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기엔 인류를 중력에서 끌어내고 싶다는 욕구가 추상 미술의 역사 전체를 가로지르는 것 같아. 아주 오래된 신화들에 양분을 제공했던 욕구이기도 하지. 그리스 신화의 이카루스 전설이라든지, 전령신 헤르메스라든지……바로 그거야, 추상이란 건 비물질 속으로, 우리 모두 죽을 수밖에 없다는 지상의 무거운 조건 너머로 날아가는 로켓 엔진이랄까. - P466
20세기 초에는 여전히 각자가, 특히 여자들이 자기 역할의 범주를 넘어서면 안 된다고 생각했어. 한나 회흐의 이 작품이 알려주는 것도 바로 그거야. 애초부터 그렇게 정해져 있는 건 사실 아무것도 없다는 것. 게다가 균형이 안 맞으면뭐 어때. 우리 모두가 똑같다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똑같은 균형을 지녔다면, 얼마나 슬픈 노릇이겠니! 한나 회흐는 우리에게 그걸 말해주는 거야. 불균형이 필요하다고. 왜냐면 그 또한 자기 자신, 자기만의 독특성을 지닌 존재가 된다는 것이니까. - P478
날 죽이지 못하는 건 날 더 강하게 해준다. - P488
‘아! 삶의 실타래를 되감아 언어의 영화 한 편 만들어볼 수 있다면! 첫 단어, 첫 문장, 죽음, 아름답다, 사랑해나 설상가상이 처음으로 발음된 순간을! 아! 내가 처음으로 의문문을 사용했던 때는 언제였을까?‘ 앙리는 애가 탔다. 또한 삶에서는 감탄문이 평서문보다 먼저 나올 수밖에 없음을 깨달았다. 채 분절되지 않은 채 들끓는 상태에서 솟구치는 외침들로부터 모든 게 시작된다. 그의 정신이 번득였다. - P502
그에게 미국이란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미국이었지. 저 작품을 보렴. 폴록에겐 리듬이 있고, 박자가 있어. 거의 춤을 춘달까. 그는 술을 통해서 자신을 벗어나 정신이 나간 상태를 맛보았단다. 그가 그림을 그리는 방식에는 샤머니즘적인 성격이 있어. 폴록에 따르면, 정신은 여행을 해야 해. 다른 차원을, 다른 영역을 발견해야 하고 자연 속에, 동물 속에, 물질 속에 녹아들어야 해. 그토록 소리 높여 주장했던 사람들 말대로 폴록의 예술이 전형적으로 미국적이라면, 미국 원주민에게서 그 원천과 표현법을 찾아야 할 거야. - P507
삶에서 나아간다는 건, 그처럼 예고 없이 맞닥뜨리는 상처들, 잘 드러나지 않는 만큼 존재의 더 깊은 심연에 트라우마를 입히는 상처들을 헤집어 밝히는 고약한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이다. - P511
"영점에서 다시 시작하자, 영점에서 끊임없이 다시 시작하자......모든 걸 다시 세우기 위해, 영점에서 다시 시작하자."
"왜냐면 무엇도 난파되지 않고 무엇도 그저 잿더미로 돌아가지 않기에. 그리고 대지가 열매에 이르는 것을 볼 줄 아는 이는 모두 잃는다 한들 실패로 동요하는 법이 없기에." - P538
누구에게든 어린 시절이란 무수한 오해, 불만, 트라우마로 이뤄져있기 때문이지. 그런 경험들이 꼭 특별나게 드라마틱하거나 폭력적이란 법은 없어. 대부분의 경우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희미해. 하지만 잘 감지되지 않는 만큼 더 무섭지. 말할 수 없다는 금기가 그것들을 감싸고 있으니까. 루이즈 부르주아는 네 나이 때 자기 집에서 고통스러운 뭔가와 맞닥뜨렸어. 그 자체는 전혀 심각할 것 없는 일이었지만, 치유되지 않는 상흔을 남기기엔 충분히 힘든 뭔가였지. - P557
암흑 속에서도 세계의 심연들이 여전히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존재는 대낮의 빛 아래에만 머무르지 않는다는 것을 .... - P568
"하비, 그러니까 지금 하비의 말은 이별이란 것이, 그게・・・・・・ 그러니까......" "...... 새로운 삶, 붙잡아야 할 새로운 기회이기도 하다는 거야, 모나야. ‘출발 départ‘이라는 말이 떠남을 의미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렴. 출발이란 하나의 끝, 동시에 하나의 시작이야. - P570
삶에서 남는 건 물건들, 무진장 많은 물건인데, 그 물건들 각각에도 삶이 있지. 그것들은 너무 닳고, 부서지고, 조각나서 때로는 이름조차 사라진 자잘한 물건들이야. 중학생용 잉크병 하나, 네잎클로버 하나에서도 얼마든지 우주 전체를 꿈꿀 수 있어. - P580
일종의 형이상학적인 직관을 통해 모나는 아무리 작은 물질 단위라도 거기에 존재가 담겨 있음을, 그것이 무한한 존재로 넘쳐난다는 것을 느꼈다. 아무리 작은 물질 단위라도 그 위로 지나간 모든 시선, 그것이 불러일으킨 모든 감각, 그것을 스쳐간 모든 공기, 그것을 둘러쌌던 모든 음파, 그것이 거쳐온 변신과 그것을 그것이게 하는 지속이 그 안에서 진동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모든 물질 단위가 하나의 의미망 속에서 서로 소통하고 있었다. 너무나 막대하고 풍요로워서 잘 들리지 않는 의미망, 따라서 속삭임이었다.... - P580
할아버지가 모나를 위해 엄선한 아름다움을 통해 자기 삶을 아카이빙할 수 있도록, 그 보물들을 머릿속에 아카이빙할 수 있도록, 어느 날 실명 상태가 다시 덮치더라도 그 보물들만은 색깔과 기쁨의 수장고에 영원히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 P585
사실 유년기의 가르침이란 바로 이것, 상실이었다. 유년기 자체의 상실부터가 그렇다. 유년기를 잃어버리면서 유년기가 무엇이었는지 배우고, 그러면서 모든 것을 항시적으로 잃을 것임을 배운다. 잃는다는 것이 살아 있다는 감각의 강렬한 존재감의 필수불가결한 조건임을 배운다. 흔히 성장이란 획득한 것을 쌓아가는 일이라고 여겨진다. 경험, 지식, 물질의 획득. 하지만 그건 허상이다. 성장은 상실이다. 살아간다는 것, 그건 삶의 상실을 받아들이는 일이다. 살아간다는 건 매초 매분 삶에게 작별을 고할 줄 알게 되는 일이다. - P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