓는 듯한 분위기가 비슷한 것 같다.

  이승우 작가님에 대한 정보도 없고, 작가님의 다른 작품도 읽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다른 작품들도 '지상의 노래'처럼 다시 읽고 다시 읽고 해야되지 않을까 싶다.

  소설을 읽으면 소설 속 인물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데 '지상의 노래'를 읽고 서는 작가에 대해서 호기심이 생겼다. 그러나 다른 작품을 읽을때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고, 자전적 기록이라는 '생의 이면'을 먼저 읽고 싶다.

  연필로 밑줄 긋고 싶은 부분이 많았지만 기억에 남는 건 '길'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러자 그 앞에 펼쳐진 길이 그를 이리저리 데리고 다녔다. 그에게는 정해진 길이 없었지만 길은 그를 이리저리 데리고 다녔다. 그에게는 정해진 길이 없었지만 길은 그 안에 길을 가지고 있었다. 길을 계속해서 걷다보면 언젠가 길이 끝나고 세상 밖으로 나갈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생겼다. 그것은 그의 염원이기도 했다. 그는 아무 데나 데리고 다니는 길을 그를 길 바깥으로 데려자 주었으면 하고 바랐다.'

 

 ' 어느 순간부터 길은 그를 길 바깥으로 데리고 가는 대신 길의 안쪽으로 내몰았다. 길은 길의 안쪽으로 수없이 많은 길들을 냈다. 걸을수록 길은 늘어나고, 끝이 보이지 않고, 깊어지기만 했다. 그는 때때로 길이 그의 내부를 향해 깊숙이 뻗어 나가는 것을 느꼈다. 그의 내부에는 그가 모르는 수없이 많은 길들이 있었다. 걸을수록 늘어나고, 끝이 보이지 않고, 깊어지기만 하는 길들. 그는 그의 내부에서 분출되는, 규정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힘에 자주 압도되었다. 인식할 수 없지만 느낄 수는 있었다. 느낄 수는 있지만 설명할 수는 없었고 거부할 수 없었다.'

 

 '길이 나를 여기저기로 데리고 다녔어요. 길에는 길이 아주 많았어요. 길의 안쪽으로 깊이 들어가면 세상의 작용이 아주 미미하게 느껴져요. 세상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넘어서는 것이 가능하게 느껴져요. 그리고 알게 돼요. 나는 이 세상에 있지만 이 세상에 속하지 않앗다는 것을 내 안에 여전한 말씀이 세상을 떠나지 않은 채 세상과 상관없이 사는 삶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세상 속에서 세상과 상관없이 살 수 있게 하는 것이 내 안에 충만한 말씀이라는 것을."

 

  한정효가 천산수도원으로 다시 가게 된 건 길의 욕망이었을까? 아니면 한정효의 욕망이었을까? 

 

  이승우 작가님의 작품 중에 처음으로 읽은 '지상의 노래'. 내용이나 인물들보다는 작가가 써 놓은 문장들이 화두가 되어 자꾸 떠오른다. 자꾸자꾸 곱씹으며 천천히 읽어야할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반양장) 반 고흐, 영혼의 편지 1
빈센트 반 고흐 지음, 신성림 옮김 / 예담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고흐의 솔직한 자기 고백이 ˝진정한 예술가, 고흐˝를 만들었다. 그리고 테오는 고흐의 ˝자기 고백˝을 순수하게 들어주었다. 그런 테오를 위해서라도 고흐는 자신에게 더 철저하게 채찍질 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지 세트 - 전21권 (토지 1~20권 + 토지 인물 사전)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1권 본문 앞에 있는 작가의 `자서`에 오자가 세개나 된다. 특히 `주장했다`를 `주정했다`로 오자를 낸 건 작가에게 기본적인 예의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책 출간 전에 검토도 하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지 - 전21권 세트
박경리 지음 / 나남출판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서희는 길상이를 사랑했을까?'

 

 

 집에 들어와서 멍하니 앉아 채널을 여기 저기 돌리다 보니, 방통대 이상진교수님이 나와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이 끝날 쯤이었는데, 사회자가 교수님에게 정말 궁금하다면서

'서희는 정말 길상이를 사랑했나요?'라고 물었다. 이상진 교수님은 '나도 모르겠어요.'라고 하며서

웃었다. 그 순간 나는 '사랑했지요'라고 했다.

 

 

  이윽고 혜관은 하직해야겠다면서 서희에게 들렀다.

"모레 떠나신다던가요?"

"네."

"가시면은 임씨댁에 묵으시렵니까?"

"저까지 폐를 끼쳐 되겠습니까? 여관에 들겠습니다."

"그러면 유모나 안자가 함께 가겠구먼요."

"유모랑 갈까 합니다."

"네에 ...... 임씨댁이 효자동이니까 가까운 곳에 잡으셔야겠습니다."

"네."

"효자동 어귀에 선일여관이란 게 있습지요."

  서희는 혜관의 눈을 빤히 쳐다본다. 혜관도 서희의 눈을 응시했다. 서희는 그 여관에서 무슨 일이 있을것을

직감한다.

"아닙니다. 나는 거기 들지 않겠소자의 한계점이다."

  뒷걸음질치듯 서희는 말했다. 여자의 한계점이다. 불가능을 가능케 한 최서희가 어머니이기 때문에 부딪쳐야

하는 한계점, 이제 다시 지어미이기 때문에 부딪치는 한계점을 보아야 한다. 서희는 거기 들지 않겠다는 이유를

설명하는 대신 환국이와 순철이 싸운 경위를 간략하게 얘기한다.

 

 

  삼월말의 철도 연변은 봄이 완연했다. 바람이 차기 때문에 봄은 더 신선한 것 같았다. 차창에 기댄 서희 가슴에는

위험을 동반한 환희가 아우성을 치고 있었다. 낯선 역을 맞이하고 낯선 거리를 기차가 지나칠 때마다 서희는 그 거리에서,

정거장에서 길상을 만났다. 홈에 우뚝 서 있는가 하면 거리를 지나가는 뒷모습이 있엇고, 서울에 닿을 때까지 줄곤 차창 밖만

내다보는 조용한 자세였으나 서희는 봄에 눈뜬 유충같이 세상이 경이에 가득 찬 것을 느낀다. 아무것도 실증은 없다. 그러나

실증 이상으로 길상이 서울에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서희는 떨쳐버릴 수가 없는 것이다.

 

  명빈의 댁네 백씨가 펄쩍 뛰듯이 말했다. 서희는 몇 번 사양하다가 권에 못 이긴 듯

  "폐스러워서 어떻게 하지요?"

  미소하며 슬그머니 동의를 표한다. 여관에 가지 않으리라, 처음부터 굳힌 결심이었다. 그러나 서희는 위험이 따르는 환희를

버린 것은 아니었다. 물론 길상을 만나리라는 기대는 아니었다.

  나흘을 서울서 묵는 동안 서희는 환국의 입학식에 따라갔다. 유모와 함께 서울거리에 나가 물건을 사기도 했으며 창경원에는

환국이와 함께 가서 구경을 했다. 그러면서 그 여관 앞으로 오가는 동안 서희는 눈길으 돌리지 아니 했다. 이층 창가에 어느

사내가 서 있으리라는 상상만으로 서희는 하루하루의 양식을 마련하는 것 같았던 것이다. 그리고 길상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얼마나 깊은 것인가를 깨달았을 때 서희는 가파로운 고갯길에서 땀을 닦으며 쉬고 있는 것 같은 자신을 느끼는 것이다.

 

 

 여관 옆을 차가 지나갈 때 차 속에서 서희는 처음으로 여관을 바라볼 수 있었다. 이층 창문에는 불이 켜져 있었다. 그러나

한 사내가 서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서희는 갑자기 자신이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을 느낀다. 그것은 상상이 무너지는

순간이기도 했다. 혜관은 효자동 어귀에 선일여관이 있다고 했지 그 곳에 누가 있을 것이란 말을 하지 않았다. 그렇다면

왜 확실하게 물어보지 못했을까? 어느쪽이든 확실하게 알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희망도 절망도 깡그리 뭉개버리고

싶었는지 모른다. 상상속으로 모든 것을 가두어 버리고 싶었는지 모른다. 아무도 없는 창문, 실제 아무도 없었을 것이란

절망, 차가 멎었을 때 서희는 잠시 눈을 감았다.

 밤에 잠자리에서 서희는 물었다.

 "환국아, 너 아버님 기억하느냐?"

 "합니다."

 "보고 싶으냐?"

 "네."

 울음이라도 터뜨릴 것처럼 잠긴 목소리였다.

 "아버님은 훌륭한 분이시다."

 비로소 순철이가 환국이에게 던진 말에 대하여 서희는 아들에게 해답을 준 것이다.

 

 

 나는 서희와 길상이의 사랑 이야기가 나오면 이 장면이 생각난다.

 서희는 길상이를 사랑한다.

 어느날 부터 갑자기 '사랑해야지'하고 사랑하기 시작하는 것은 아니겠지. 시간이 지나면서 쌓이는 감정이 서서히 사랑으로 변해가는 거 아닐까? 그래서 어느날 문득 사랑으로 깨달아지는게 아닐까?

  그래서 길상이에 대한 서희의 사랑도 그런 모양의 사랑이 아니었을까?

 

 그 프로그램을 잠깐 봤지만, '분석하기 보다는 느끼는 것이 더 가까이 다가가는 방법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을 바꾼 만남 - 스승 정약용과 제자 황상 문학동네 우리 시대의 명강의 1
정민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산선생님보다는 황상 선생님이 더 훌륭하다. 왜냐하면 훌륭한 스승에 배운다고 모두 훌륭한 제자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황상 선생님의 스승에 대한 한결같은 마음과 자세가 훌륭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