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칙하고 통쾌한 교사 비판서
로테 퀸 지음, 조경수 옮김 / 황금부엉이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참 우여곡절이 많은 책입니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말라는 전통적인 불문율이 버젓이 살아 있는 한국 사회에서 이런 책을 낸다는 것은 대단한 모험일 수 밖에 없습니다. 독일에서조차 출간 후 판매 중지를 당할 뻔 했다고 하는데, 하물며 한국에서야 오죽하겠습니까. 실제로 출간을 준비하면서 적잖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습니다.

(중략) 이 책의 출간을 과감하게 밀어 붙인 것은 원고를 읽고 성원해준 제 주위의 학부모들 때문입니다. ‘그래 맞아!’ 하며 그간 꾹 억눌러 왔던 설움과 억울함과 분노와 안타까움을 표출하는 그분들을 보면서, 교사들과 학교 제도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만이 상상 이상으로 크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구구절절 이 책의 힘겨운 출간에 대해 늘어 놓는 이 편집자의 글은 ‘도대체 어떤 책이길래?’ 하는 궁금증을 준다. 그 동안 학부모들이 얼마나 학교 제도에 대해 불신하고 불만을 가졌길래 <발칙하고 통쾌한 교사 비판서>가 그토록 화제가 되는 걸까? 현재 교직에 있으면서 한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인 입장에서 이 책에 대한 느낌은 ‘적극 공감’이라고 말하고 싶다.

독일에서 네 아이를 키우고 있는 엄마인 저자는 이 책을 쓰고 자기 아이에게 피해가 올까 두려워 철저히 자신의 이름과 얼굴을 숨겼다고 한다. 그만큼 이 책은 아주 비판적으로 교사와 교육에 대해 토로한다. 어떤 부분은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교사에 대한 비난을 퍼붓고 있어서 그녀가 자신의 이름을 숨길 만 하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가 말하는 나쁜 교사의 몇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의 탓만 하며 자기 비판을 할 줄 모른다. 교사들은 자신의 삶을 힘들게 만드는 것은 단지 이기주의적인 학부모들과 버릇없는 아이들, 바보 같은 행정 명령을 남발하며 온갖 잡무만 안겨주는 교육당국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저자가 보기엔 이 모든 것들보다 교사 자신의 자질이 더 문제일 경우가 많다.

둘째, 무엇 하나 제대로 가르치는 게 없다. 조별 학습 등의 실험 교육을 하다 보니 지식 교육이 부족하여 아이들은 사설 학원이나 부모에게 지적 교육을 다시 받을 수 밖에 없다. 부모들은 학교에서 배우지 못한 맞춤법이나 과학 원리 등을 가르치기 위해 퇴근 후 힘든 일과를 아이들과 씨름하며 보내게 된다.
셋째, 어떤 교사들은 마음 내키는 대로 막말을 한다. 교사들은 아무렇지도 않게 아이들에게 허튼 소리, 얕보는 제스처, 무시하는 시선 등으로 상처를 준다. 언어 폭력 등을 서슴지 않고 내뱉는 교사들이 부지기 수다. 아이들은 이런 난장판 속에서 견뎌내야만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다.

넷째, 학교는 학부모들을 교육 파트너가 아닌 막 일꾼으로 부려 먹는다.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가 담임 선생님과 잘 지내도록 하려고 담임에게 환대를 베푼다. 촌지를 직접 건네지는 않지만 담임에게 잘 보이기 위해 학급비를 내며 교사가 해야 할 학교의 잡일을 하는 부모들이 많다.

이런 비판을 보고 있노라니 교사인 내 입장에서 뜨끔한 점도 많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아이들에게 좋지 못한 언어나 태도를 보인 적도 있으며 내 반성보다는 교육 당국에 대한 비판을 더 많이 한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이 엄마의 마음이 이해가 된다.

그것은 나 또한 내 아이를 학교라는 곳에 보내야 하기 때문이다. 몇 년 후의 일이지만 벌써부터 고민이 되는 것은 바로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를 잘 보낼 수 있을까 하는 문제다. 요새 엄마들의 얘기를 들어 보면 우리가 자랄 때와는 달리 초등학생을 둔 부모가 해야 할 일들이 무척 많다.

초등학생 부모들은 과제물도 아이와 함께 해야 하고 학교 급식 도우미도 해야 한다고 한다. 학부모회 등에도 참석해야만 학교의 동향도 파악할 수 있고 여러 모로 도움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 시간을 아이 학교 스케줄에 맞춰 많이 조정해야 하는데 직장 다니는 엄마로서는 이게 쉬운 일이 아니다.

중학교나 고등학교에 들어가면 좀 나을까 해도 그렇지가 않다. 학년이 올라가면 또 다른 여러 문제들이 부모를 괴롭힌다. 우리 현실에서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입시 제도’일 것이다. 이 책에서는 김나지움이라고 하여 독일식 중등 교육을 언급하는데 우리와 별반 다를 게 없다.

“내 아이가 학교에 가서 잘 적응할 수 있을까? 담임 선생님을 잘 만나야 할 텐데…” 하는 것은 모든 아이들의 부모가 갖는 공통적인 생각이다. 내 경우에는 지금껏 살면서 12년의 공교육 시스템에 머무르는 동안 정말 생각하기도 싫은 교사를 만난 적도 꽤 있다. 서른이 넘은 지금껏 안 좋은 기억을 갖고 있을 정도이니 책에서 비판하는 교사의 모습이 정말 공감이 된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처럼 우리 나라의 교사들도 학교라는 철옹성 속에서 안주한다. 나를 포함한 교사들은 공무원이라는 ‘철통 밥그릇’을 획득한 덕분에 여러 생계의 고민에서 벗어난 채 세상을 살아간다. 그러나 그 특권만큼 많은 노력을 아이들에게 쏟고 있는지는 반성해 볼 문제다.

이 책이 주고자 하는 메시지도 바로 그거다. 어찌 보면 지나치다 싶을 정도의 교사 비판을 통해 교사들 스스로 각성하고 ‘학생들’이라는 인격체들을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사이면서 학부모인 나는 이 모든 비판들이 공감이 되면서 한편으론 내 자신이 부끄럽기도 했다. 그래서 저자의 쓴 소리를 내내 마음 깊이 새기고 싶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