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이아이피 (2disc)
박훈정 감독, 장동건 외 출연 / 에프엔씨애드컬쳐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1. 줄거리 。。。。。。。

     미국과 한국의 정보기관의 협력으로 기획 탈북을 한 북한 유력자의 아들 김광일(이종석). 그런데 이 자식에게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으니, 타고난 사이코패스에 잔혹함까지 갖춘 연쇄살인범이라는 것.

     잇따른 범행에도 범인이 잡히지 않자, 경찰은 진돗개처럼 한 번 물면 놓치지 않는 채이도(김명민)를 수사의 책임자로 투입했고 그는 금세 범인의 실마리를 잡아낸다. 이렇게 되니 급해진 국정원의 박재혁(장동건)과 미국측 요원은 김광일을 빼내기 위한 작전에 나서고, 여기에 북에서 김광일을 쫓아 온 리대범(박희순)까지 가세하면서 상황은 어지럽게 전개되기 시작한다.

 

 

 

 

 

2. 감상평 。。。。。。。

 

     얼마 전에 봤던 영화 마녀의 박훈정 감독의 전작이다. 그보다 앞선 대호는 보지 못했지만 신세계까지 이 감독이 만들었다니, 감독이 다시 보인다. 이 감독의 가장 큰 장점은 영화 속 캐릭터들의 성격을 잘 만들어 낸다는 점 같다. 이 영화에서도 굉장한 주연급 베테랑 배우들이 세 명이나 등장했는데, 각자에 맞는 옷을 입혀서 영화 내내 이들이 과도하게 얽히거나 충돌하지 않도록 배치하면서 동시에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데 적절하게 이들 캐릭터를 사용하는 기술을 보여준다.(특히 채이도와 이대범 캐릭터를 이용하는 방식에선 살짝 감탄을 하기도...)

 

     다만 이런 영리한 캐릭터 사용에 비해, 주연급 이외의 역할들은 그저 도구처럼 쓰이고 버려진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물론 많은 영화들에서 조연들이 그렇게 사용되곤 하지만, 워낙에 주연 캐릭터들을 다루는 솜씨가 뛰어났기에 좀 다른 식으로 전개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여기에 캐릭터 구축에 힘을 기울인지라, 역설적으로 영화가 가지고 있는 다른 이야기들, 예컨대 국정원과 CIA의 관계, 또는 남과 북의 요원들 사이의 긴장 같은, 좀 더 큰 배경을 재료로 한 구도가 충분히 표현되지 못하지 않았나 싶다. 문제는 이런 배경이나 구도가 크게 중요해 보이지 않아도, 캐릭터의 행동에 좀 더 몰입하게 만들어 주는 요소라는 것. 쉽게 말해 캐릭터들은 신나게 놀고 있는데, 그들이 그렇게 뛰어다니는 이유가 잘 와닿지 않는다는 말이다.

 

 

 

 

      영화 속 악역인 김광일은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처벌을 지속적으로 피해가는 인물이다. 그 이유는 그가 알고 있는 정보때문. 하지만 이 모든 일에 대해 그 자신은 아무런 죄책감이나 미안한 감정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그를 보는 사람들의 분통을 터뜨리게 만든다.(딱 한 사람, CIA 요원은 빼고)

     수많은 사람들을 잔혹하게 살해하고도, 그 자신은 아무런 벌을 받지 않는 상황. 그런데 이와 비슷한 상황은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일어난다. 권력이나 돈을 동원해 마땅히 받아야 하는 일들을 피해가는 이들만을 말하는 게 아니다. 자신이 저지른 일에 비해 훨씬 가벼운, 그저 갇혀 있기만 하다가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사회로 나오는 감상주의적 법집행에 관한 이야기다.

     많은 사람들이 인권을 운운하면서 사형제를 반대하고, 심지에 저지른 일에 걸맞은 처벌까지도 막으려 애쓴다. 하지만 그들이 말하는 인권은 순전히 그들 머릿속에서 개발된 논리일 뿐이다. 물론 적절한처벌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정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문제는 이런 애매함의 틈을 타서 감상주의적 주장이 남발되고 있다는 점.

     이런 면에서 벌은 고통스러워야 하며 진정한 회개는 벌에 상응하는 것이라야 한다는 손봉호 교수의 주장은 곱씹을 만하다. 그는 형벌이란 단지 행복을 줄이는방식이 아니라 고통을 늘리는방식이 되어야 한다고도 말한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범죄를 저지른 이들의 고통을 줄여주는 것이 인권보장이라는 착각이 사방에 넘쳐난다. 이미 고통을 받은 사람들의 고통은 어쩔 수 없으니, 아직 고통을 받지 않은 가해자의 고통이라도 줄이는 것이 옳다고 여기는 걸까? 갈수록 잔혹한 범죄가 늘어나고, 범죄자들의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것(그리고 아무런 반성도 보이지 않는 것)에는 이런 감상주의자들의 근본 없는 실험도 한 몫을 했다고 본다. 이런 사회에서는 갈수록 김광일 같은 이들은 늘어나기만 할 것이다.

 

 

     스타일리시한 감독의 터치는 기억에 남을 듯하다. 다만 과도해 보이는 폭력 또한 기억에 남을 것 같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