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회에서 소설 읽기의 장점은 이런 것이다. 혹은 단점도 이런 것이다. 아~좋은 책이야!, 뭐가 이래ㅡ.ㅡ; , 오..비극적이다..,하고, 가만히 혹은 탁! 책을 덮고 말 수 없다는 것이다. 무언가를 말해야 하니까, 내 취향이 아니예요 하고 입을 다물수는 없으니까, 어떤 이야기라도 만들어내야 한다. 그것이 매우 쉬운 책도 있고, 너무 힘든 책도 있다. 너무 재미가 없어서 아무리 생각하려 해도 생각할 거리가 없는 책도 있고, 목구멍이 뻐근하거나 혹은 콧구멍이 새큰거려 그 들끓는 감정을 딱딱한 언어로 뭉쳐낼 수 없는 책도 있다. 그래도 무언가를 쥐어짜내게 되는데, 새로운 생각의 촉매가 될 때도 있고, 아련한 느낌을 파사삭 깨버릴 때도 있다.

 

성석제의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를 굳이 말하라면 후자에 가깝다고 해야 할까? 글머리를 이렇게 시작해버리면 당연히 양자택일의 압박에 놓이게 된다. 그러려고 시작한 말이 아니라면, 저  !와 ㅡ.ㅡ;와 ...는 새빛 둥둥도 아니고 낙동강 동동 오리알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또 글이라는 것이 그렇게 앞뒤 딱딱, 가로세로 각맞는 그런 것도 아니다. 콧구멍은 간질거리는데, 뭐라고 말해야 할지 잘 잡히지는 않는데, 그렇다고 또 헐벗은 언어가 붙들기에는 너무 풍부한 어쩌고 그런 것은 아니다. 재미있는데, 재미있다고만 말하기에는 그렇고, 무언가를 더 파고 들기에는 평론가의 영역이 될 것 같고, 일상과 엮어보기에는 너무 이야기가 많다. 단편집이 이야기가 많은 것은 당연한데, 어느것 하나 그저그렇게 넘겨버리기에는 아까워 뭘 골라야 할지 모르겠다. 하나하나 다 이야기하려고 덤벼들다간 독서회 회원들의 눈총에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안그래도 말이 너무 많아 요주의 인물이 된 지 오래다.

 

7편의 단편 중 마지막인 <꽃의 피, 피의 꽃>이 경험상(?) 제일 친숙하다. 이 단편에는 세상의 모든 도박이 등장한다. 섯다, 도리짓고땡은 기본이고 고스톱, 포카를 거쳐 전자오락 도박, 경마, 라스베가스까지 좌악 펼쳐진다. 하나 없는 것이 있다면, 나의 친애하는 지인께서 말씀하신 "세상의 가장 큰 도박"인 주식만 빠져 있다.

 

세상의 이 잡다한 그러나 거대한 도박 중 내가 직접 해본 것은 고스톱 같은 민속놀이를 빼면 경마다. 한 두번이 아니라 한 두 번의 한 이삼십 배는 될 듯 하다. 나야 기껏 하루 열두 경주 중 총 일이만원 정도 잃을 간덩이밖에 안되지만, 낮게 깔리는 음악과 함께 "제 9경주, 마권 발매가 시작되었습니다"라는 방송이 나오면, 초대형 전광판에 숫자들이 촤르륵 나타났다 또 촤르륵 바뀌는데 ,그것이 꼭 바람따라 이리 누웠다 저리 눕는 황금들판의 물결처럼 눈부시었다. 수백에서 시작해서 수천, 수억, 수십억으로 불어나는 그 숫자들의 물결을  보노라면, 어떻게 이삼십분 사이에 저렇게 많은 돈들이 한꺼번에 밀려드는지 봐도 봐도 신기했다.

 

그러나 배팅에 별다른 재미를 느끼지 못하고부터는 화장실이며 실내 객장이며 너른 경마공원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구경했다. 가끔 시사프로에 나오는 경마장 꽁지며 큰손이며 예상전문가들도 보게 되고, 일가족이 둘러앉아 예상지에 머리를 맞댄 모습, 피니시 라인에 코차로 들어오지 못한 기수를 향해 고래고래 욕설을 퍼부으며 수십만원인지 수백만원인지 알 수 없는 마권을 뿌려대는 사람들의 말할 수 없는 상실감도 목격하게 된다.

 

거기에 인생을 건 모든 사람들도 결국 승자는 마사회라는 것을 알고 있다. <꽃의 피, 피의 꽃>에서 친절하게 설명하듯, 총 배팅 금액 중 72%만 배당금으로 경마꾼들에게 돌아가고, 나머지 28%는 마사회로 들어 간다. 판돈의 100%가 돌아도 딴 사람과 잃은 사람이 갈리기 마련인데, 그 판돈이라는 것이 한 판에 28%씩 줄어드는데, 하루 12경주를 모두 배팅하고 나면 결국 처음 100원으로 시작했다면 1원만 가져갈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 1원 중 딴 사람도 나오지만 당연히 잃은 사람이 훨씬 많을 수밖에 없다. 그래도 매 경주 사람들은 기대에 차 배팅을 한다. 간혹 1000배 이상의 배당이 터지기도 하는데, 만원만 걸면 1000만원을 따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인생은 한방이니까.

 

<꽃의 피, 피의 꽃>의 마지막 메시지는 이거다. 몇번을 읽어봐도 결정적인 오타가 있긴 한데, 게임이란 혹은 도박이란 이런것이다,라는 명시적 교훈이다.  가위바위보를 하는 두 사람이 있다. 아이들도 하는 게임이지만, 이 가위바위보는 목숨을 걸고 하는 내기다. 그런데 한 사람은 가위를 낼 수 없다. 상대편은 가위바위보 모두 낼 수 있다. 어떻게 될까? 거듭 말하지만 목숨이 걸려있다. 셋 모두를 낼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현실과 확률은 다르니까. 내가 자유롭게 셋 모두를 낼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해 보자. 나는 무엇을 낼 것인가? 상대는 무엇을 낼 것인가? 결론은 이 게임은 끝날 수 없다는 것이다. 

 

「바위, 보 밖에 낼 수 없는 사람은 상대의 문제를 잘 알고 있다. 당연히 보를 낸다. 비긴다. 1라운드는 끝났다. 2라운드에서도 두 사람은 또 보를 낸다. 비겼다. 2라운드 끝. 3라운드에서도 두 사람은 약속이나 한 것처럼 보를 낸다. 역시 비긴다. 가위바위보에 목숨이 걸려 있다는 걸 상기하라.

 두 사람이 늙어 죽을 때까지 같은 라운드가 되풀이될 것이다. 이것이 게임이다. 게임을 더 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는, 목숨을 거는 것이 게임이다. 목숨을 걸지만 아무도 서로의 목숨을 가져갈 수 없는 것이 게임이다. 게임이다.게임.다행인지 불행인지 인생에는 게임이 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게임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p288~9」

 

바위,보 밖에 낼 수 없는 사람이 아니라 셋 모두 낼 수 있는 사람에게 도대체 어떤 문제가 있다는 걸까? 이 비밀을 눈치채셨는가? 셋 모두 낼 수 있는 사람에게는 세 가지 선택의 경우가 있다. 이기거나 비기는 것, 이기거나 지는 것, 그리고 비기거나 지는 것이다. 목숨이 걸려 있다면 당연히 '지는 것'이 들어가는 경우는 선택할 수 없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이기거나 비기는 것이다. 그것이 보를 내야 하는 이유다. 내가 보를 내면 가위를 낼 수 없는 상대는 보나 혹은 바위를 낼 것이다. 보를 내면  비기게 되고, 바위를 내면 내가 이긴다. 그런데 머저리가 아닌 이상 상대도 이 사실을 알고 있다. 그도 당연히 보를 낸다. 죽을 때까지 보를 낼 수밖에 없다. 내가 진짜 도박꾼이라면, 오후 4시의 권태를 이길 수 없어 손가락을 걸고 내기 상대를 찾아 헤매던 허영만 만화의 주인공 허슬러라면, 나는 아마 가위를 낼 것이다. 상대가 나의 약점을 알고 보를 낼 것이라 예상한다면 나의 가위는 그만큼 승산이 있다. 그러나 가위에는 그만큼의 부담도 있다. 바위가 나오면 내가 죽는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다. (그런데 이걸 부추기는 소위 멘토들도 많으시다.)  그러나 목숨은 손가락이 아니고, 왠만한 우리들은 죽어나 사나 보를 낼 수 밖에 없다. 그것이 게임이고, 그것이 인생이란다. 그런데 성석제는 게임만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고 한다.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시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