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바나나 키친
요시모토 바나나를 처음 알게 된 게 언제일까. 대학생? 아님 사회인이 되고 나서? 아마 대학생 때가 아닐까 싶은데, 일본 작가로는 세 번째로 접한 동시에 좋아하게 된 사람이니 내 총애(?)를 받고 있는 여러 일본 작가들 중에서도 꽤 초기 멤버라 할 수 있다.
생각해보면 내 일본 작가에 대한 취향도 꽤나 뚜렷하게 나뉘는 편이다. 현대 작가들은 하루키, 에쿠니 가오리, 요시모토 바나나, 요시다 슈이치, 오쿠다 히데오, 온다 리쿠 등처럼 가벼우면서도 개성 있는 문체를 구사하고 있고, 저 멀리 근대로 가면 다자이 오사무처럼 어둡고 무거우며 가슴이 답답해지는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편이다. 나쓰메 소세키는 옛 작가이면서도 현대 작가들처럼 밝은 분위기의 소설을 쓴 편이지만.
그중에서도 요시모토 바나나는 특히 밝고 가벼우며 톡톡 튀는 문체를 구사하는 작가다. 그런 탓에 처음 그의 소설을 읽었을 때는 ‘뭐야, 남는 게 하나도 없잖아’라고 생각했지만 그게 은근히 중독성이 있어서 가벼운 마음으로 글을 읽고 싶을 때나 기분이 밝아지고 싶을 때면 자연히 손이 그쪽으로 가게 된다.
물론 그의 작품 중 처음 읽었던 것은 <키친>이었다. 읽은 지가 하도 오래돼 내용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그게 첫 작품이었던 탓인지, ‘키친’이라는 단어는 ‘요시모토 바나나’와 항상 연상작용을 일으키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니 이번에 <바나나 키친>이라는 책이 나온 것을 알고는 내용도 모르는 주제에 괜히 반가워하며 ‘이 책은 꼭 사야 한다’는 생각을 하는 것도 결코 무리는 아닐 것이다. 자신의 아이가 두 살에서 여섯 살이 되는 동안에 쓴 자신의 ‘키친’을 이야기했다고 하는데, 그녀만의 발랄한 문체로 자신의 이야기는 또 어떻게 풀어낼지 무척 기대가 된다. 아마 몽글몽글 음식 냄새가 피어올라 한껏 따스하면서도 차분하고 조용한 분위기의 부엌과 같은, 그런 맛이 아닐까.
동물학자 시턴의 아주 오래된 북극
나는 동물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하지만 그들을 위해 하는 건 거의 없는 한 사람이다. 동물이 주인공인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보면 눈물을 질질 흘리며 가슴을 부여잡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감상과 마음 때문에 그들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기도 하는 모순된 인간 중 하나라는 이야기다. 그래서 <남극의 눈물>이니 <북극의 눈물>이니 하는 것들도 다운만 받아놓은 채 아직 ‘감히’ 손을 대지 못하고 있는데, 책으로라면 좀 더 괜찮지 않을까 싶어 선뜩 이 책 <동물학자 시턴의 아주 오래된 북극>을 보관함에 담아 넣었다.
이 책은 아주 오래된, 100년 전의 북극을 이야기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아직 문명에 침범당하기 전, 자연 그대로의 자연을 간직한, 아름답고 평화롭던, 아무 걱정 없던 시절의 북극을 이야기한다는 것이다. 나는 종종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건 인간, 가장 나쁜 것도 인간”이라고 하는데, 이 책을 읽음으로써 나 아닌 다른 사람들도 인간의 난폭함과 잔인함, 그리고 이기성을 반성하는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 고 생각해봤다. 작가가 직접 그린 스케치도 함께 실린다고 하니 책을 즐기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좀 더 편한 마음으로 권해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연애낭독 살롱
‘이런 가십거리 가득한 책 따위를 왜 읽냐’고 빈정거릴지도 모르겠다. 누군가는 이런 책을 선택한 데 대해 나를 수준 낮다고 비난할지도 모르겠지. 하지만 그러는 당신은 순수문학을 즐기는 대단히 고상한 취미를 지닌 사람인가? 사람이 어떻게 밥만 먹고 사나. 때로는 이런 흥미 위주의 글들도 좀 읽어줘야지.
그렇다고 내가 평소에 이런 책을 막 찾아 읽는 편은 아니지만 한 번씩 읽으면 재미있는 건 어쩔 수가 없다. 남의 이야기를 하고 듣는 것만큼 재미있는 것도 없는 게 사실 아닌가.
사실 따지고 보면, 문학이나 예술 작품을 접하고 비평할 때 작가의 배경을 알아야 먼저 알아야 한다는 건 비평론 시간에도 배우는 내용이다. 그런 의미에서 생각한다면 예술가들의 연애사도 그들 삶의 한 부분이 아닌가.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연애사는 실제 그들의 작품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피카소도 그러했고, 스콧 피츠 제럴드도 그러했고.
각설하자면, 나는 이 책을 읽고 싶다는 얘기다.
도대체, 사랑
어쩌다 보니 또 사랑과 관련된 책을 고르게 됐는데, 이건 나름 ‘심리학’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다. 예전에 내가 남자친구랑 헤어졌을 때, 어느 금요일 밤에, 술을 엄청 퍼먹고 침대에서 사경을 헤매고 있던 토요일 아침이었다. 택배 아저씨가 문을 두드리길래 나가보니 난 주문하지도 않은 인터넷 서점 박스 하나를 건네주는 거다. 그것도 알라딘이 아닌 다른 인터넷 서점의 박스를.
배달이 잘못된 것 아닌가 생각하며 박스를 뜯는 순간 내 눈에 들어온 건 <사랑이라는 이름의 중독> 따위의 ‘사랑’ 관련 심리학 책들 서너 권이었다. 그제서야 누가 보냈는지 단번에 짐작한 나. 친한 언니가 이 책 읽고 빨리 정신 차리라는 의미에서 보낸 것들이었다.
그런데 그게 의외로 꽤 도움이 됐다. 내 마음을 다잡는 계기도 됐고, 사랑이라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도 됐고. 나는 평소 심리학 책을 좀 더 심도 깊게 접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데(아직까지는 거의 가지고만…) 선뜻 심리학에 다가서기가 두렵다면 사랑을 주제로 한 것들부터 시작하는 것도 흥미를 돋우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사랑, 그건 아마도 대부분 사람들의 관심거리일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