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1년 4월 16일, 카페에 올렸던 글입니다.

 

오래전 신경숙의 <깊은 슬픔>에 깊이 빠진 이후 나는 오랫동안 신경숙의 글들을 읽지 않았다. 신경숙의 외딴방에 갇히면 나는 늘 온몸의 기운을 다 빼앗기고 기진맥진 널브러지곤 했기 때문이다. 90년대의 젊은 여성 작가들이 내게 대부분 늪처럼, 뻘처럼 느껴진 이유가 어쩌면 나 자신의 무기력함에 있었겠지만, 어쨌든 몇 년을 그렇게 허우적대다 나는 점점 그녀들을 멀리하기 시작했다. 간혹 공지영의 책들은 읽게 되기도 하고 그랬지만, 정말이지 신경숙은 그 많은 풍문들에도 좀처럼 손이 가지 않았다. 그만큼 그녀의 지독함은 내게 오랜 화상 자국처럼 남아 있었다.

 

 

몇 일전 TV에서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가 미국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는 뉴스를 보고, 나는 그 자리에서 새언니에게 전화를 해서 책을 빌렸다.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다. 20여년이 흐르는 동안 내가 늙은 만큼 그녀도 늙었다는 사실이 문득 떠올랐기 때문인지, 그렇다고 해도 그것이 뭐 별것이라고 말이다. 세월 따라 나는 변했지만 나의 삶은 여전히 흔들리는데, 그녀는 그녀의 명성만큼이나 확고한 삶의 뿌리를 내린 것일까? 어쩌면 단순히 아마존 베스트셀러 어쩌고 저쩌고에 현혹된 것인지도 모른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아마존의 밀림 만큼이나 인터넷의 그 아마존 역시 내게는 멀고 먼 곳인데도 말이다.

 

 

 

 

 

엄마를 생각하며 단 한 방울의 눈물도 흘리지 않을 수 있는 딸이 세상에 있을 수 있을까?

엄마와 단 한 번도 싸워보지 않은 딸이라면, 엄마를 단 한 번도 무시해 보지 않은 딸이라면, 엄마를 단 한 번도 귀찮아 해본 적이 없는 딸이라면, 엄마를 단 한 번도 사랑해 보지 않은 딸이라면, 그런 딸이 있다면 그럴 수 있을까?

<엄마를 부탁해>가 국내의 기사가 전하는 것처럼, 미국인들까지 열광케 하는 어떤 보편성을 갖고 있다면, 그것은 세상의 모든 딸들이 아무리 독기를 부려도 절대로 떨쳐 내지 못하는 눈물 한 방울, 엄마에 대한 그 눈물 한 방울 때문인지 모르겠다고 나는 생각한다.

 

 

“엄마는 알 것 없어” “내가 알아서 해” “싫다니까!”

소리를 빽 지르고 전화를 끊고 나면 밀려드는 죄책감, 그러고도 곧 잊어버리고 일상의 소소한 일들로 돌아가는 무신경, 그런 것들에 상처받지는 않을 엄마라고 믿으면서도 그것이 상처가 될 것임을 모르지도 않는 우리 딸들이라는 것들....

책 장을 넘기다보면 나는 어느새 불려나온 나 자신의 기억 앞에 서있다. 내 눈 꼬리에 흐르는 눈물은 책 속의 엄마에 대한 눈물인지, 지금 홀로인 내 엄마에 대한 눈물인지 구분할 수 없다.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는 이렇게 딸들의 죄의식 위에 뿌리를 내리고, 딸들의 눈물로 무성한 잎을 피웠다.

그리고 견실한 열매를 맺었다고 할 수 있을까? ....

 

 

 

 

회한과 기억 속의 엄마 박소녀는 무한 희생의 어머니 상이다. 가족들에게 자기를 모두 다 파 먹힌 후에 빈 껍질로 버려진 엄마. 그 엄마는 이제 기억마저 잃고 영원히 잃어졌다. 그리고 그렇게 잃어지기 전에 이미 실제로는 가족들의 삶 속에서 잊어져 있었다.

 

‘너’,‘그’, ‘당신’ 으로 불리는 딸, 아들, 남편은 엄마를 잃은 후에야 그것들을 기억해내고 자신들의 삶이 그 엄마에 의해 지탱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특히 ‘너’로 불리는 딸은 엄마에게도 엄마가 아닌 시절이 있었음을, 엄마도 자신과 똑 같은 소녀 시절과 처녀 시절 그리고 하고 싶은 꿈이 있었던 것을 아프게 깨닫는다. 너무도 당연한 사실을 너무나 놀랍게 ‘발견’ 하는 딸, ‘너’에 의해 이 소설은 엄마의 존재를 새롭게 위치지울 것을 역설하고 있다. 엄마는 가족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파먹히는 존재가 아니라 독립된 삶을 가진 생의 주체로서 재정립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소설을 읽는 나는 오히려 은밀히 역전된 욕망을 읽는다. 자신들을 위해 팔,다리, 심장까지 기꺼이 내어 놓는 무한 희생의 엄마에 대한 그리움. 소설 속에서 엄마의 희생은 너무나 아름답고 싱싱하게 그려진다. 자신에게 요구되는 희생이 가혹하면 할수록 엄마는 더욱 왕성한 생명력을 얻는다. 한 순간도 쉬지 않는 엄마의 손길은 모든 생명들을 살아나게 하고 무성하게 번식시킨다. 엄마의 손이 닿는 곡식은 씨를 뿌리기 무섭게 탐스런 열매를 맺고, 엄마가 거둬 먹인 개는 몇 배에 걸쳐 수 십 마리의 강아지를 낳는다. 엄마가 윤이 나도록 닦아 놓은 장독들은 달고 맛난 간장과 된장을 익혀준다.

 

 

그런 엄마의 상실은 모든 것을 폐허와 불모로 만든다. 마치 지금 우리의 황폐함이 그런 엄마의 부재, 모든 것을 희생하는 엄마의 부재에 기인한 듯이 말이다. 그것은 은연중에 그런 엄마에 대한 그리움을 추동한다. 엄마다운 엄마에 대한 그리움. 잃어버린 유토피아에 대한 그리움처럼 잃어버린 영원한 엄마에 대한 그리움. 그것은 마치 영화 <아바타>의 판도라 행성 같은 아름다움으로 그려진다.

엄마는 이제 엄마가 아닌 한 ‘사람’으로 복권되어야 한다고 ‘너’인 딸은 입으로 말하고 있지만, ‘너’ 딸의 눈은 아련하게, 이제는 잃어버린 ‘무한 희생의 엄마’를 쫒고 있는 듯한 기이한 느낌을 준다.

 

 

그래서 못되처먹게 말하자면 미국인들, 이미 우리 보다 훨씬 이전에 그런 엄마를 잃어버렸다고 알려진 미국인들 (혹은 애초에 없었는지도 모르지만)이 <엄마를 부탁해>에 열광하는 이유는 혹시 그런 희생적 엄마에 대한 갈망 때문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 정도이다.

그리고 손을 얹고 생각해 보면, 나 역시 마찬가지가 아닌지.... 나의 엄마는 그저 자식들에게 모든 것을 다 내어 주고 조용히 계셔주시길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엄마가 엄마의 욕망을 순수하게 드러낼 때 우리는 또 얼마나 기겁을 했었던지.... (이건 또 다른 긴 이야기가 될 듯도 하다. 신경숙이 엄마의 욕망을 중심으로 엄마의 재정립이란 이야기를 풀었으면 훨씬 더 깊은 울림을 주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어쩌면 <엄마를 부탁해>가 우리를 그토록 죄책감에 빠지게 하는 것은, 엄마의 희생을 당연하게 생각했던 과거에 대한 회한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여전히 엄마의 희생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싶은 우리의 은밀한 욕망 때문인 것은 아닌지, 나는 엄마의 희생을 그려내는 신경숙의 저 유려하고 빛나는 문장들을 보면서 삐딱한 생각 속으로 빠져들었다.

'엄마를 다시 불러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