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기 활동 마감 페이퍼를 작성해 주세요!

 

몇 년 전에 알라딘 신간평가단 활동했던 것을 마지막으로 (언제였는지 정확히 기억도 안 난다) 신간평가단에 응모한 적이 없었다. 그 당시에 나는, 마지막 도서까지 리뷰 완료하지 못 했다. 마음 같아서는 늦게라도 해야지 했는데, 어디까지나 그냥 마음에 머물던 일로 끝났다. 이른바, 먹튀. 아, 나는 6개월의 이 긴 레이스에 맞지 않는구나 하는 결론만 얻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내가 신청한 도서가 거의 선정이 안 되고 있기에 애정을 담고 처음 시작했던 마음이 사라졌던 거다. 활동자도 많고, 신청도서도 많으니까, 내가 신청한 도서 한 권쯤 선정이 안 될 수도 있는 건데, 매번 선정에서 미끄러지는 걸 투덜투덜하면서 마무리마저 그렇게 하고야 말았다. 그 후로 알라딘 신간평가단은 아예 응모하지 않았다. 나란 인간이 어떻게 이어갈지 알 것 같아서...

 

그렇게 몇 년이 지났다.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성실한 서평단이 될 거임~!’이란 각오로 도전했다. 나는 예전에 활동했던 분야를 바꿔 에세이로 신청했다. 소설 부분 말고, 관심 1순위가 아닌 2순위 분야로 응모했다. 혹시 선정된다면, 간절히 읽어보려고 했던 책이 아니라 ‘이런 책도 괜찮다’는, 좀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보고 싶어서였다. 그렇게 신간평가단 15기 에세이 분야로 선정되었고, 나에게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났다. 6개월 동안 총 12권의 책을, 마감 한 번 어기지 않고, 이렇게 마무리하게 되었다는 게, 바로 기적. 처음 신간평가단 신청하면서 다짐했던 마음을 잘 이뤄낸 거다. 선정되고 나서 가장 먼저 했던 다짐은, 최소한 ‘먹튀’는 하지 말자는 거였다. 혹시 나랑 맞지 않는 책일 수도 있지만, 내 관심 밖의 책일 수도 있지만, 이렇게라도 읽어서 편식을 줄여야겠다는 생각이었다. 여기서 그 편식을 줄이는 가장 기본적이고 필요한 것은 성실하게 임하는 것. 어떻게 이어갈까, 잘 할 수 있을까 했던 걱정은 이렇게 활동을 마무리 한 것으로 끝났다. 여전히 내가 신청한 도서는 잘 선정되지 않았지만 좋은 책도 많이 만났다. 그래서 다행이다. ^^

 

 

 

- 15기 신간평가단 활동시 가장 기억에 남았던 책과 그 이유

책이 좀 많습니다

윤성근의 책이 많이 출간된 건 알고 있었지만,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실제로 읽어본 적도 없다. 도서관 서가에 쭉 꽂혀있는 걸 보고 그 자리에서 휘리릭 넘겨본 적은 있어도 제대로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은 없었는데, 이 책으로 그의 글을 만나게 된 거다. 책 좋아하고 책 아끼는 사람들을 만난 이야기를 보면서 놀랍기도 하고 웃음도 났다. 규모나 마음의 정도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겠지만, 나와도 많이 달랐지만, 그 바탕에 깔린 독자들, 애서가들, 장서가들의 마음은 똑같다는 생각을 했다. 책을 이렇게 아끼는 사람들을 보면 나는 근처에도 못 가겠지만, 이런 사람들이 있어서 아직은 책이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같았다.

 

 

 

- 15기 신간평가단 도서 중 내 맘대로 좋은 책 베스트 5

떠나는 이유 /

밥장의 책 역시 내가 완독한 적이 없다. 그림을 먼저 떠올리게 하는 저자가 여행의 의미를 들려주고 있어서 의외이기도 하고, 그래서 좋기도 했다. 사진과 글, 그림으로 만나는 그의 여행기가 선선한 바람처럼 불어왔다. 그가 그동안 쓴 책보다 나에게는 이 책이 더 맞는 것 같다.

 

 

 

 

태도에 관하여 /

내가 신청한 도서 중에서 처음으로 선정되었기에 마음에 더 담는다. ^^ 임경선의 소설을 좋아하는데 에세이는 처음 만났다. 저자의 상담 같은 이야기가 듣기 편해서 좋았다. 가방에 넣고 다니다가 시간 날 때 아무 페이지나 펼쳐서 읽었다. 저자의 글을 좋아해도 저자에 관심은 거의 없었는데, 이런 말을 하는 저자는 어떤 사람인지 자못 궁금해졌다.

 

 

 

조지프 앤턴 /

아, 이 책. ^^ 받자마자 상당한 두께가 압박했는데, 막상 펼치고 보니 참 재밌었다. 자서전 좋아하는 편도 아니고 그래서 만나지도 않는데, 이 책으로 자서전에 대한 선입견이 사라졌다. 이런 이야기로 자서전을 풀어갈 수도 있구나 싶어서 호감이 생겼다. 시간도 없었고 마음이 급해서 활자를 읽는 것에만 집중했는데, 다시 한 번 펼칠 기회가 오길 바라고 있다.

 

 

 

나의 사적인 도시 /

아름다운 이야기가 가득했다. 뉴욕이란 도시를 이렇게 보고 느끼고 살아가는 사람이 있구나 싶어서 저자의 뉴욕생활기가 궁금해지기도 했다. 번역가로만 알고 있던 저자의 글 분위기가 그대로 묻어 있는 것 같다. 담담하게 들려오는 말투가 좋아서 나에게는 쉽지 않은 책이었지만 다 읽고 보니 ‘좋네’ 라는 여운이 생기더라.

 

 

 

 

다정한 편견 /

저자의 소설을 다시 꺼내게 만든 책이다. 그의 산문을 읽고 나니, 그의 소설을 읽다만 게 괜히 마음에 걸렸다. 재밌게 말하고 있지만 그 안에 깃든 마음은 가볍지 않았다. 저자가 풀어놓는 이야기가 유쾌했지만 쓸쓸하기도 했다. 그의 소설로 만나는 사람 냄새는 어떤지 궁금해졌다.

 

 

 

 

 

 

 

6개월이 이렇게 빨리 갈 줄 몰랐다. 한 달, 또 한 달. 도서 받고 읽고 마감하고. 그렇게 여섯 번이 지나고 나니 다 끝났다. 시원섭섭. 리뷰 마감일에 허덕일 때는 부담스럽더니, 끝났다고 하니 괜히 더 섭섭해지는 건 무슨 심보인지... ^^ 재밌게 잘 읽었고, 내 눈에 들지 않은 책까지 읽게 되어 더 알뜰살뜰한 15기 활동이었다.

 

감사합니다. 꾸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