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젓한 사람들 - 다정함을 넘어 책임지는 존재로
김지수 지음 / 양양하다 / 2025년 6월
평점 :
이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읽고 작성했습니다.
작가가 말하는 의젓함이란 무엇일까.
의젓함은 삶의 무게를 견디며 자신의 몫을
책임지는 태도이자, 더 나아가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고 그것을
자신의 윤리로 껴안는 자세를 뜻한다.
이 개념은 아침마다 한 페이지씩 읽고 있는 레비나스의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레비나스는 철학이 타인을 향한 책임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타인의 얼굴 앞에서 느끼는 윤리적
부름을, 나를 넘어서 타자에게 응답하는 존재의
시작으로 보았다.
『의젓한
사람들』에는 국내외 예술가와 인문학자 등 14인의 깊이 있는 인터뷰가 담겨 있다. 이들은 말로 설득하기보다, 삶으로 증명해 보이는 사람들이다. 인터뷰는 그들이 걸어온 삶의 기록이자, 고통과 불안, 흔들림 속에서도 끝내 자신만의 방식으로
선택하고 책임져온 태도의 이야기다.
“인생이 그냥 슬럼프의 연속이에요.”
슬럼프가 언제였느냐는 질문에, 작곡가 진은숙은 이렇게 답한다.
2024년, 클래식 음악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지멘스
음악상을 수상한 그의 입에서 나온 말이다. 창작자로서 특별한 비밀이나 거창한 철학을 들려줄 것 같지만, 그의 답변은 오히려 담백하고 쿨하다.
음악만이 자신의 인생이자 해방구라 믿기에, 그저 묵묵히 작품을 쓰는 일에 몰두할
뿐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어서 “음을 붙들고 있으면
마약을 한 것 같아요. 그냥 머리부터 발끝까지 음악에 푹 잠겨 있을
뿐이에요”라고 덧붙인다.
“어제도 포기하고 싶었고, 오늘 아침에도 포기하고 싶었다고요. 365일 중 65일은
도망가면서도 300일을 버텨요.”
배우 박정민의 말이다. “왜 그렇게 초인적으로 열심히 사느냐”는
질문에 그는 “다들 열심히 살지 않나요?”라며
반문한다. 영화 〈동주〉와 〈하얼빈〉에서, 그리고 자신이 운영하는 출판사 '무제'에서까지 그는 언제나 묵묵하게, 그러나 치열하게 자기 몫의 자리를 지켜낸다.
“사는 건 어차피 고군분투입니다. 원하는 것을 이뤘더라도 고통과 문제는 계속되지요. 문제없는 삶이란 없으니까요.”
『신경 끄기의 기술』의 저자 마크 맨슨은 말한다. 스스로에게 던져야 할 질문은 이것이다. 나는 어떤 종류의 고통을 견딜 수 있는가. 어떤 것이 내게 가치 있는 고통인가.
14인의
인터뷰 중에서도 나는 이 세 사람이 삶을 대하는 태도에서 알 수 없는 위안을 느꼈고, 그들의 말에 깊이 감응했다. 이들에게 공통되는 점은, 삶의 고통과 불안을 덤덤히 받아들이고 껴안으며 자신의 길을 묵묵히 걸어간다는 것이다.
“왜 나에게만 이런 고통이 있을까?”라는 질문에 머무르기보다, 자신이 가치 있다고 믿는 방향을 향해 온몸을
걸고 살아낸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들이 남다른 재능을 지녔거나, 스스로에게 잘 맞는 길을 비교적 일찍 발견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떠한 조건 속에서도 끝내 책임지는 태도를
선택했다는 사실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있다. 14인의 인터뷰이는 각자의 삶에서 분명 의젓하게 살아왔지만, 작가가 정의한 의젓함—타인의 얼굴에 응답하는 책임의 윤리—까지 나아갔는지는 다소 분명하지 않다.
그럼에도 나는 의젓함 너머에 있는, 타인에 대한 책임의 윤리가 좀더 나은 존재로 살기 위한 지향점이라고 생각한다. ‘나’로부터 시작해 ‘나’로 끝나는 삶은 결국 허무로 이어질 수 있다. 그것은 자아에 갇히는 삶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우리가 뛰어나든 그렇지 않든, ‘나’를 열고 ‘너’에게 다가가는
일은 존재를 더 풍성하고 깊게 만든다. ‘내’가 빛나지 않더라도 ‘너’에게
빛을 전할 수 있는 삶, 그것이야말로 의젓함을 넘어선 삶이 아닐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