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만엔원년의 풋볼
오에 겐자부로 지음, 박유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2월
평점 :
판매중지


드디어 오에 겐자부로의 책을 읽었습니다. 이름은
참 많이 들어봤는데..
특별이 작가들이 많이 꼽는 작가라고 생각됩니다....

언제가 읽었던 금가사의 작가 미시마 유키오와는
대척점에 있는 작가로 일컬어지죠.
금각사도 참 충격적인 책이었습니다.

저에게는 일단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니였습니다.
묘사하는 문체가 뭐라 할수는 없지만 참 독특합니다.
쉽지는 않지만 참 매력있네요.

그리고 이책의 특이한 점 중 하나는 여성에 대한 시선입니다.
흔히 나오는 매력적인 여성이 없습니다.
중증 정신장애아를 낳고 알콜중독이 된 미쓰의 아내.
일본에서 제일 뚱뚱한 진, 오빠의 아이를 가진 채 자살하는 백치 여동생.

그렇치만 여성에 대한 왜곡된 시선이라고 느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엄마의, 여성의가장 약한 부분에 대한 섬세한
눈길이 느껴 집니다.

작가는 인간의 '고통'이라는 명제에 천착한듯 합니다.

'고통'을 통한 구원을 갈구했던 다카시, 장애아를 낳고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엄마의 고통, 골짜기 마을 구하고자 했던
증조부와 그의 동생의 고통, 맞아 죽어갔던S형의 고통,
아무런 말 없이 결국 자살의 선택해야 했던 백치 여동생의 고통,
조선인 마을의 청년들의 고통, 결국 정신병이 걸리고 마는 어머니의 고통.

그러나 결국 스스로를 구원한 사람은 미쓰가 아니였을까 생각됩니다.
'고통'를 통한 자기구원을 갈구했던 다카시는 '고통'의 구덩이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게 되니까요. 다카시의 고통은 혼자만의 고통이 아니라
S형의, 여동생의, 증조부의 동생의, 형수의, 그리고 모두의 고통이였던 것 같습니다.

스스로를 구원하는 것은 고통의 구덩이가 아니라 '기대'와 '풀의 집'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미쓰의 '풀의 집'은 앞에 나오는 구덩이며, 곳간채의 지하였던 것이겠지요.

우리가 우리의 고통 이상을 책임질 수 없다며, 자신의 길을 그저 담담히
가는 것 밖엔 방법이 없다고 이야기 하는 듯 하기도 합니다.
책의 앞부분 미쓰가 정화조 구덩이에 개와 함께 빠지는 부분과
곳간채의 지하는 참 절묘하게 잘 어울리네요.

중증정신장애아인 아기와, 동생의 아이의 낳겠다는 아내와 함께
미쓰가 행복하길 바랍니다.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14188856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콜레라 시대의 사랑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7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가지로 대비 되는 것들

노화에 대한 두려움으로 자살을 선택하는 제레미아 드 생타무르와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노년까지 기다림...
모든것을 갖고 부유하게, 가문의 무게에 짖눌려 산 우르비노 박사의 삶과
한 여자를 평생 바라보는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특별한 인생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수많은 여자들과의 멈출수 없는 사랑과
페르미나 다사를 향한 순정
페르미나 다사의 우르비노 박사와의 50년간 결혼 생활과,
플로렌티노 아리사와의 노년의 사랑
그속에 흐르는 억압받는 성, 인간의 자유, 사회라는 견고한 장벽과 결혼이라는 무덤에 대하여 더 많은 이야기를 합니다.

어쩌면 단순하지만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50년간 기다리는 지리멸렬한 사랑 이야기 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나쁜것 또는 좋지 않은 것으로
치부해 버리는 나이 듦, 늙음, 죽음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합니다.

콜레라가 창궐한 직후의 세대, 콜레라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세대, 콜레라와 같은 사상병을 평생 간직한 채 살아가는 남자.
이제 사회의 발전엔 아무런 도움이 안되는 노인들의 사랑을 향한 항해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읽는내내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사랑에 100% 동의 할 수는 없었습니다.
정말 페르미나 다사를 사랑했을까요? 그는 페르미나 다사를 알 수 있는 기회가 별로 없었습니다.
페르미나 다사에 스스로 만들어 엮어놓은 자신만의 허상을 사랑한 건
아닐까요?
전 자꾸 그렇게 읽히네요. 그래서 플로렌티노 아리사에게 감정이입이 되지않는 부분도 많았습니다.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남미문화권이라 그런지 색다르게 읽히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점심먹고 해먹에 누워 낮잠자고 오후에 햇살이 잦아지면 다시 시끌시끌 해지는 장면들도 참 색다릅니다.

전 개인적으로 1권보다는 2권을 훨씬 재밌게 읽었습니다.

조금 아쉬운점이 있다는 주인공인 플로렌티노 아리사와 페르미나 다사를 제외한 인물들이 너무 단편적으로 그려졌다는 것입니다.
플로렌티노 아리사의 수많은 애인들도 좀 다각도로 묘사되었으면 좋지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음~~ 노에 맞아 죽은 노부부 이야기...

"공적인 생활의 과제는 두려움을 지배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고, 부부 생활의 과제는 지겨움을 극복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89p)

"제기랄! 이 모든 게 삼십 년 전의 일이라니!"(103p)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14188856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어 라이프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3
앨리스 먼로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직하고 메마른 그리고 아름다운 평범한 인간의 깊은 마음을 여행하는
책입니다.
단편적인 배경속에 단조로운 삶속에 예리한 베임같은 깊은 울림있네요....
첨 듣는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좀 의아했는데 그만한 이유가 있는 듯
합니다.(그래도 필립로스 같은 작가는 생전에 꼭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14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책입니다. 흔히 단편이라면 짧은 시간속의
사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한정된 공간속에 긴 시간을
단편으로 쓰는 재주도 뛰어난 작가입니다.

첫번째 이야기인 '일본에 가 닿기를'.. 딸을 잃어버리는 또는
놓아버리는 엄마의손. 해리스와 만나며 마음이 놓이며,
딸의 손의 놓아버리며 다가올 일을 기다리는
마지막 문장을 여러번 읽게 합니다.

'호수가 보이는 풍경'의 그녀도 오래도록 기억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너무나 귀여운 '돌리'속의 할머니.
저도 그 나이가 되어도 그렇게 뜨겁게 질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작가의 자전적 이야기는 마지막 4편.

빨리 읽어지는 책은 아니네요.
끝인지 시작인지 알 수 없는 이야기들이 덜컥덜컥 마음이 떨어집니다.

'사람들은 말한다. 어떤 일들은 용서받을 수 없다고, 혹은 우리 자신을 결코 용서할 수 없다고. 하지만 우리는 용서한다. 언제나 그런다(416페이지)'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14188856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픽션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75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 민음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년의 두번째 책

이름은 수 없이 들어 보았으나 책은 처음입니다....
해체주의 시작이라 작가라 불려지는 보르헤스(뭔가 있어보이는 이름입니다.)
끝내 끝까지는 읽지 못했습니다.
딱 반만 읽었습니다. 전 딱 거기까지 더군요.
읽기가 쉽지않은 책이었습니다. 스토리보다는 글자 한자한자의 의미가
있는 것 같은 책입니다.

어쩌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는지 참 놀라웠습니다.
이러한 상상력과 글들이 인정 받는 사회도 놀랍네요.

암튼 어렵고 독특한 책 이었습니다.

특히나 저는 '원형의 폐허들'이라는 단편의 끝부분을 읽으며
소름이 쫙~~악 올라오더군요.

'바빌로니아 복권'도 참 재미있었습니다.

'바벨의 도서관'은 명성대로 참 신기하고 놀라웠습니다.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도서관
"내글을 읽고 있는 당신, 당신을 내가 쓰는 언어를 이해한다고 확신하는?" 하고 묻는 작가..
정말 무질서가 반복면 질서가 될까? 질서가 반복되면서 무질서가 되는게 아닐까? 하는 보르헤스적 생각도 잠시 해보게 됩니다.

그리고 '두 갈래로 갈라진 정원의 오솔길'도 참 특별한 이야기 였습니다.

하지만 보르헤스는 여기까지만.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14188856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윤대녕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4년 첫번째 책은 윤대녕의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 입니다.
이름은 익은 작가지만 저는 처음 만나는 작가입니다.
정제된 시적 문체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긴장감을 놓치지 않고 이야기 전개됩니다.
성수대교 붕괴라는 커다란 재앙앞에서 만났던 두 남녀가 9년 뒤 ...
우연히 만나결국엔 연인이 된다는(이렇게 써놓으니 너무 뻔한 연애 소설이네요. 그건 아닌데)

오래살진 않았지만 제주가 외가이며 출생지인 저에게는 더 애틋한 소설입니다.(제가 태어난 곳은 아마도 지금의 이중섭 거리 어디쯤이 아닌가 싶습니다.)
서귀포 동문시장이며 서귀포항 앞의 조그마한 섬들이 눈이 들어오네요.
성산포에서 바라본 우도. 양배추밭 사이 비포장 도로로 들어가던
격납고도 눈에 그려집니다.

죽음을 향해 한걸음 한걸음 걸어갔던 사기사와와 히데코,
그리고 해연의 아버지
죽음 속에서 삶을 향해 걸어나왔던 영빈과 해연, 그리고 고양이
그리고 삶과 죽음의 치열한 싸움을 대신 싸워주었던 호랑이
전 이렇게 읽어지더라구요.

아~~ 그리고 바늘을 삼켜버린 물고기는 바늘을 빼내면 죽는다며
최대한 줄을 짧게 끊이 바다로
보내주어야 한다는 그 얘기가 저겐 커다란 울림이 있네요.

마지막이 급 해피엔딩이란게 좀 서운하더군요. 좀더 여운이 남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아주 쪼끔 있었습니다.

책 표지도 참 좋네요. 담에 제주에 가게 되면 김영갑 갤러리를 꼭 들려봐야 겠습니다.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14188856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