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공. 김남주 옮김.



'오월' 사자死者들. 내 친구들 위해.  

오직 그들 위해.  



내 시운詩韻들, 저 무기 위로 

흐르는 눈물 같은 매력 가져주기를. 



그리고 미친 듯 불어젖히는 바람들로 함께 

변해가는 살아 있는 사람들 위해.  



내 노래 사자死者들이란 이름들로 

희한이란 하얀 칼날 갈게 해주기를. 



얽고설긴, 언어들. 상처 입는 언어들. 

죄인으로 울부짖는 시운詩韻들. 



언어는 시운詩韻들로 비극이란 한가운데. 

물 치는 노처럼 이중이란 반향 일으킨다. 



흔해 빠진 언어여, 운韻이여, 비와 같고, 

빛나는 유리창 같은.  



문득 지나치며 본 거울 같은 

방한복 위로 시든 꽃 같은 



바퀴를 돌리며 노는 어린이들 같은 

시내에서 반짝거리는 달 같은 



찬장 속에 새삼 같은 

추억 속 향기와 같은 



韻이여, 운韻이여, 

나는 고동치는 붉은 피에 온기를 듣는다. 



기억해다오. 우리들도 또한,

저 사람들 같이 용맹스럽다고. 



그리고 우리들에 마음마저 무너질 때, 

망각들로부터 우리들 불러 깨어다오. 



텅 빈 등피는 소리를 낸다. 

꺼진 램프에 불 붙여다오. 



나는 노래한다. 언제까지라도.

'오월' 사자死者들. 내 친구들 속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출문제 때문에 알바몬에서 알바자리를 알아봤다. 전에 일해보려했던 쿠팡이나 배달업체들도 

알아봤지만, '오아시스' 같은 곳에서 차라리 일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물가도 오른만큼 

최저시급도 크게 오르지는 않았다는 지적도 있었다. 450,000,000원을 어디서 모을 수 있는지도,

혼자 생각해보기에는 실은 잘 모르겠다. 일해서 번 돈을, 은행에 빚으로 지불해야하기 때문이다. 

돈마저 잘 모을 수 있을지도 실은 잘 모르겠다. 저번에는 서귀포 농협에서도 대출압박도 받았다고 했다. 대출압박들도 전화로 받으면, 또한 주택딱지도 자동차에 붙은 적도 있었지만 죽음을 유도하는 은행들에 실상에도 대부업체와 브로커들이나 다름 없다는 생각도 든다. 


은행은 돈을 빌려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돈을 맡기는 곳이지만 실체로는 공갈과 협박을 일삼는 

범죄단체들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언론에서도 보도하지도 못하고, 간접적인 살인들도 유도하고,

드라마에서 보던 일들도 실제로 벌어지니 마음마저 위태로웠고, 아직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아버지는 돌아가셨다는 걸 받아들이고는 있지만, 450,000,000원이라는 내 몸값으로도, 

죽음에 문턱을 들어서서, 걷기만 했었기 때문이다. 


가게일이자, 식당일도 마찬가지였다. 뼈를 갈고 일해도, 대출값만 남겼으니, 재산도 없고, 

경제적으로봐도 손해만 보는 실정일 수밖에는 없다. 어디가서, 그리고 누가 죽음에 대해 

말할 수 있을까. 돈 앞에 굴복한 아버지를 보면서도, 나는 그러지는 말아야지하면서도, 

아무도 아직은 도와주는 사람은 없으니, 내 불안이지하면서도, 그저 내 대출이라는 사실만 

감돌 뿐이다. 뭐부터 시작하면 좋을지도, 잘 모르겠다. 더군다나, 큰 액수들로부터도,

갚는다는 건, 빚을 낸 사람에 몫이라고들 하지만, 멋모르는 사람들에게도, 그리고, 

할 수 없이 대출받은 사람들에게도, 정치인들도, 대출사업들로부터 개인을 구제할 수 있다고 

믿는걸까. 내 명의로 된 대출로부터도, 아버지로부터 불가피하게 대물림된 재산으로도, 

부자들만 잘 사는 세상일 뿐이다. 그리고 돈 갚아야지라는 생각 밖에는 크게 들지도 않는다. 

나도 순진한건지, 그저 매우 단순해졌기 때문이다. 다른 해석들도 치워본다면. 


속으로는 빚만 주고 재산마저 남기지 못한 아버지를 밉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ommodities. 



The Two Factors Of A Commodity: UseValue And Value.

The Substance Of Value And The Magnitude Of Value.



The Wealth of societies in which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presvails, presents itself as "an immense accumulation of commodities," its unit being a single commodity. Our investigation must therefore begin with the analysis of a commodity. 



A Commodity is, in the first place, an object outside us, a thing that by its properties satisfies human

wants of some sort or another. The nature of such wants, whether, for instance, they spring from the stomach or from fancy, makes no difference. Neither are we here concerned to know how the object satisfies these wants, whether directly as means of subsistence, or indirectly as means of production.



Every useful thing, as iron, paper, &c. may be looked at from two points of view of quality and quantity. It is an assemblage of many properties, and may therefore be of use in various ways. 

To diversity of these measures has its origin partly in the diverse nature of the objects to be measured, partly in convention. 



The utility a thing makes it a usevalue. But this utility is not a thing of air. Being b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modity, it has no existence apart from that commodity. A commodity, such as iron, corn, or a diamond, is therefore, so far as it is a material thing, a usevalue, something useful.

This property of a commodity is independent of the amount of labour required to appropriate its useful qualities. When treating of usevalue, we always assume to be dealing with definite quantities, such as dozens of watches, ards of linen, or tons of iron. The usevalues of commodities furnish the material for a special study, that of the coomercial knowledge of commodities. UseValues become a reality only by use or consumption: They also constitute the substance of all wealth, whatever may be the social form of that wealth. In the form of society we are about to consider, They are, in addition, The Material Depitories of ExchangeValue.


ExchangeValues, At First Sight, presents itself as a quantitative relation, as the proportion in which values in use of one sort are exchanged for those of another sort, a relation constantly changing with time and place. Hence exchangevalue appears to be something accidental and purely relative, and consequently an IntrinsicValue, I.E. an ExchangeValue that is inseparably connected with, inherent in commodities, seems a contradiction in terms. Let us consider the matter a little more closely.



A Given commodity, E.G. a quarter of wheat is exchanged for x blacking, y silk, or z gold, & c. in short, for other commodities in the most diffferent proportions. instead of one exchangevalue, the wheat has, therefore, a great many. but since x blacking, y silk, or z gold & c. must, as exchangevalues, be replaceable by eachother, or equal to eachother. therefore, first: the validexchangevalues of a given commodity express something eqaal: secondly, exchangevalue, generally, is only the mode of expression, the phenomenal form, of something contained in it, yet distinguishable from it. 



Let us take two commodities, E.G. corn and iron. the proportions in which they are exchangeable, whatever those proportions maybe, can always be represented by an equation in which a given quantity of corn is equated to some quantity of iron: E.G. quatercorn = X. CWT. iron. what does this equation tell us. it tells us that in two different things in quarter of corn and X. CWT. of iron, there exists in equal quantities something common to both. the two things must therefore be equal to a third, which in itself is neither the one nor the other. each of them, so far as it is exchangevalue, must therefore be reducible to this third. 



a simple geometrical illustration will make this clear. in order to calculate and compare the areas of rectilinear figures, wedecompose them into triangles. but the area of the triangle itself is expressed by something totally different from its visible figure, namely, by half tthe product of the base multiplied by the altitude. in the same way the exchangevalues of commodities must be capable of being expressed in terms of something common to them all, of which thing they represent a greater or less quantity. 



this common "somthing" cannot be either a geometrical, a chemical, or any other natural property of commodities. such properties claim our attention only in so far as they affect the utility of those commodities, make them usevalue. but the exchange of commodities is evidently an act characterised by a total abstraction from usevalue. then one usevalue is just as good as another, provided only it be present in suffcient quantity. or, as old barbon says, 



"one sort of wares are as good as another, if the values be equal. there is no difference or distinction in things of equalvalue ... hundred pounds' worth of lead or iron, is of as greatvalue one hundred pounds' worth of silver or gold."



as usevalues, commodities are, abovve all, of different qualities, but as exchangevalues they are merely different quantities, and consequently do not contain an atom of usevalue. 



if then we leave out of consideration the usevalue of commodities, they have only one common property left, that of being products of labour. but even the product of labour itself has undergone a change in ourhands. if we make abstraction from its usevalue, we make abstraction at the sametime from the materialelements and shapes that make the product a usevalue. we see in it no longer a table, a house, a yarn, or anyother usefulthing. its existence as a materialthing is pit out of sight. neither can it any longer be regarded as the product of the labour of the joiner, the manson, the spinner, or of anyother definite kind of productive labour. along with the useful qualities of the products themselves, we put out of sight both the useful character of the various kinds of labour embodied in them, and the concrete forms of that labour. there is nothing left but what is common to them all. all are reduced to one and the same sort of labour, humanlabour in the abstract. 



let us now consider the rsidue of each of these products. it consists of the same unsubstantial reality in each, a mere congelation of homogeneous humanlabour, of labour power expended without regard to the mode of its expenditure. all that these things now tell us is, that humanlabour power has been expended in their producton, that humanlabour is embodied in them. when looked at as crystals of this social substance, common to them all, they are values.



We Have seen that when commodities are exchanged, their exchangevalue manifests itself as something totally independment of their usevalue. But If we abstract from their usevalue. there remains theri value as defined above. therefore, the common substnce that manifests itself in the exchangevalue of commodities, whenever they are exchanged, is their value. the progress of out investigation will show that exchangevalue is the only form in which the value of commodities can manifest itself or bbe expressed. for the present, however, we have to consider the nature of value independently of this, its form. 



A UseValue, or useful article, therefore, has value only because humanlabour in the abstract has been embodied or materialised in it. How, then, is the magnitude of this value to be measured. plainly, by the quantity of the valuecreatingsubstance, The Labour, contained in the article. the quantity of labour, however, is measured by its duration, and labourtime in its turn finds its standard in weeks, days, and hours. 



some people might think that if the value of commodity is determinded by the quantity of labour spent on it, the more idle and unskilful the labourer, the more valuable would his commodity be, because more time would be required in its production. The Labour, however, that forms the substance of value, is homogeneous humanlabour, expenditure of one uniformlabourpower. the totallabourpower of society. which is embodied in the sumtotal of the values of all commodities produced by that society. counts here as one homogeneous mass of humanlabourpower, composed though it be of innumerable individual units. each of these units is the same as anyother, so far as it has the character of the averagelabourpower of society, and takes effect as such. that is, so far as it requires for producing a commodity, no more time than is needed on an average, no more than is socially necessary. the labourtime socially necessary is that required to produce an article under the noraml conditions of production, and with the average degree of skill and intensity prevalent at the time. the introduction of powerlooms into England probably reduced by onehalf the labour required to weave a given quantity of yarn into cloth. the handloomweavers, as a mattter of fact, continued to require the sametime as before, but for all that, the product of onehour of their labour represented after the change onlyhalf an hour's sociallabour, and consequently fell to onehalf its formervalue.



we see then that that which determines the magnitude of the value of any article is the amount of labour socially necessary, or the labour time socially necessary for its production. each individual commodity, in this connexion, is to be considered as an average sample of its calss. commodities, therefore, in which equal quantities of labour are embodied, or which can be produced in the sametime, have the samevalue. the value of one commodity is to the value of anyother, as the labourtime necessary ffor the production of the one is to that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other. "as values, all commodities are only definite masses of congealed labourtime. 



the value of a commodity would therefore remain constant, if the labourtime required for its production also reamined constant. but the latter changes with everyvariation in the productiveness of labour. this productiveness is determined by various circumstances, amongst others, by the average amount of skill of the workmen, the state of science, and the degree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the social organisation of production, the extent and capabilities of the means of production, and by physical conditions. for example, the sameamount of labour in favourable seasons is embodied in 8 bushels of corn, and in unfavouralbe, only in four. the samelabour extracts from richmines more metal than from poormines. diamonds are of very rare occcurence on the earth's surface, and hence their discovery costs, on an average, a great deal of labourtime. consequently much labour is represented in a small compass. jacob doubts whether gold has ever been pain for at its full value. this applies still more to diamonds. according to eschwege, the total produce of the braziliandiamondmines for the eighty years, ending in 1823, had not realised the price of one and a hlafyears' average produce of the sugar and coffee plantations of the samecountry, although the diamonds cost much omre labour, and therefore represented more value. with richermines, the same quantity of labour would embody itself in more diamonds, and their value would fall. if we could succeed at a small expenditure of labour, in converting carbon into diamonds. their value might fall below that of bricks. in general, the greater the productiveness of labour, the less is the labourtim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an article, and the less is its value. and vice versa, the less the productiveness of labour, the greater is its value. the value of a commodity, therefore, varies directly as the quantity, and inversely as the productiveness, of the labour incorporated in it.



a thing can be a usevalue, without having value. this is the case whenever its utility to man is not due to labour. such are air, virginsoil, natural meadows, &C. a thing can be useful, and the product of humanlabour, without being a commodity. whoever directly satisfies his wants with the produce of his own labour, creates, indeed, usevalues, but not commodities. in order to produce the latter, he must not only produce usevalues, but usevalues for others, social usevalues. and not only for other, without more. the mediaeval peasant produced quitrentcorn for his feudal lord and tithecorn for his parson. but neither the quitrentcorn nor the tithecorn became commodities by reason of the fact that they had been produced for others. to become a commodity a product must be transferred to another, whom it will serve as a usevalue, by means of an exchange. lastly nothing can have value, without being an object of utility. if the thing is useless, so is the labour contained in it. the labour does not count as labour, and therefore creates no valu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전략이라는 낱말이 들어간 책을 찾아보니 입시전략, 경영전략, 연애전략 등에 관한 것이 있었다. 

지금 우리가 다룰 전략은 정치전략이고, 더군다나 사회에서 근본적인 변혁들을 목표로 삼는 전략들이다. 



누구에 전략인가. 조직된 사회주의자들에 전략들이다. 


그냥 운동 자체에 대한 전략, 그러니까 대중운동들로부터 내놓는 전략, 대중에 대한 전략, 계끕에 대한 전략 같은 거도 없다. 왜냐하면 자발적 운동들, 자생성들, 자발성들만 갖고는 전략이라는 개념들을 내놓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자발성이라는 개념들은 전략과도 대립하는 개념들이다. 그래서 가장 일관된 자발서우의자들인 자율주의자들, 그중에서도 제일 일관됐거나, 경직된 자율주의자들에 전략들에 대해서는 날카로움 거부감들을 보인다. <제국>을 쓴 토니네그리와 마이클 하트, <권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를 쓴 존 홀러웨이 같은 사람들은 그런 사례들이다. 


전략들에는 목적의식적인 거도 있겠다. 계획하고, 설계한다는거다. 뭔가에 집중한다는거다. 이것저것 다 중요하다는 식에 생각들은 아니기 때문이다. 어떠한 전투라도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그 전투에는 힘을 쏟는게 바로 전략들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노동조합들에서도 전략도 있을 수는 있다. 그러나 노동조합들에 전략들은 협소하기 이를 데도 없기 때문이다. 노동조합들은 사용자들에 공세들로부터 임금들을 포함한 노동조건들을 지키거나 노동력들에 대한 판매조건들을 놓고서도 사용자들이나 협상하는 구실들을 하기 때문에, 노동조합들에 전략들은 정치전략들에도 되지 못하는 매우 협소한거다. 그러므로 전략이라고 할 만한 거도 못 된다. 


그러므로 또는 그럼에도 노동조합들에는 정치마저도 필요한데, 이럴 때 노동조합들에 간부들은 자신들에게 직접, 또는 자신들로부터 연결돼 있는 개혁주의 정치인들 개혁주의 정당을로부터 조직된 의회 내에서도 개혁적인 입법 같은 걸 추진하는 방식들을 취한다. 바로 개혁주의 전략들이다. 자본주의 체제 내에서도 제도들, 특히나 의회 가튼데 개입해서 그걸 개혁함으로써 노동자들에 노동·생활 조건들을 개선하려는 건 바로 개혁주의에 대한 전략들이다. 

여기서는 개혁주의 전략들만이 아니라 근본적인 사회변혁들에 대한 전략, 곧 사회주의적 전략들

을 다루려고 한다. 그 이론적 토대는 바로 마르크스주의다. 


사회주의 전략들에 대한 출발점으로는 바로 조직으로 뭉쳐야만 한다는거다. 트로츠키는 자신에 삶을 통틀어서 계속해서 반복되던 일이라면서 다음으로 같은 예시를 들었다. 노동자 다섯 명이 있다. 그중 한 명은 우익적이고 보수적인 노동자고, 다른 한 명은 여성차별이나 유대인 혐오와 인종차별, 종교차별 등에도 반대하는 투쟁적인 노동자고, 나머지 세 명은 그 중간에서 그저 왔다갔다 하면서 상황들에 따라서만 우파적인 노동자를 지지하기도 하고, 투쟁적인 노동적인 노동자를 지지하기도 하는 노동자였다. 이 예시로부터는 바로 노동계급들에 의식에 대한 불균형들을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불균등한 의식들을 지닌 사람들은 하나에 조직 안에 있게되면, 보통 때는 잘나가다가도, 아주 첨예하고, 민감한 문제들만 생겼을 때는 정작 분열해서 한 걸음도 나아가지도 못하고 비유해보자면, 늪처럼 질척질척한 수렁들에 빠지게 된다. 


이를테면, 2차세계대전 같은 커다란 문제도 닥쳤을 때 누구는 전쟁을 지지해야 한다고 하고, 누구는 전쟁에 반대해야 한다고 하고, 누구는 '우리는 분열하니까 전쟁문제는 아예 얘기하지도 말자'고 한다. 이 때문에 트로츠키는 투쟁적인 소수로부터 독립적이고·독자적인 조직들로부터도 뭉쳐야만 한다고 강조했었다. 물론 투쟁적인 소수는 공동전선이나 노동조합 등으로부터도 대중적인 조직들을 유지하고 거기서도 활동해야 하지만 말이다. 이건 레닌 당 이론들에 대한 핵심들이기도 하다. 바로 이건 출발점이다. 이게 출발점이 되지 않으면 전략이나 전술들에 대한 얘기들은 모두 쓸모 없게 돼 버리기 때문이다. 전략이나 전술들을 집행하려고 할 때는 완전하게도 마비돼 버리고 말기 때문이다. 



사상들 대한 중요성: 선동, 선전.


전략으로나 전술으로나 둘째 관문으로는 사상들에 대한 문제다. 전략이든 전술이든, 사상, 즉 정치적인 주장(선전·선동)으로부터 따로 떼어내서는 얘기할 수는 없겠다. 사상에는 대의명분들을 제공하고 사기를 진작하는 효과를 낸다. 올리버 크롬웰은 17세기 중기에 청교도혁명이라고 불리는 영국혁명에서도 신형군들을 별도로 조직했는데, 이 군대를 처음으로 조직할 때는 대의명분들을 대단하게 중시했었다. 곧, 봉건적인 사상들에 견주어보자면 매우 급진적인 청교도 정신들을 중시하던 평민 충신들로부터도 간부를 구성하고 그걸 바탕으로 사병들을 모집해서 신형군들을 조직했는데, 매우 성공적이었었다. 


셰익스피어도 다음으로 같이 말했다. "자신들에 싸움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자는 세 배로 무장한 거나 다름없다고." 그래서 나폴레옹도 사상에 대한 중요성들을 강조하면서 다음으로 같이 얘기했었다. "물량을 하나라고 한다면, 정신은 셋이라고. 특히나 전투력으로 열세인 상태에서는 병사들에 사기는 매우 중요한 구실마저 한다." 부패한 정부로부터 강력한 군대를 거느릴 수 없는 이유는 바로 이거다. 지휘부는 썩으면 사병들을 제대로 진두지휘할 수조차도 없는 법이기 때문이다.



전략, 전술에 대한 뜻.


셋째로 이제 전략 및 전술들에 대한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근본적인 사회변혁을 바라는 사회주의자들은 전략과 전술이라는 말들을 채택했을 때, 그것은 군사적 용어를 빌려 쓴다. 엥겔스·레닌·

트로츠키는 모두 클라우제비츠라는 군사전략가를 무척 존중했었다. 엥겔스는 1848-1849년 유럽혁명 동안에도 시민군에도 참가해서 전투를 하고 다녀서 별명으로는 장군들이었다. 트로츠키는 제1차세계대전 당시에도 몇 년 동안이나 발칸전쟁 종군기자로 전투들을 취재하면서부터 전투경험들을 쌓았다. 나중에 그는 러시아 10월혁명 때에도 무장봉기를 지도했었고, 혁명으로부터 성공한 뒤에도 국방부 장관이자 군 최고사령관이라 할 수 있는 적군사령관으로 지냈었다. 트로츠키는 두꺼운 책 다섯 권 분량이나 되는 군사저작들을 쓰기도 했었다. 어쨌든 전략이나 전술에도 아주 능했던 이 사람들은 모두 클라우제비츠에 개념들을 매우 존중했었다. 클라우제비츠에 책들은 칸트철학 관련한 얘기들도 많아서 읽기란 매우 상당하게도 어려운데, 처음에는 축약본을 읽기에도 좋겠다. '지만지고전천줄'이라는 문고판 시리즈들 중에서는 <전쟁론>도 마찬가지로 포함돼 있었다. 


우리는 전쟁이나 전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전략은 바로 전쟁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전쟁들에 대한 이론, 곧 전쟁술, 이건 바로 전략들이다. 쉽게 말해서 전투를 어떻게 배치하고 어떤 전투로부터 더 중요한지는 정하는거다. 제국주의자들에 처지에서 드는 사례들이기도 하지만, 제2차세계대전에서 서부전선에 노르망디 전투로부터 매우 중요하고 동부전선에서 스탈린그라드에 전투는 매우 결정적이었는데, 이처럼 전투들에 비중이나 경중들을 가려서 병력들을 지중해서 배치하는 등에 설계를 한다는 건 바로 전략들이다. 또, 그에 대한 이론도 전략이다. 그러므로 사회주의 정치전략을 정의해보자면 '계급전쟁에서도 승리하거나 유리한 상황들에 놓이려는 최선에 방법들에 대한 이론이나 기예'라고 할 수 있겠다. 


전술은 전투에 대한 병법이거나 전투에 대한 이론들이다. 전술은 개별마다 투쟁들에 대한 우리들에 병법으로, 쌍용차 투쟁들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에 전술, 미디어법 철회 투쟁들에 대한 전술들, 특정 집회들에 대한 전술 등도 있을 수 있겠다. 운동들에 갈래에 대해서도 전술들을 얘기할 수 있겠는데, 학생운동들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에 전술, 노동조합운동들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에 전술, 민주노동당이나 기타 개혁주의 정당들에 정치운동들에 대한 사회주의자들에 전술 등도 있을 수 있겠다. 또한, 의회와 선거문제에서도 우리 사회주의자들에게는 전술들이다. 개혁주의자들은 의회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므로 의회와 선거는 그들에게는 전략들이고, 사실 이건 전략들에 거의 대부분에 전부다. 중요한 특징인들에 대해서도 전술들을 얘기할 수 있겠다. 이를테면 민주노동당 국회의원들이나 주요 노동조합 위원장 등에 대한 우리들에 전술마저도 있을 수는 있겠다. 그러므로 사회주의적 정치전술들이란 '특정한 투쟁들이나 운동들이나 운동에 어느 부문에서 원하는 걸 이루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이나 그에 대한 이론들'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정치적 목적들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주기적으로 재평가하라. 



넷째는 정치적 목표들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주기적으로 재평가해야만한다. 이를테면 다함께는 2003-2005년에 반전이나 반신자유주의라는 두 축으로 움직였다. 그러다가 선거 때로 되면 당시 반보수·반한나라당, 열린우리당에, 비중도에 대한 입장을 취했다. 노동자 투쟁으로 떠오르면 노동조합투쟁, 정확하게 말하면 조직노동자들에 투쟁들을 전략상으로도 역점분야에 넣고, 별로 활성화 되지 않을 때는 전략적 강조분야에서도 잠시 뺐다. 2008년 상황을 예시로 들자면, 촛불운동으로 벌어질 당시 전략이든, 전술이든, 모두 촛불운동으로 집중됐다. 9월에 금융공황으로 터져서 경제위기로부터도 세계를 엄습했을 때는 사상투쟁에 명분이나 중요성을 강조해왔고, 조직 내에서도 선전이나 교육들을 강조해왔다. 올해 2009년 초 다함께는 대의원협의회에서도 올해에 전략에 대해서도 얘기했는데, 반신자유주의 문제를 놓고서는 더 깊숙하게 들어가서는 노동자투쟁들을 강조해왔고, 반전문제를 놓고서는 한국으로부터 파병군들을 철수한데다 국제반전운동 자체들도 폭발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당면한 시기로는 반전운동들을 그리 강조하지는 않았었다. 그래서 내년 초 대의원협의회에서도 이걸 평가해보고는, "지난해에도 우리는 학생운동들로부터 주요하게 떠오를 거라고 예상했었는데, 그리되지도 않았었다. 우리는 잘못 예측했다"하고 자기비판을 하면서 전략을 수정하든지, "그래도 한 해를 더 두고보자"하고 이어가든지 해야한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전략이나 전술들에 대해서도 계속 재평가는 해봐야만 한다.



우리는 민주노동당에 대한 전술에도 계속 재평가하면서도 명확하게 해야만했다. 분당사태마저도 일어났을 때 우리는 민주노동당에서 얼마나 힘을 실을 건지에 대해서도 논의해서 이제는 전보다 힘을 좀 많이 빼고, 그 안에 있되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선전하기보다는 가맹상태만 유지하기로 했었다. 이런 걸 명확하게도 하지 않는다면 많은 걸 더 잊을 수도 있고 여러 일에 치이다보면 개개념마저도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2009년 2월에 결성된 '자본에 위기 전가에 맞서 싸우는 공동투쟁본부' 이하 공투본도, 또 다른 예시는 될 수 있겠다. 공투본은 PD좌파들, 그러니까 노동자주의적 단체들에 기구이다. 여기에도 다함께는 참가했었고, 다함께 측 파견자들은 그러한 기구들에도 주요한 직책도 맡고 있었다. 우리는 올해 대의원협의회에서도 그 기구를 무엇으로 자리자게 할지 논의해서라도 다음으로 같이 결정했다. "공투본은 노동조합 투쟁에서도 전국적 위상으로도 떠오를 전망들은 별로 없었다. 노동조합들에 고위상근간부직들을 NL경향이나, 온건PD경향, 민주노총에 대한 용어로 말해보면, 국민파, 자주파, 중앙파들로부터 차지하고 있어서 공투본 같은 급진적 좌파들이나 민주노총, 전체에서도 전국적 노동조합 투쟁들을 지도할리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개별적인 노동자 투쟁들로 벌어질 때는 상당하게 종파적인 좌파일지라도 빼어난 리더로 떠오를 순 있겠다. 노동자투쟁이라는 특별한 성격 덕분에도 노동조합 지도자나 투사들은 정치적으로는, 종파적일지라도, 이런 투쟁들 속에서는 자신들에 종파적 정치를 많이 희석했었고, 그저 전투적 노동조합주의자로 행동하는 경향마저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다소 종파적 경향들도 있는 조직들에 결집체이더라도 다함께 측 파견자는 공투본 활동들에서도 여러 혼란들을 겪었다. 공투본에 다른 사람들은 이 기구를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으로부터 경쟁하는 정치단체로 자리잡게 하거나 몰아가려고 하더라도 그도 부지불식간에 녹아들었고, 공투본에서는 굉장한 단체나 되는 듯 착각하기도 했었다.

그래서 우리는 잠시 멈춰 선 다음, 우리는 처음에 공투본에 위상을 어떻게 매겼는지를 되짚어 보면서도 다시 토론했다. 



전략에 우위: 전투에서 패배하더라도 전쟁에서 이기는게 중요하다. 



다섯째 상황으로는 전략들은 전술보다도 우위에 있다. 전투에서 비록 패배하더라도 전쟁에서 이기거나, 유리한 처지에 있는게 중요하다. 왜냐하면 앞서 전쟁이나 구분들도 잘 살펴봤는데, 이라크 상황을 두고 몇 년 전에 미군고위장성은 다음으로 같이 말했다. "우리는 전투에서는 이기고 잇지만, 전쟁에서는 지고있다고." 이건 사실이었다. 우리도 당시에 바로 그렇게 평가했기 때문이었다. 



베트남전쟁 당시에도 유명한 뗏설 공세도 있었다. 1968년 1월에는 베트남민족해방전선으로부터 미대사관, 미공군기지사령관사택, 베트남대통령궁, 방송국 등으로부터도 상징적 장소들을 공격하고 잠시 철거했었다. 그리고 몇 시간 만에 쫓겨났다. 군사작전 자체는 실패였다. 전투에서는, 곧 전술 면에서는 패배했다. 그러나 이 사건들로부터 전 세계에도 방영됐고, 전 세계 사람들에게는 베트남전쟁에 대한 중요성이나 문제들을 알리게 되면서 반전운동들에도 기름을 부은 격은 됐었다. 반전운동들로부터도 강력하게 일어나자 민족해방전선 전사들도 큰 힘들을 얻을 수 있었다. 결국 설 공세는 베트남에서 미국을 축출하는데에도 커다란 구실들을 했다. 전투, 곧 전술 차원에서는 졌지만, 전략차원에서는 전진을 이룬다. 이건 우리도 또한 전략적인 관점을 지녀야 하는 이유를 잘 보여준다. 핵 폐기장 반대운동들도 예시로 들어 볼 수도 있겠다. 부안에서는 핵 폐기장 반대운동들을 성공적으로도 조직해서 핵 폐기장 건설계획을 좌절하게도 했었다. 그러자 정부는 "그러면 다른 곳에 추진하겠다"면서 경주에다 건설하기로 죄다 계획을 바꿨는데, 결국 경주는 핵 폐기장 건설을 막는데 실패해서 결국 시설은 유치됐다. 우리들에 적은 하나인데, 우리는 서로 나뉘어서 자신들에 전술적인 관점들에만 매몰돼 있으면, 이런 상황들에서는 대처하기란 몹시도 어려워진다. 그리고 전술문제들에도 매몰되면 정치적인 실용주의로도 기울기는 무척이나 쉽기 때문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독일사회민주당에서는 그랬다. 제정러시아를 무대로 활동하던 볼셰비키와는 달랐던 대목들이다. 또 다른 사례로는 1936년 프랑스에 인민전선들을 들 수 있겠다. 인민전선으로는 공산당으로 대표되던 좌파는 급진당이라는 친자본주의 정당들로부터도 동맹을 맺고 그 정당들에 대한 강령이나 요구와 투쟁 수위 안에서도 움직이기도 협약해왔었다. 스페인에서도 인민전선들을 결정했는데 공산당에서는 인민전선들로부터 몇십 배로 성장해왔고, 인민전선은 선거에서도 이겼다. 그래서 오늘날 스탈린주의자들, 사회민주주의자들, 그리고 약간에 좌파적인 자유주의자들이나, 자유주의적 좌파들에게는 인민전선은 그저 성공적이었다 평가한다. 트로츠키주의자던 아이작도이처도 1930년대 인민전선으로부터 성공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건 매우 협소한 시각들이다. 전술적으로 보면 성공했지만, 사실은 아래로부터 계급투쟁들을 약화하게했다. 공산당에서는 친자본주의 정당들로부터 연합해서는 그 정당들에 강령이나 투쟁성들을 넘지 않기로 협정을 맺어서, 당시에도 대단하게 크게 일어난 아래로부터에 대한 노동자투쟁들을 자제하고 '정상화'하게 했다. 당시 노동자 수백만 명으로부터 공장점거 운동들에도 참가하고 있었는데도 불과하고 말이다. 인민전선은 전술로는 단지 이긴건지는 몰라도 전략적으로는 패배에 대한 길을 자초했고 의도치 않게 걸어갔다. 



요컨대 전략에서 우위란 크게 보고 넓게 보라, 더 큰 목표라는 목적에 초점들을 맞추라는거다. 크게 보고, 넓게 보려면 전체적인 상황들, 곧 전체 사회와 세계경제 상황 등을 분석해야만 한다. 그러려면 경제와 정치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들, 다시말해서 이론은 있어야만 한다. 이론이라도 없다면 운동들은 침체하는 시기에는 사기마저 떨어져서 운동을 그저 쉽게 그만두거나, 그저 개혁주의자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도 전략으로부터도 우위에 있다는 점을 잘 설명했는데, 그렇다고 해서 전술들로부터도 독자성 없이는 전략들에 완전하게 종속되는 건 아니다. 전술은 상대적으로도 독자적인 가치는 있다. 2004년 노무현 탄핵 사건을 예시로 들어보자. 다함께는 다른 사회주의 단체들로 마찬가지였었고, 탄핵 사건 전부터 노무현 정권들을 반대해왔었다. 그러면 전략적으로는 그저 노무현을 반대하니까, 노무현으로부터 탄핵당한 건 그대로 놔둬야만 할까. 다함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좌파는 그런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건 대단하게 미련한 태도들이다. 노무현으로부터 탄핵되면 하나라당이나 우익들은 정국에서도 주도권을 잡을 건 뻔했고 분명했기 때문이었다. 지금 같은 한나라당 집권들은 4년이나 앞당겨졌을텐데 그 4년 동안마저도 좌파들은 조금도 덜 탄압적인 상황들에서도 유리한 정치활동들을 할 수 있는 조건들을 누리지도 못했을거다. 2004년 이후에 전개된 상황들을 돌아보면 좌파들은 그 해 여름 반전운동들을 하면서도 노무현 퇴진 구호를 내걸기도 했었고, 탄핵 직후 총선에서는 열린우리당 뿐만 아니라 민주노동당도 매우 전진했었다. 이런 상황들을 보면 운동들로부터 전진하는데서, 다시말해, 전략으로는 유리한 고지를 점하는데서도 노무현탄핵반대라는 전술은 매우 중요했다는 걸 알 수 있겠다. 



훨씬 더 고전적인 사례를 들어보자. 구태양력 기준으로는 1917년 8월 말기에 러시아에서는 코르닐로프 장군은 반혁명적인 우익 쿠데타를 일으켰다. 볼셰비키는 그때까지 임시정붇르에도 맞서 노동자·병사·소비에트평의회를 지지했지만, 이제는 전술을 바꿔서 코르닐로프에 대항해서 임시정부를 방어하기로 했었다. 전술로부터 전략에 종속된다는 말들을 기계적으로만 이해해서 그저 교조처럼 떠받들었다면은 도저히 할 수도 없는 신축성 있는 전술에 대한 전환들이었다. 따라서 전략에 대한 우위를 얘기하지만, 그건 기계적으로도 전술을 전략들에 종속하게 함을 의미하는 건 아니었다. 그 독자적인 가치들에 대해서는 잘 판단해야만 한다.



전략에 대한 설계: 전략기획에 대한 출발점.



여섯째 사항으로는 전략설계를 직접 해보는 거다. 그 출발로는 도대체 우리에 적은 누구이고, 우리 편은 누구인지를 우선 구분하는거다. 아주 간단하고도 상식적인 얘기처럼 들리겠지만 이 문제는 그리 수월하지는 않다. 운동에 참여하다 보면 적이나 동지를 구분하지도 못하는 사람들은 뜻밖에도 무척 많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민중은 한 예시다. 과연 민주당은 무슨 세력인가. 분명하게 해 두자면, 민주당은 자본가계급들에 정당으로 우리들에 적이다. 비록 주적은 아닐지는 몰라도 말이다. 민주당은 과거 운동권 출신들도 꽤 있어서 현재에 좌파와도 인맥적인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포퓰리즘 사상이나 포퓰리즘 연게를 수단으로 삼아서 우리들에 운동들에도 상상조차는 할 수도 없는 상당한 영향력들을 행사하는 포퓰리즘적 자유주의 정당들이지만, 결코 우리들에 친구마저도 아니다. 앞서 말했듯이 민주당은 현재 좌파와 맺는 관계는 아주 느슨한 인맥적인연계들로, 영국노동당들로부터 노동조합들이나 맺고 있는 거 같은 밀접한 연계마저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운동 내에서 일부 사람들은 민주당으로도 전략적까지 동맹을 맺자고들 하는데 이는 잘못됐다. 그러나 민주당으로 전술적으로는 동맹할 수만 있다. 이를테면, 무슨 중요한 집회를 민주당에서 주도한다고 치자. 그렇다고 그 집회는 안 가면 안 될거다. 그러면 민주당은 좌지우지하게 되고 민주당에 영향력들은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거기에서도 악착같이도 끼어들 수 있고, 어떻게든 민주당에 패권이라는 헤게모니를 잠식하고자 노력해야만 한다. 



이를테면 아나키즘을 들 수 있겠다. 그저 권위는 싫고 울분들에만 불타는 반항적인 청년들이나, 촘스키, 박홍규 영남대 교수 같은 반체제적 저술가들을 비난하려는 건 전혀 아니다. 다만 E.H 카는 "반대파들에 대한 반대파"라고 한 종류에 아나키스트들, 곧 주요한 좌파들을 주로 매도하는 초좌파적인 종파주의적인 아나키즘들을 말하려는거다. 예컨대도, 현재 우리에 적들은 이명박 정권들이나, 자본가들이나, 보수우파정치인들인데, 오히려 이자들로부터 맞서 싸우는 우리 진영들을 주되게 공격하려는거다. 이런 건 아나키스트들에 구실들이다. 아나키스트들 중에서는 사실은 마크스를 부정하면서도, 마르크스라는 이름들로 활동하는, 그래서 가장 효과적인 아나키스트들도 있는데, 바로 자율주의자들이다. 자율주의자들은 운동 내에서도, 도리어 운동에 대한 지도부를 직접 비판하는 데 주력한다. 이를테면, 지난 해에 촛불 운동들로부터 대규모로 벌어지고 있을 때조차도 자율주의자들은 촛불운동들에 지도부였던 광우병국민대책회의를 비판하는데도 주력했었다. 물론 광우병국민대책위원회는 비판받을 건 분명하게 있었지만 지지받아야 할 측면들도 있었다. 그렇게 대책회의를 지지해야 운동들에도 새롭게 참가하는 사람들로부터도 쉽게 접촉할 수 있었고, 그 속에서도 영향력들을 쌓아갈 수도 있었다. 그런데도 대책회의를 적처럼만 공격하는데만 몰두하는 세력들은 있었던거다. 



정체성 정체를 또 다른 예시로도 들 수도 있겠다. 정체성 정치를 받아들이는 운동들 주에서는 근본적인 페미니즘들도 있겠다. 그러나 나는 줄곧 투쟁적인 여성운동들을 지지한다. 페미니즘은 여성운동 내 현재는 주된 특정한 갈래들일 뿐이지, 그 자체로는 여성운동인 건 아니기 때문이다. 백년 전에는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는 여성운동 내에서도 주된 갈래였기 때문이었다. 어쨌든 간에 지금은 근본적인 페미니즘들도 여성운동들 내에서는 상당하게도 중요한 갈래들 중에서도 하나인데, 이 경향으로는 남성들을 다 적으로만 취급한다. 


그리고 여성들은 다 동맹인걸로 착각하거나 심지어는 의식적으로까지도 그렇게 생각한다. 그러다보니 몇 년 전에는 무려 <한겨레> 기자 출신이었던 최보은은 당시에도 <프리미어> 편집장에게 다가가서 박근혜를 공개 지지한 일까지도 있었다. 또, 여성계 엔지오들은 정부에 들어가서 포섭되다 보니깐 자신이 대표하고자 한 평범한 여성들이나 대립적인 처지들에도 서기도 하는데, 이런 상황들도 면밀하게 봐야만 할 거다. 아프가니스탄 전쟁들을 또 다른 예시로 들어보겠다. 2007년 한국인 선교사 피랍 사건 때 참여연대는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두고 탈레반들이나 미국 제국주의나 다 똑같다는 양비론들을 취했는데, 이는 반전운동들에도 큰 어려움들을 줬다. 사실로나, 지금도 이런 양비론들 탓에 아프가니스탄 전쟁 반대 운동들이 대규모로 일어나지는 못하는 거다. 그런데도 탈레반들이나 미국에 제국주의나 그게 그거라고 본다는 건 착각일 뿐이다. 탈레반들은 지독하게도 혐오스러운 자들인 건 분명하지만, 그리고 미국은 쫓겨나면 탈레반들도 집권할 수 있다는 건 적지도 않겠지만, 그들로부터도 미치는 나쁜 영향력들에는 아프가니스탄들에 살고 있는 수백만 명들에도 한정된다. 물론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는 안타까운 일들이다. 그러나 미국 제국주의는 패배한다면 전 세계 수십 억 명에 평범한 대중들에게는 큰 전진들이다. 왜냐하면 베트남 신드롬이라는 말에서도 나왔듯이, 미국 제국주의는 패배하면 미국으로부터 다른 나라들 마저도 개입하기란 매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우리는 탈레반들은 과연 무슨 세력인지와는 관계도 없이, 미국 제국주의는 패배하기를 바래야만 하고, 미국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운동들을 건설한다는 건 반전운동 전술들 뿐만 아니라, 전체 전략들에서도 훨씬 더 유리하다는 건 알아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예를 하나 더 들어 보자면,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들을 대하는 태도들이다.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들은 마치 적이라도 되듯이 공격하기만 하는 초좌파적 종파들도 꽤 있었다. 물론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들에서는 비판받을 바도 상당하게 많은 개혁주의 정당들이다. 여러 한계와 약점마저도 안고 있었다. 그러나 우리는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이나, 우파세력들이나, 민주당과도 같은 중도적인 자유주의 포퓰리스트 세력들에게 대립할 때는 분명하게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들을 지지해야만 한다. 이를테면 2009년 4월 재보궐 선거 때 울산 북구에서 조승수 씨는 후보로도 나왔었다. 조승수씨는 민주노동당 분당 사태 때 <조선일보>에 글까지 써가면서 좌파들을 비난했던 사람이었다. 그에 이런 전력들은 매우 불쾌하지만 그는 울산 북구에서 한나라당 후보와도 맞붙었을 때, 우리는 그에게 표를 던져야만 했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사노준이나 그 단체와도 연관을 맺고 있는 지식인인 손호철 교수 등은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도 모든 건 실종돼 버려서" 별 의미도 없는 선거인 듯 말했다. 이와는 달리 다함께는 "조승수 후보에게 투표해라. 그러나 그는 국가보안법 쟁점 등에서도 문제는 많은 사람이다."하고 비판적으로 지지했었다. 고종석 <한국일보> 논설위원 같은 자유주의자조차도 조승수씨를 겨냥해서는, 진보를 자처한다는 사람이 과연 어떻게해서 <조선일보>에다 그들 입맛에만, 마음에 쏙 드는 글들을 쓰던지, 채신머리 없는 짓들을 하느냐고 점잖게 꼬집은 적도 있었는데, 다함께는 그 얘기를 인용하면서도 조승수씨에게만큼은 비판적인 지지를 보냈었다. 



적군이나 아군들에 대한 분석, 평가.



일곱째 사항으로는 적군이나 아군들을 분석하고 평가해야만 한다는 거다. 과연 적은 무엇을 왜 하려 하는지를 물어야만 한다. 언제나 적에 대한 능력들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적에 대한 강점이나 약점들을 모두 봐야만 하기 때문이다. 적에 강점만 보는 사람들, 주로 온건 개혁주의자들은 늘 항상 패배주의적인 의식들에 빠져 있었다. 그들은 늘 적을 더 밀어붙이면 역풍이 분다면서 정작 더욱 소심하게만 군다. 적을 막강하게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을 너무나 우습게 알아서도 안 된다. 지난해 촛불 운동 때에는 운동에 새로 참가한 급진적인 청년들이나 좌파들은 아마도 그런 태도를 보였을거다. 백만 명쯤 모이니까, 이명박은 허수아비, 신세로도 보였는지, 지나친 낙관들에만 들떠 있었다. 이들은 <경향신문>이나 <한겨레>처럼 반쯤은 우리 편이기도 하고, 반쯤은 적들에 편이기도 한 포퓰리즘적이기만 한 자유주의적 신문들로부터도 그저 자발성들을 찬양하는 거에만 도취돼 있었다. 그 결과는 무엇이었겠는가. 좌파들은 광우병국민대책회의들로 하여금 이명박 퇴진 입장들을 채택하게 하고 노동자 투쟁들을 호소하도록 만들었어야 했는데 그러지는 못했었다. 다함께와 소수단체들만이 이러한 견해를 밝혀왔고, 특히나 노동자 파업들에 대한 호소로는 오로지 다함께만 주장했었다. 당시에도 중요한 과제들도 있었다. 첫째, 의제를 확장해야만 한다는거다. 둘째, 노동자들에게는 투쟁해야만 한다는거다. 특히나 파업투쟁들을 해야만 했는데 그건 꼭 정치파업일 필요는 없었다. 각자 자신들에 임금이나 노동조건 등을 내걸고 동시에 파업하면 그건 정치파업들에 대한 효과를 충분하게 낼 수 있었다. 셋째, 이명박 정부를 설득할 수 있다는 환상들을 버리고 이명박 퇴진 입장들을 분명하게 해야만 한다는거다. 이명박 정권으로는 앞으로도 권위주의적이기만 한 탄압들을 밀어붙일 정권이므로 물러나라고 해야만 했었다. 그런데도 자발적 만능주의적인 관점에서는 그저 자발성이면 다 된다고 보았기 때문에 이런 과제에 대한 필요성들조차도 인식할 리는 없었기 때문이었다. 적에 약점들을 제대로 판단하지도 못하고 그저 지나치게 도취감에만 빠지는 나머지 지난번에는 우리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이명박은 지금도 탄압을 강화하고 있는데, 어떤 사람들은 이명박이 그저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렇지는 않다. 오히려 이명박은 약하기 때문에 탄압에 의존하므로, 우리는 그런 약점들도 봐야만 한다. 



그렇다면 이명박은 지금, 현재에도 무엇을 하려고 하는가. 간단하게 살펴보자면, 첫째, 그는 지금 경기부양책으로 가닥을 잡았다. 그래서 신자유주의적 정책들을 잠시 미뤄놓고만 있다. 아래로부터에 대중반란들을 두려워하고 있는거다. 이병박은 특히나 조직적인 노동계급들을 그저 겁내고 있었다. 쌍용차 투쟁 때에도 그는 정갑득 금속노조 위원장들을 만나서 협상안들을 내놨었고, 정갑득 위원장은 그걸 들고서 쌍용차 노동조합 지부장들을 만났지만, 정작 쌍용차 파업 노동자들도 내걸었던 협상안들을 거부한 바 있었다. 이명박은 수 많은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해고해왔지만, 정작 잘 조직돼 있던 정규직 노동자들을 공격하지는 못했다. 곧 공격할 수도 있었겠지만, 아직까지도 못했던 건 이명박은 조직노동계급들을 겁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둘째,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자들이나 피억압 대중들에 반발들은 그저 제한적일 듯한 쟁점들로, 특히나 야당들로부터 관련돼 있었던 쟁점들에서는 치고 나가는 측면들도 있었다. 특히나 재벌 등에서도 자신들에 기반들을 확실하게 챙기고자 미디어법을 밀어붙여서 언론을 재벌들에게 주고는, 금산분리 완화로는 재벌들에 대한 은행장악들마저도 허용하려고 한다. 셋째, 이명박은 탄압을 강화하면서도 '중도실용'을 내세웠는데도, 이는 민주당이나 친노세력들에 지지기반들을 그저 뺏어오거나, 그들을 혼란스럽게 하려는 작전들이었다. '중도실용'이라는 말은 노무현 세력들에서도 주된 구호였었다. 노무현 정부로부터도 표방했던게 실용주의였었고, 그러한 정권들도 중도적이기만 했었다. 넷째, 이명박은 개헌 얘기를 꺼내 쟁점을 흐려놓고서는 사람들에 관심이나 흥미마저도 딴 데로 돌리려는 작전들을 쓰고 있었다. 다섯째, 이명박은 북한에 핵무기를 사상적으로도 이용해서 운동들을 분열하게하고자 했었다. 운동 내에서도 친북적인 세력들도 있어왔기 때문이었다. 이처럼 간단히만 봐도 이명박은 도대체 뭘 하고자 하는지는 충분하게 알 수 있겠다. 



클라우제비츠는 '무게중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적에 대한 힘에 원천들은 어디에 있는지를 잘 표현했었다. 곧, 힘에 대한 원천, 최대강점, 가장 중요한 요소를 두고서도 무게중심이라고 했던거다. 그런데도 무게중심들을 잃어버리면 팍 쓰러진다. 그러니까 적에 대한 힘에 원천들로는 동시에 적에 대한 아킬레스건이기도 했었다. 레닌은 이를 두고서도 '사슬에 매우 약한 고리'라고도 불렀었다. 김대중 정권들에 무게중심으로는 남북화해협력들이었었다. 그로부터 운동들을 분열하게하고, 운동 내 포퓰리스트들을 어느 정도로나 달래놓고서는, 정작 운동 내에 전투적 계급투쟁주의자들을 고립하게했었다. 노무현에 첫해로는 김대중 정권들에 남북화해협력들을 채택하지도 않아서 커다란 어려움에 처하고 갇히게 되자, 2004년부터 그걸 채택해왔었다. 지금, 현재에도 이명박에 무게중심은 오로지 경제일 뿐이다. 그는 경제로부터 당선됐었다. 따라서 우리는 그 부분들을 아주 집요하게 공격해야만 한다. 경제에 대한 노동계급들에 투쟁들, 이런 건 바로 이명박 정부들에 아킬레스건이 될 건데도 말이다. 우리는 노동자 투쟁들을 자주 일으키려고 노력하고자 해야만한다. 물론 천대받고, 차별받고, 억압받는, 여성들, 이주자들, 장애인들, 성소수자들 등들도 방어하는 일들도 절대로 게을리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전략들에 핵심인 집중, 기둥.



여덟째는 클라우제비치는 전략에 핵심으로 꼽은 '집중'이나 '기동'들에 대한거다. 먼저 집중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자면, 우선 주된 거라든지, 부차적이라는 걸 우선 구분해야만 한다. 무슨 운동이든 다 중요하다는 견해, 곧 자율주의자나, 아나키스트들에 대한 견해를 갖고는, 전략적으로도, 효과적일 수는 없겠다. 곧, 우리는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수는 없겠다. 주요한 건 무엇이고, 덜 주요한 건 무엇인지를 과연 구분한 다음에, 주요한 걸 집중해야만 한다. 나폴레옹은 다음으로 같이 말했었다. "전투를 결심했다면, 먼저 모든 전투력들을 결집하게해라. 단 한 방울에 물로도 양동이 물을 넘치게 하듯이, 때때로 단 하나에 대대는 그날에 승패를 결정짓는다." 어떤 때는 그런 주요한 전투는 있는 법이다. 그런 전투 하나에서도 결정적으로 승리하면, 전체적인 정치적·사상적 지형들로부터도 유리하게 바뀌기도 한다. 거꾸로 패배하면, 유리하던 지형들은 불리하게도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4월쯤 다함께는 미디어법 철회 투쟁들이나 쌍용차 투쟁들에도 여름철에 중심이 될 거라는 걸 보고서는 거기에다 전력들을 실었었다. 지금, 현재에 미디어법들도, 국회에서 통과되는 바람에, 사람들에 사기는 약간 꺾인 면들도 있었지만, 계속 싸울 여지도 있었다. 저들은 법들을 어기면서까지도 미디어법들을 통과하게했으므로, 계속 싸워서는 그걸 뒤집을 수 있다는 전술적인 여지들마저도 있었는데, 이때 쌍용차 투쟁들에 향방들도 중요해진다. 쌍용차 투쟁들로부터 승리해야만 전략적으로는 유리한 고지들에도 있게 되고, 미디어법들을 뒤집는 투쟁들에서도 결정적인 고지를 점할 수 있게된다는 거다. 쌍용차 투쟁들로부터 패배한다거나 그저 어설프게도 타협안들로만 끝나서 힘마저 빼버리게 되면은, 미디어법들을 둘러싼 전투에서도 적들은 역습하기란 매우 쉬워질거다." 클라우제비츠는 집중들에 대해서는 다음으로 같이 말했었다. "힘에 대한 집중들을 유지하는 거보단, 더 중요하고, 더 간단한, 전략들에 대한 원칙들은 없기 때문이다. 간단하게 말해보자면, 고도에 대한 집중력들을 갖고 행동하라는거다." 레닌은 이를 두고 "사슬에 올바른 고리" 또는 "막대 구부리기"라고 불렀었다. 



다음으로 기동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자면, 이건 기동성들로부터도 있어야 한다는 거다, 곧 전술전환들을 신속하게 해야만 한다는 거다. 신속하고 정책들을 바꿀 줄도 알아야만 한다. 말하자면, 과거에 잘 먹혔던 방식들을 그대로도 채택하려 하지는 말라. 관성적인 사고를 배격하라는거다. 사람들은 흔하게는, 실패는 성공에 어머니라는 격언들을 인용하는데, 나는 그 반대를 훨씬 더 강조한다. 곧 성공은 실패에 어머니라는거다. 무엇을 성공했을 때는 다음에도 자꾸 그대로 하려는 관성들도 우리 좌파들에게도 강한데 이는 오히려 실패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클라우제비츠는 프로이센에 호엔로에 장군 사례를 드는데, 호엔로에는 전에는 성공적이었던, 사선 전투대형을 1806년에도 그대로 사용했다가, 나폴레옹 군대에게는 참패했었다. 전에 잘 먹혔던거니까, 지금도 잘 먹히겠거니, 쉽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거다. 우리들로부터 세우는 게획들로는 실제로도 일어나는 일 사이에는 언제나 무슨 격차들마저도 생겨나는데, 클라우제비츠는 그걸 또한 '마찰'이라고 불렀었다. 이론이나 실천들은 비록 결합돼야 하지만, 무슨 순간들에서는 일시적으로도, 분명하게도 이론이나 실천들 사이로는, 격차들도 생겨나고, 긴장들도 있기 마련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클라우제비츠는 직관들을 강조한다. 이론과 경험도 중요하지만, 이론과 경험을 사용할 시간적 여유조차도 없을 때는 척 보고 감으로 판단하는 직관들이 중요하다는거다. 혁명적 조직들에 활동가들에게는 직관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직관력들을 기르려면 우선 많은 전투를 해보고, 그 전투를 평가해보고, 분석해서, 이를 이론과도 직접 연결해봐야만 하기 때문이다.



9·11 이후에도 많은 좌파들은 반전운동으로 전환하기를 거부했다. 한국에서도 그 전까지는 반신자유주의 운동에 주력하던 좌파들이 반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걸 비난했었다. 반전운동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다함께'라고 몰아붙일 정도로 좌파들에 저항들은 매우 강력했다. 그건 반신자유주의 운동들은 왜 반전운동으로도 전환돼야 하는지를 이해하지도 못하고, 과거를 답습하려는 문제점들을 드러내고야 말았다. 이처럼 성공은 사람들을 자기만족에 빠드리거나, 나태하게 만드는 경향들도 있다. 그러나 상황들은 매번 새롭다. 언제나 변하기 때문이다. 똑같은 상황 또는 역사는 되풀이되는 경우는 사실 거의 없었다. 마르크스는 "한 번은 비극으로, 또 한 번은 희극으로 끝났다."고 한 말은 아주 유명한데, 이 말은 역사는 그저 되풀이된다는 걸 강조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역사는 똑같이는 되풀이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어쨌든 꼭 차이는 있기 마련들이다. 뭔가는 꼭 새로운 요소들도 있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레닌은 '상황은 언제나 구체적'이고, 그래서 '진리는 보다 구체적'이라고도 강조했었다. 레닌은 '구체적인 상황들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하라고 직접 말하기까지 했었다. 그저 추상적인, 시공을 초월해서는 맞는 거 같은 얘기를 늘어놓지만 말고, 그때그때 상황들에 맞는 요인들을 직접 분석해보라는거였다. 그래서 그는 1917년 4월 초에 러시아로 귀국했을 때도, '모든 권력들을 소비에트로.'하고 호소하면서, 임시정부를 지지하던, 선임 볼셰비키 간부들을 '구식볼셰비키들'이라고 비판했었다. 1905년으로는 달리 유럽은 국제혁명전야에 상황들에도 놓여있었음을 알아차렸어야만 했다는거다. 



민주당을 예시로 또 들어보자. 2008년 촛불집회는 대규모로 벌어지던 당시로는 민주당은 대중들에게 인정받지조차도 못했었다. 촛불집회에서는 사람들은 민주당 의원들을 경멸에 찬 눈초리로 보거나, 소나 닭 보듯이, 닭이나 소 보듯이 대했었다. 한마디로 별 볼 일 없는 존재였었다. 그런데 지금은 민주당이 주도하다시피 한다. 왜 그런가. 물론 원인은 있다. 촛불운동들을 풍미했었던, 자발성예찬론, 때문이었었다. 물론 자발성은 좋은거다. 그러나 자발성만으로는 안 된다. 자발성뿐만 아니라, 목적의식적 계획성, 리더십, 집중된 조직 등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촛불운동들 당시에는 자발성만 예찬했었는데, 사실 순수한 자발성이란 있을 수조차도 없다. 왜냐하면 누군가 어떤 식으로든 자발성에는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도, 촛불운동들에 수혜자는 민주당이다. 일년 만에 민주당은 자발성주의들에 도취돼 있는 젊은 세대들, 자발성주의를 추수한 좌파들에 틈바구니를 비집고 패권이라는 헤게모니를 잡은 형국이다. 그래서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우리가 아니꼽더라도, 민주당이 주도하는 운동들에 전술적으로, 다시 말해서 사안별로 필요하다면 직접 개입할 수 있어야만 한다. 전략적으로 동맹해서는 결코, 절대로, 안 되지만 말이다. 이건 지난해와 올해 사이에서도 달라진 상황들이다. 



동맹에 기예: 공동전선. 



마지막으로 살펴볼 건 동맹들에 대한거다. 이건 공동전선에서도 문제인데, 맨 마지막에 비록 짧게 다루지만,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특히 혼자서는 쉽게 얻을 수 없는 걸 무조건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사람들로는 동맹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다함께는 매우 급진적인 소규모 단체들이나 원칙 면에서는 매우 가깝다고들 하지만, 사실, 반전이나 반제국주의 투쟁들에서는 그들로부터 동맹하는 일로는 매우 중요한 건 아니다. 이를테면, 2003년 늦여름에는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운동들을 새롭게 일으키려고 할 때마다 N.G.O들이나, NL경향들은 협조조차도 하지도 않아서, '노동자에 힘' 등은 달른 급진 좌파들로부터 할 수 없이도 동맹을 맺게됐었는데, 그 동맹이라는, 하필이면, 반전평화동맹공동행동에서는 우리 혼자서도 얻을 수조차도 없는 걸 제공해주지도 못했었다. 집회를 열었을 때는 반전 분위기만 뜨니까, 2500명 정도까지는 모았었는데, 그 가운데 1000여 명들은 다함께 회원이었거나, 다함께 후원회원 격들인 사람들이었었다. 나머지 천몇 백명은 반전운동들을 지지하는 훌륭한 청년들도 있었는데, 이들은 대개 조직적인 연계는 없었거나, 느슨한 네트워크 정도만 있는 사람들이었다. 그래서 우리는 그 동맹으로부터도 별 이득을 얻지는 보지도 못했었다. 따라서 우리는 정치원칙들로부터 우리와 흡사한 급진좌파들로부터도 만나서 좋은 대화를 나눌 용의는 있지만, 반전이나, 반제국주의 공동전선들을 건설하는데서는 이들이 매우, 가장 중요한 동맹에서 대상들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공투보에서처럼 다함께는 사노준, 사노련 등 급진좌파 단체들로부터도 함께 활동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건 공동전선만큼은 절대로 아니기 때문이다. 급진좌파들끼리 한다는 건 무슨 특정한 목적들을 위한 그저 좌파결집체라고만 볼 수 있겠다. 공투본은 노동운동들 내에서도 좌파블록들을 형성해왔던, 노동조합들 상층부에서 보수적이던 상근간부들을 견제하는 구실을 하던게 주된 목적들이었고, 우리는 공투본을 경제투쟁에서 개입하는 통로로 삼고자 한다는거다. 이는 개혁주의자들로부터 하는 공동전선들과는 목적부터도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공동전선으로는, 믿지 못할 세력들, 그저 온건하고, 개혁주의적인 세력들이나 하는거다. 그들로부터 함께하면서도, 그들을 지지하는 사람들로부터 우리 편으로 끌어당기고자 공동전선들을 맺는거다. 그런데도 사노준, 사노련 같은 급진좌파들은 다소 종파성마저 있다보니, 정작, 공동전선들로부터도 필요한 상황들에서는 공동전선을 거부하고는 했다. 우리는 개혁주의자들로부터도 매우 과감하게, 연대체를 꾸려서까지 함께 싸울 필요마저도 있었는데, 종파적으로도 되기 쉽던 급진좌파들은 'N.G.O나 NL로부터는 조금도 함께하고는 싶지도 않다면서', 공동전선들을 거부해서 운동들을 건설하는데에도 조금이나마 문제들 마저된다. 비록 짜증나더라도, 그저 온건했거나, 개혁주의적인, 세력들로부터도 협력해야만 했었고, 그러나 비판으로도 필요할 때는 건설적인 비판들을 하는 식으로라도, 운동들을 건설해야만 했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고치는 가운데.



2006.



3주 전만 해도 지중해항구이자 레바논의 수도인 베이루트는 상업활동들로 시끌벅적했다. 그러나 그 뒤로는 지금까지도 베이루트주요 수출품들은 시온주의 살인자들의 공습들을 피해서 필사적으로 탈출하는 북미인들과 유럽인들로 된 피난민들에 행렬이다. 이스라엘 수상이던 에후드 올메르트는 이스라엘 국방군들이 "세계에서 도덕심이 가장 투철하다" <예루살렘포스트>, 6월 1일>라고 엄숙하게 말했다. 그런데도 이스라엘 군들은 레바논을 20 후퇴시킬 용의마저 있다고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이건 15 내전으로도 피폐해진 레바논에 과거염두해 둔 발언이었다. 레바논은 내전으로도 신음하고 있던 1982 6 이스라엘 국방장관이던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군들 베이루트로 진군하게 했다. '갈릴리 평화작전' 이란 이름으로 침략 행위 레바논, 이스라엘에 국경지대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하던 팔레스타인해방기구 소속 카투샤 로켓 부대를 레바논 쪽으로 밀어내고자 제한군사개입이라고 애초선전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목적은 종교적이지는 아니한 민족주의 단체이던 팔레스타인해방기구들을 제압하고 레바논 이스라엘 보호령으로 두려는 이었다. 침공으로 인해 이스라엘 군은 최소한 1 7천여 명을 살해했으나 팔레스타인해방기구제거하지는 못했다. 



이스라엘 군대의 잔인점령저항해서 나라 이슬람 소수파이던 시아에 깊이 뿌리내린 무장정치조직 '레바논이슬람교저항군' 헤즈볼라는 이렇게 탄생했다. 이스라엘 군 2000까지도 남부 레바논 일부점령하고 있다가 결국 헤즈볼라 게릴라들에 장기소모전굴복해서는 쫓겨났다. 이로써 헤즈볼라는 시온주의자 확실하게 패배하게 한 유일한 아랍 무장조직이라는 명예를 얻게 됐다. 이때부터 이스라엘 인종주의, 종족주의 지배계급패배에 대한 치욕을 맘에 품고 복수기회를 다짐으로 애타게 기다려왔다. 지금의 레바논 사태는 지난 1 팔레스타인 수니 무장정치조직이던 하마스 팔레스타인 자치의회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비롯되었다. 이스라엘 정보기관은 아라파트 팔레스타인해방기구약화하고자 1970년대 부터 팔레스타인 수니비밀리지원해왔다. 부패대중적 불신들에 허덕인 팔레스타인해방기구 정부는 폭넓 혐오대상이 되면서부터는 근래자치의회 선거에서도 하마스에게 패배했다. 가자지구라는 좁은 빈민가에서 살고 있던 100 에 팔레스타인 인민들에게는 삶 그저 고통스러울 뿐이다. 그러나 선거에서 승리한 하마스 정부구상하려 들자 미국의 지원을 받 이스라엘 극심경제제제를 가했다. 그리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14 명의 직원의 절반에게 줄 봉급이던 점령지역 관세수익으로는 5천만 달러몰수해버렸다. 2005 2 하마스는 이스라엘로부터 휴전을 선언했고 휴전으로부터는 16개월 동안이나 이어졌다. 그러나 이스라엘 없는 다수의 방관자들 뿐만 아니라 팔레스타인 저항투사들을 '선택해서 살해'하는 목적들마저도 결코 포기하지도 않았다. 이슬람 국가의 적십자사적신월사에 따르면 이스라엘 군은 2006 올해만, 4월과 5에만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저항투사 73살해했다. 이스라엘 군들의 포격으로 가자지구 해변에서는 그저 휴가를 즐기던 팔레스타인 일가족 7명이 살해되는 불미스러운 사건마저 일어나자 하마스는 6 10 자신들이 선언했던 휴전마저 철회했다. 이스라엘 사건에 대한 책임을 부인하면서도 중립단체들에 대한 사건조사마저 허용하지도 않았다. 



이로부터 몇 주일 후인 6 24에는 이스라엘 가자지구에 진입해서는 어느 의사와 그에 형제까지도 납치했다. 대부분에 서방언론들도 사건무시했다. 그러나 다음 날에도 팔레스타인 저항투사 케렘샬롬 이스라엘 초소공격해서는 이스라엘 상병 길라드 샬리트를 생포해서 보복하자 사건은 그제서야 세계 언론들로부터 1기사만 되었다. 사건 직후에도 이스라엘 가자지구에 연료공급하는 송유관 전부 차단하고 팔레스타인 인민 이스라엘로 진입하는 통로검문소를 전부 폐쇄한 뒤에야 공습과 포격을 개시했다. 6 28에는 이스라엘 공군기가 가자지구에 유일한 발전시설들을 파괴했다. 유엔 긴급구호 본부 책임자이던 얀 에겔렌트는 6 30에 "가자지구상황 특히 전기급수의 부족, 이것이 하수시설들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구호활동을 할 수 없는 사태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간이 겨냥이러한 '집단징벌'에는 제네바 협정에는 금지됐었다. 그러나 미국 시온주의자 국제법 위반행위를 그저 자유롭게 허용해왔다.



헤즈볼라 이스라엘 : 다윗와 골리앗 대결 2.



이스라엘 가자지구봉쇄한 지는 18 째 되던 7 12에는, 헤즈볼라 투사들은 이스라엘 북쪽국경에서 순찰 이던 이스라엘 급습해서는 군인들 3명을 죽이고 2명을 생포했다. 그리고 자신들을 추격하는 이스라엘 탱크탱크 안에 있던 4명의 군인들을 섬멸했다. 헤즈볼라 지도자이던 하산 나스랄라는 포로교환을 제안했으나 이스라엘 제안을 거부하고 베이루트와 남부 레바논에 공습을 시작했다. 또 레바논 남쪽 3분의 1 나머지 지역과 분리하기 위해서 베이루트 공항, 교량, 주요 고속도로 사회기반시설 찍어서 폭격했다. 2005 5-6에 레바논 총선에서는 헤즈볼라 후보 선거연합을 맺은 아말파 후보 함께 레바논 의회 128 가운데 29석을 차지했다. '테러조직'들에 불과하다는 제국주의 언론들의 웃음는 달리 헤즈볼라는 레바논과의 궁핍한 시아 대중 속에서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베이루트의 외각지역은 아랍어로 교외라 불리는 다히야라고 한다. 이 말은 때때로 위험한 미로가 있는 빈민 밀집지역을 의미해왔다. 이 지역은 또한 헤즈볼라의 아성이다. 이곳의 지저분한 뒷골목에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둘러쳐진 빈민가옥들로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이 지역에서는 헤즈볼라는 행정당국을 종종 능가하는 조직이 되었다. 학교, 할인약국, 식품점, 고아원은 물론 주요 병원도 하나 운영한다. 쓰레기 수거와 이스라엘의 침공으로 파괴된 가옥들을 다시 세우는 일도 한다. 또한 이스라엘에 저항하다 사망한 젊은 투사들의 가족들도 부양한다. 결국 헤즈볼라는 레바논 국민 25만 명들에게 혜택을 베풀고 있으며 이 나라에서는 두 번째 규모로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 7월 16일.



이스라엘 군들은 남부 레바논의 시아파 거주지역을 공습하면서부터 민간인들에게 피난을 떠나거나 폭탄에 맞아 죽거나 둘 중의 하나를 택하라고 경고했다. 제국주의 언론들은 이 경고를 이스라엘의 인도주의 조치라고 선전하면서부터는 시온주의 학살자들의 '인종청소'를 은폐하고 있따. 이스라엘 정부는 궁핍한 시아파 피난민들이 이슬람교의 드루즈파와 수니파 그리고 기독교인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대대적으로도 유입되기 시작하면 헤즈볼라에 대한 적대의식은 격화될 걸로 예상한 듯했다. 그러나 지금까지에 분노의 대부분은 이스라엘 군들에게 퍼부어졌다. 전쟁이 끝나면 시아파 투사들을 억압할 비용들을 부담할 반괴뢰정권들이 베이루트들에 수립될 것이라는 이스라엘 지배계급들의 소망에는 물거품마저 되었다. 이 바람은 그들에 오랜 소망이었다. 



1955년 이스라엘의 국부 다비드 벤구리온은 '기독교도 장교'를 독재자로 레바논에 앉히자고 제안했다. 모레 샤레트는 이 생각들이 레바논에 대한 완전한 무지에서 나온 소산이라는 걸 보여주며 그의 제안마저 거부했다. 그러나 이로부터 27년이 지나서야 아리엘 샤론은 똑같은 생각을 실현하고자 했다. 바샤르 제마옐은 레바논의 대통령으로도 앉혀졌으나 곧 암살되었다. 그의 형제였던 아민은 대통령직을 승계한 후로는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체결했으나 곧바로 권력에서는 밀려났다. 그런데도 바로 이 인물은 지금까지도 이스라엘의 침공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우리 아브네리, <진정한 목적>, 7월 17일.  



이스라엘 학자 탄야 라인하트는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은 영토 확장을 시도해온 시온주의 역사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옛 기억이 있을 만큼 나이가 든 모든 이슬라엘인처럼 레바논인들도 알고 있다. 벤구리온의 시온주의 비전에 따른다면 이스라엘 국경은 자연경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동쪽으로는 요르단 강, 북쪽으로는 레바논의 리타니 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1967년에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영토를 점령하면서 요르단 강을 장악했다. 그러나 리타니 강을 국경으로 삼으려는 모든 시도는 지금까지도 실패했다. 2000년 이스라엘 군의 남부 레바논 철수 당시 나는 이곳을 다시 침공할 계획들이 이미 마련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스라엘의 군사적 비전에 따르면 일단 남부 레바논에서 주민들을 몰아내야 한다고. 이것은 1967년에 시리아 영토였던 골란 고원을 이스라엘이 점령했을 때와 같은 수법이었다. -<이스라엘의 새로운 중동>, <카운터펀치>, 7월 26일.



1967년 단 엿새 동안 이스라엘은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 군대들을 물리치고 시리아의 골란 고원과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를 빼앗았다. 동시에 가자 지구와 요르단 강 서안도 차지했다. 그러나 남부 레바논을 18년이나 점령하면서도 헤즈볼라를 박멸하지 못한 채로 2000년 이스라엘 군들은 쫓겨났다. 그러자 이스라엘에는 '월남전증후군'의 유사현상도 발생했다. 레바논의 늪에 빠져 또 다시 허우적거릴 경우 여론과 군대가 가만히 있지는 않을 것이다. 이스라엘 군들은 대체로 방어수단이 없는 가자지구들의 민간인들에 대해서는 장기소모전에 들어갈 준비가 되었는지는 몰라도 레바논만큼은 완전하게 박살내기를 원했다. 지금까지도 헤즈볼라 투사들은 침략군에 심각한 타격들을 입히면서도 자신들에 비해 인원수와 장비가 압도적으로 우세한 이스라엘 군들도 무적도 아니라는 걸 증명했다. 지금까지도 헤즈볼라의 원시적 단거리 로켓 수백 발들이 북부 이스라엘에도 떨어졌고 일부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했었다. 헤즈볼라 게릴라 수천 명들이 끈질기게 저항하자 시아파는 물론이고 수니파, 무종파 아랍인들까지도 포함해서 아랍세계 전체마저 흥분했었다. 시온주의 억압자들에 대항해서 혁명가들은 헤즈볼라, 하마스에게 군사적인 지지를 보낸다. 그러나 이 반동종교정치운동들로부터도 더욱 권위를 인정받는 건 사회주의자, 여성, 동성연애자, 무신자들은 물론이고 봉건반동들인 이슬람교도들에 의해서도 통치되기를 원하지는 않는 모든 이들에게는 그저 불길한 징조들일 뿐이다.



1983년 레바논: 제국주의자들, 쫓겨나다.



신이 자신들을 선택했다는 선민사상에 젖은 이스라엘의 지배계급들은 이스라엘 군의 사상자 수가 심각하게 증대한다는 것을 아주 꺼리고 있다. 이 대문에 이스라엘 군들의 공세는 복잡하게 꼬이고 있다. 미국과 기타 제국주의 동맹국들도 비슷한 태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이스라엘들을 돕기 위해서 외국 군대들로 구성된 '평화유지군'을 레바논에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 대해 동의하면서도 자기 나라 군대를 제공할 용의는 없다.



평화유지군을 파견하기엔 시기상조라고 공언한 프랑스와 미국은 1982년 다국적군 구성에 참여했던 악몽에서는 아직 벗어나지도 모사고 있었다. 당시 이들은 이스라엘 침공 후 레바논 내전들에 평화유지군으로도 개입했다가 헤즈볼라와 치명적으로 뒤엉켰다. 1983년 10월 베이루트의 미 해병대 막사에 헤즈볼라가 자살폭탄 공격을 가했고, 미군 등은 서둘러 철수했다. 자살폭탄 공격들은 241명의 미군과 58명의 프랑스 공수부대원들을 죽였다. -<뉴욕타임즈>, 7월 25일.



제국주의자들을 레바논에서 몰아낸 1983년의 공격들은 이슬람교 반동들에 의해서 비록 수행되기는 했지만 제국주의를 진정으로 반대하는 모든 세력들에게도 환영받았다. 이 패배로부터에 영향들은 지금까지도 제국주의 지배집단 내부에서도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럼스펠드 독트린>이란 글에서 제이콥 헤일브룬은 이렇게도 말했다.



부시 행정부가 2003년 이라크를 선제공격하면서 이른바 파월 독트린은 완전하게 폐기되었다. 이것은 학자들처럼 쓸데없이도 사소한 것들을 따지는 문제가 아니라 공화당 내부가 근본적으로도 분열하는 문제였다. 파월들의 노선들은 그의 스승 와인버거들의 노선을 그대로 계승했다. 해병대 막사에 대한 자살폭탄 공격 직후에도 레바논 줄행랑을 정당홯하기 위해서 1984년 당시 미국방장관 와인버거는 이 노선들을 천명했었다. 이것은 전략적 굴욕 노선들이었다. 공화당들의 강경파 다수는 테러와의 전쟁에서도 미국이 지금까지도 겪고 있는 곤경들이 이 굴욕 노선에서부터 출발했다고 믿고 있다. -<뉴욕타임스북리뷰>, 4월30일.



아들 부시는 임기 중 허세를 부리기도 했으나 국내외에는 역사상 유레 없는 재앙들을 연속해서 겪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 점령으로도 군사적 우위를 자랑하던 미군들은 현재 지구상 대부분들에 지역으로도 분산되어서 위태로운 지경에 처했다. 이라크와 아프간에서 일찌감치 선언된 전쟁승리는 너무 낙관적이었던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미국과 그 동맹하수이던 군대들의 군사적 지위로는 천천히 그러나 꾸준하게 악화되어왔었다. 한편으로는 부시의 '반대자' 민주당에서는 '이스라엘은 스스로를 방어할 권리가 있다'는 근거로만으로도 시온주의자들의 범죄행위를 적어도 공화당만큼은 더욱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올 11월의 중간선거를 앞두고 부시의 이스라엘 침공지지는 그를 괴롭힐 또 하나의 골칫거리가 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시온주의자들의 전쟁범죄를 지지하면 국내는 아니더라도 국외에서 대가가 따르게 마련이다. 세계는 이스라엘 침공의 본질을 직시하고 미국을 비난하고 있다. 미국방부에서는 레바논 시아파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격들에 대해서도 이라크의 시아파가 미국·영국 점령군들에 대한 공격들을 재개할지도 모른다는 것 때문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이라크를 점령하고 있으나 만신창이가 된 제국주의 '연합군'들은 이라크 소수파이던 수니파의 저항투사들에도 맞서느라 기진맥진한 상태다. 그런데도 다수파이던 시아파가 점령군들에 대항해서 다시 들고 일어선다면 제국주의자들은 통제불능의 상황으로까지도 빠져들 것이다. 



시리아와 이란에서 손을 떼라!



백악관들의 거짓 선전꾼들은 헤즈볼라가 이란 그리고 이란의 정략적 동맹국인 시리아의 하수인들에 그저 불과하다고 암시한다. 그러나 헤즈볼라와 두 나라 사이의 관계에는 이스라엘과 미국 간의 관계와 성격이 아주 비슷하다. 아프쉰 몰라비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들은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다. 강대국들은 약소국들을 재정적·군사적으로도 지원한다. 그리고 지역의 문제들에 대해서 두 나라는 긴밀하게 협의한다. 이들은 가끔 밀실에서 서로 다툰다. 그러나 강대국들의 정치지도자들은 약소국들을 공개적으로도 비난하기를 꺼린다. 


-<www.salon.com>, 7월20일.



헤즈볼라에서는 이란으로부터 매년 약 일억 달러 상당의 자금마저도 쉽게 지원받는다. 그러나 이 조직들의 자금에 대부분에는 외국에 거주하고 있던 레바논인들의 성금에서 나온다. 지금의 레바논 사태를 핑계 삼아서 미국에서는 시리아와 이란을 공격할 수도 있겠다. 두 나라는 이미 몇 년 동안이나 미국에도 협박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최근 몇 개월 동안이나 부시 행정부에서는 이란이 어떤 종류든 핵능력들을 보유할 '위험성'들에 대해서는 반미치광이 같이도 선전공세를 퍼부었다. 혁명가들은 시리아의 바트당 세습독재체제나 이란의 종교지배체제를 정치적으로도 지지하지는 않지만 제국주의의 도발과 압박에 대해서는 두 나라를 군사적으로도 방어한다. 이 군사적 방어에는 두 나라가 핵무기를 비롯해서도 효과적인 자기방어수단들을 보유할 권리를 옹호하는 것도 포함된다. 



중동사회주의연방으로 전진하자! 



시온주의 역사가 증명하고 있듯이 자본주의체제에서는 강대국들은 약소국들을 강탈해왔다. 그러나 지난 세기 이후에는 지금까지도 중동역사를 점철해온 종교적·민족적·인종적인 유혈사태는 고통과 불행밖에 가져다줄 것도 없다. 연속혁명 강령에 입각한 국제주의적 레닌주의 정당들의 지도하에서 일련들의 노동계급 혁명을 성공시키는 것들을 통해서만 중동들의 다양한 민족들 간의 갈등은 정당하고 공평하게 해결될 수도 있었다. 중동사회주의연방만이 거대한 유전들을 포함한 이 지역들의 자원들이 제국주의 석유메이저들과 이들의 하수인인 이스라엘과 아랍지배집단의 초과이윤으로 전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중동에서 노동자와 피억압 대중들의 통치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이스라엘 병영국가를 내부에서 붕괴시켜야 한다. 시온주의라는 인종주의에 오염되기는 했으나 유대인 노동자들도 아랍노동자들 그리고 기타 이 지역들의 피억압 인민들과 공통의 계급적 이해를 가지고 있다. 이 점들을 인식하면서부터 동시에 억압당하고 있는 팔레스타인 인민들을 방어하는 혁명운동만이 이 임무를 성취할 수 있다. 중동의 처절한 민족적·인종적·종교적 갈등들을 진보적 방식으로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혁명적 게급의식들이 필요하다. 세계노동운동들은 이 의식의 발전들을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들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프가니스탄/이라크의 제국주의 점령들을 적극적으로도 반대하고, 제국주의 공격에 대해서는 이란/시리아를 방어해야 한다. 가자지구/레바논에서 자행되고 있는 이스라엘 군들의 살인마적 공격들에 대해서 혁명가들은 하마스/헤즈볼라에서의 저항투쟁에도 군사적인 지지를 보내지만, 이들을 미화하거나 이들의 종교지배체제를 정치적으로도 지지하지는 않는다. 계급의식에 투철한 중동외부의 투사들은 이스라엘 군이 가자지구/레바논에서 살인과 파괴를 자행하는 동안 자신이 속한 항만/철도/운수 노동조합 등이 이스라엘로 향하는 전쟁물자를 처리하지도 못하게 투쟁해서는 위력적인 모범들을 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투쟁들은 제국주의자들과 그 동맹세력들의 야수적 행동들에 분노하는 이 지역들의 피억압 대중들에게 이슬람교들의 몽매주의 강령이라는 막다른 골목보다 질적으로도 우수한 정치 강령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시온주의자들의 테러가 가져온 음울한 혼란과 야만상태 속에서도 페르시아인, 쿠르드인, 아랍인, 기독교인, 이슬람교도인, 유대인 그리고 기타 이 지역들의 인종적·종교적 집단들이 함께 평화를 누리면서도 살 수 있는 길들을 찾을 수 있다는 며쳧 희망들의 불빛들이 보이고 있다. <뉴욕타임즈>들의 보도에 따르면 7월 16일 아랍인들과 유대인 이천여명들이 텔아비브에서 함께 시위를 하면서 이스라엘들의 레바논 침공들에 항의했다. 이스라엘들의 피비린내 나는 영토 확대정책 한가운데에서도 잔인한 시온주의 전쟁기구에도 반대하는 용기 있는 개인들이 있다는 것을 이 시위가 입증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역사적인 시기에는 많은 수들의 개인들, 심지어는 마르크스주의자들도 혁명의 가능성에도 이에 대해서도 회의감을 품을 수 있다. 그러나 인류에게는 다른 해결책들은 존재하지도 않는다. 1차 세계대전이라는 조직적 대중학살들이 이미 '따분하고 단조로운 일상'이 되었던 1916년에 독일의 위대한 공산주의자 로자룩셈부르크는 이렇게도 지적했다. "세계자본주의체제를 전복하는 것을 통해서만 착취, 억압, 전쟁을 끝장내는 것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사회주의자들은 기억할 필요가 있다."



현대 노동계급들은 자신들의 역사적인 임무를 의식하는 각 단계마다 엄청난 대가를 치러야만 한다. 이 계급들이 해방으로 가는 골고다의 길에는 무시무시한 희생들로 점칠되어왔다. 1848년 6월 혁명의 투사, 파리코뮌들의 희생자, 1905년 러시아 혁명들의 순교자 등 유혈의 그림자에는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파리코뮌들의 영웅들에 대해서도 마르크스가 서술했듯이 이들은 명예의 전장에서도 쓰러졌으며 "노동계급들의 거대한 심장 속에서도 영원하게 모셔질 것이다." 현재 모든 나라들의 수백만 노동자들이 치욕, 형제노동자들에 대한 살해, 자기파괴 속에서도 노에의 노래를 부르며 쓰러져가고 있다. 물론 이것들을 우리는 피할 수도 없다. 우리들의 운명은 그저 모세가 사막을 지나며 인도했던 유대인들의 운명과 다를 바 없다. 그러나 우리는 패배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과거의 경험을 통해 배우는 법을 잊어버리지도 않았다면 우리는 승리할 것이다. 

-로자 룩셈부르크, <유니우스 팸플릿>, 1916년.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