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바다 미슐레의 자연사 1
쥘 미슐레 지음, 정진국 옮김 / 새물결 / 2010년 10월
평점 :
품절


모든 것이 바다에서 시작되었다

개인적인 이야기 하나. 내가 서울을 좋아하는 이유는 단 하나, 한강 때문이었다. 버스에 몸을 싣고 창밖을 바라보면 한강이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 물살은 흘러 흘러 바다로 갈 것이었다. 바다는 단지 사람들의 호오(好惡)에 그치지 않는다. 때로는 화합의 장으로, 때로는 정복과 폭력의 장으로, 그리고 그러한 역사를 만들어낸 것이 바다였다. 주경철은 [문명과 바다](산처럼)에서, 바다에서 형성된 근대를 정리했다. 

프랑스 역사가 쥘 미슐레가 쓴 자연사 4부작([바다] [새] [곤충] [산]) 중 하나인 [바다]는
바다 여행기와 같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독수리를 타고 바다의 세계를 한 바퀴 돌다가 해저의 숲으로 여행하는 기분입니다. 모래톱의 속삭임이 들려오고 여기저기서 일렁이는 거대한 파도를 탄 듯합니다. 바다가 선생님께 그렇게 쓰라고 부추긴 모양입니다.”(플로베르가 미슐레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플로베르의 이야기처럼 미슐레의 문장에는 바다가 살아있다. 심해에서의 조류의 순환을 ‘박동’으로 표현하며 “난류는 극지의 경계를 ‘두드리고’ 극지의 한류는 적도를 ‘두드린다’”(57쪽)고 쓴다. “파도는 두려운 ‘순간적 운집’ 효과를 냈다. 인간이 아니라 잔인한 종족, 집 지키며 으르렁대는 개떼 아니 미친 개떼…. 야생 개일까, 집 지키는 개일까? 이도 저도 아니었다. 이름도 없고 가증스러운, 눈도 귀도 없이 거품만 뿜는 아가리뿐인 짐승이었다.”(84쪽)

“육지와 대양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육지는 말이 없지만 대양은 말한다. 대양에는 목소리가 있다. 먼 별들에 말을 걸고, 그 별의 운행에 자신의 묵직한 음성으로 답한다. 대양은 땅과 해안에 비장한 억양으로 말하고, 그 메아리를 받는다. 투덜대고 겁도 주면서 으르렁대거나 한탄한다. 특히 사람에게 말을 건다. 대양은 풍요로운 수렁이다. 그곳에서 태초가 시작되었다. 그 힘으로 계속해서 살아있는 웅변을 토한다. 생명이 생명에 거는 말이다. 여기에서 태어나는 수백, 수천억의 생물이야 말로 그의 말이다. …그런데 무슨 말을 할까? ‘생명’을 말한다. …무슨 말을 한다고? ‘불멸성’이다. …또 무슨 말을 한다고? ‘연대’다.”(350~351쪽)

미슐레가 ‘글로 쓴 사진’([글로 쓴 사진]은 존 버거의 책 제목이기도 하다)은 한편의 인상파 작품처럼 생생하다. “고래는 무척 수줍다”고 말할 수 있는(새 한 마리에도 놀라 갑자기 잠수하며, 심히 불쾌해한다) 바다에 대한 애정과 뛰어난 관찰력에 의해 그려지는 그림이다. 하지만 종종 미슐레의 문장은 바다처럼 흐르기도 한다. 그가 그리려고 하는 것, 전하려고 하는 것이 명확한데도 눈이 문장을 놓칠 때가 있다.  

이 책에서 바다는 단지 물의 흐름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어부, 등대, 명태, 산호, 해파리, 돌, 조개와 진주, 해적, 고래, 그리고 인류와 역사. 바다 안에 그 모든 것들이 있다. 미슐레 역시 책의 말미에서 “우리가 살면 바다가 살고, 우리가 죽으면 바다가 죽으리라.”고 이야기한다. 모든 것이, 바다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