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도를 기다리며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
사무엘 베케트 지음, 오증자 옮김 / 민음사 / 2000년 11월
평점 :
~ 우리는 오늘도 내일도 기다린다.~
작가 사무엘 베켓은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부조리한 형식으로 가장 잘 묘사한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그의 걸작 「고도를 기다리며」는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는 상황을 나타낸 극이다.
한 그루의 앙상한 나무만이 서 있는 한적한 시골길,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잃어버린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은 극의 처음부터 마지막 상황까지 끊임없는 기다림을 계속한다.
그리고 등장하는 포조와 럭키 역시 그들이 기다리는 ‘고도’에 대하여 질문한다.
누구인지도 모르고 언제 올지 모르며, 또 온다고 해서 그들의 고통을 해결해 줄 지도 모르는 상황인데도 그들은 고도를 기다린다. 그들은 항상 무의미한 반복되는 삶의 습관을 유지하고 기다리는 목적도 없이 단지 기다린다.
등장하는 인물은
블라미디르, 에스트라곤, 포조, 럭키이다. 블라디미르는 지적이며 에스트라곤은 감성적이고 육체적인 면을 가졌다. 포조는 가학적, 럭키는 포조에게 순종하는 노예로 등장한다. 럭키는 한 때 주인인 포조에게 최고의 「고귀함 “미, 은총, 진리”」를 가르쳤던 스승이었으나 이제 그의 재능은 사라졌고 포조는 그런 럭키에 대해 불평을 하고 있다.
이들은 대조적이고 상반된 행동을 하지만 서로 붙어 다닌다. 그들의 대조되는 성격 때문에 서로 헤어지자 하면서도 결국은 서로 결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들은 서로의 개성을 서로 보완하기도 하며 필요한 것을 서로 받아들이면서 서로 긴밀하게 결속되어 있다.
극속에 등장하는 인물은 습관적으로 반복하는,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행동들이다. 지성, 감성, 육체성, 지배, 피지배를 통한 권력애 등은 한 개인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는 것이라 우리는 이러한 요소들을 버릴 수 없다.
또한 인간은 때로 혼자 독립하고 싶어 하지만 상대방이 함께 있지 않을 때면 자신의 존재를 확인시켜 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상대가 아쉽게 느껴지는 것이다.
1부 2부는 물질만능주의 세태에서 지성이 굴복당하고 물질적, 육체적인 욕구는 한날 물거춤처럼 허무한 것이며 결국은 정신적 황폐함까지 가져오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부조리한 상황에서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은 아무 일도 하지 않은 채, 하루하루 고도를 기다리며 지내고 있는데 그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항상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는 우리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인생은 사건들의 연속 그러한 사소한 사건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기다리는 것이 실존적 인간이다.
‘고도’를 기다린다는 것은 불확실성 속의 기다림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고도’를 기다리는 일은 지루하고 따분하고 공허하며 고통스럽지만 그 상황을 거부하지 않은 채 절망과 두려움을 받아들이며 살아간다는 것은 부조리 상황이다.
「고도를 기다리며」의 공연을 연출한 슈나이더는 베켓에게 고도의 존재에 대해 물은 적이 있다. 이에 대해 베켓은 “만약 내가 알았다면 극 안에서 말했을 것이다.”라 대답했다. 고도가 어떤 존재인이 밝히지 않은 채 등장인물로 하여금 그런 불확실한 존재를 끝없이 기다리게 설정해 놓은 그 상황 자체가 부조리하고 불합리하다.
그러나 ‘그들의 상황이 겉으로는 완전한 절망 그 자체이고 기다림의 행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인가?’ 라는 의문을 갖게 하지만 때로는 막연한 기다림 속에서 스며 나오는 희망을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의지와는 상관없이 기다리는 삶의 절망과 고통의 현실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를 갖게 해주는 것, 이것이 바로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가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