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은 무슨 의도로 이런 상이한 율법을 만들었을까?
에로스, 아가페, 자기 분열의 두 가지 대의명분을?
- P2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머니는 벽난로 앞에 앉아 있었다.
지난번에 헤어졌을 때와 똑같이 무릎에 책을 펴놓은 채 
미소를 지으면서. 
아들이 외국에나가거나 귀국하더라도 야단법석을 떨지 않고담담히 대하는 것은 어머니의 습관이었다. 
그는 편안한 이 방에서 그저 며칠 잠깐 떨어져 있다가 
나타난 양 행동했다. 어머니가 큰 벽난로 앞에서 책을 
읽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뜨개질을 하면서 평생을 보내기에 좋은 방이었다. 
지금도 어머니는 예전과 똑같이 미소를 짓고 있을 뿐이었다.

^빈 공간과 이별의 시간을 단단히 채우고 아들이 떠나 있는 
동안 밀려왔던 고독함을 메워주는 그런 미소였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은 없다 - 쇼펜하우어, 인생론 에세이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이동진 옮김 / 해누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고전철학과 현대철학의 사이에
쇼펜하우어는 깊숙히 깃들어 있다!

실랄한 비판과 정신은 수 많은 현대 철학자의
깊은 내면의 성찰과 사유와 결론을 지어준듯 하다.

당시의 정치적(나폴레옹 영웅의 허상과 이를 추종하고 맹신하는 귀족여성비판)이고 그 시대의 주목 받는 헤겔의 합리주의를 찾는 철학에 날카롭게 비판하는 사상은
주목 받지 못하였지만. 쇼펜하우어가 없었다면 이후의
주옥같은 많은 철학자들과 그의 고전들을 만날 볼수 없었을것이다.

톨스토이ㅡ˝쇼펜하우어가 그토록 세상 사람들에게 덜 알려졌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그 이유란 아마도, 쇼펜하우어가 토로했듯이 세계에는 하찮은 인간들로 가득하기 때문이겠지요.˝ 위키백과 참조

톨스토스ᆞ니체의 신은 죽었다와 카프카의 부조리한 삶.
알베르 카뮈ᆞ헤르만헤세의 동양철학 불교ᆞ앙드레지드 등등등 많은 영향을 준 철학자는 쇼팬하우어였다.

우리들이 알고 있고 읽었던 읽고 싶은 고전속에
삶에 깃들어 있었다는 것을 이책을 보고서야 깨달았다.

쇼펜하우어 ˝사랑은 없다˝ 는 니힐리즘의 비판 속 신(신과 같은)에게 모든것을 위탁하여 사는 인간의 맹목적인 어리석음과 허무함을 자세히 알려주고 있다.
권력. 욕망. 돈. 이기주의 등 심각한 노예들에게
모든것이 죽음앞에서 허망한 환상이라고

인간이기에 모두 다 내려놓을수는 없을것이다
성인으로 거듭나지 않고는 온전하게 살수는 없지만
수많은 고전과 철학자들이 진리를 애기하듯이
자연주의. 허무주의로
쇼펜하우어가 대답해준다.
자연스럽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평온하고 건강한 삶 속에 있으라고.

˝사랑은 없다˝는 낭만적이지 않다. 낭만으로 포장된 삶은
없는것이다. 사라져버리는 허상이다. 그순간의 행복 또한 후회되는 순간 허망으로 남는다

비합리적이고 융통성이라고 일도 없는 인간이 아니라
사랑이라는 허울로 일어나는 현상 속 불합리한
아이러니와 페러독스, 키치
가스라이팅 같은 이상 속임수에 갇혀있는 답답한 인간에게 부여하는 탈출의 길이 무엇인가를 알아야 한다고 즉시해준다

니체가 신을 죽였기에 인간으로써의 본질적인 삶을
말하였듯이 쇼펜하우어가 사랑은 없다로
물질적ㆍ정신적 ˝사랑˝의 노예로 길들여져 사는 것이 아닌 자아의식으로 자연으로 돌아가는 삶으로 사는 지혜가 담겨있다.


<고독한 사람만이 행복을 누릴수 있는 권리가 있다>중에서

˝내면적 자아가 공허한 사람일수록 외부에서 끝없는 자극을 구한다. 그는 외부에서 만족을 얻지 못하면 스스로 파멸한다...........
그러나 사람들과 만나기를 피하고 고독을 즐긴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니다. 그래서 뛰어난 인물들에게 찾아오는 운명 이라고 말하고 있다. 205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심오한 철학적 관점에서보면 인생 자체는 아무 가치가 없으므로 생존 그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가장 큰 지혜이자 깨달음일 수 있다.

철학자 플라톤도 ‘우리들의 삶에서 열광할 만한 것은 없다‘ 고말했지만, 12세기 페르시아의 시인 안바리 조헤리의 시는 
이 점을 더욱 잘 표현하고 있다.

그대는 세상을 잃는다 해도 한탄하지 말라.
이 세상은 허무의 허무이므로,
그대 만일 세상을 손아귀에 넣어도 기뻐하지 말지어다.
이 세상은 허무의 허무이므로,
괴로움도 기쁨도 한낱 이슬처럼 잠시뿐이니
이 세상에서 얻음과 잃음과 선악도 허무의 허무요
없음의 없음이거니.
- P19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독한 사람만이 행복을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아무리 사랑하는 연인이나 친구나 부모 형제라도 자기자신과 마음의 일치를 이룰 수는 없다. 이웃과는 개성과 기질이달라서 완전한 일치는 더욱 불가능하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것은 건강이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마음의 평화와 정신의 안정이다. 그런 중요한 것을 다른 사람과의 일치를 통해서 얻기는 어렵다. 그것은 오직 고독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보물이다. 우리는 고독해지려면 혼자 있는 시간이 아주 많아야 하고 자기 자신과의 만남과 대화를 즐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젊은 시절부터 고독을 사랑하고 고독을 감당해낼 수 있는 방법을 계속 단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고독에 단련된 사람만이 행복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키케로는 자기 자신 속에 모든 것을 간직할 수 있는 사람만이행복을 누릴 수 있다‘ 고 말했다. 사실 자기 자신속에 많은 것을가진 사람은 남에게 기대지 않는다. 자신속에 가진 것이 없는 사람이 남의 것에 기웃거리고 기대는 것이다.
내면적 자아가 공허한 사람일수록 외부에서 끝없는 자극을 구한다 그는 외부에서 만족을 얻지 못하면 스스로 파멸한다 - P2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