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도 아빠도 육아휴직 중 - 박봉 공무원 부부가 들려주는 공동육아 이야기
김호종 지음 / 미다스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협찬 #서평
>>
결혼하면 아이를 낳고 키우는 일이 자연스러운 일인 줄 알았다.
이런 생각도 다 옛날 말이다. 출산과 육아를 선택하는 요즘, 계획없이 출산과 육아를 시작한 우리 부부는 참 대책 없는 부모였다.
저자의 딸 호떡이는 임신을 계획하고 6개월만에 찾아 온 아기천사였다. 계획하면 다 되는 줄 알았던 임신은 저자 부부를 애태웠다. 임신을 계획할 때부터 기다려 온 호떡이는 구순구개열을 지닌 아기였고, 돌이 되기 전부터 검사와 진료, 수술을 해야 했다.
아내는 육아 휴직 중이었지만, 저자는 아기를 데리고 병원에 가야 하는 날이면 직장에 핑계를 대고 나와야 했다. 아무리 이쁜 내 새끼라고 해도 점점 지쳐가던 그때, 아내가 한 말을 떠올린 저자.
"진짜, 육아휴직을 할까?"라고 고민해 보는데...!!
대책없이 시도한 공동 육아 휴직이 아니었다. 두 부부가 고정적으로 받게 될 월급과 국가 지원금, 결혼하자마자 모으기 시작한 적금까지 끌어모아, 세가족이 먹고 살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까지 돌려본 후에야 결정할 수 있었다고.
오죽했으면 육아냐, 돈이냐 하는 선택의 기로에서 햄릿을 떠올렸을까.
'조직 내 부적응자', '승진 포기자'라는 꼬리표가 달리는 아빠 육아휴직. 버젓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음에도 신청하지 못하는 이유기도 하다.
저자는 큰 사고만 치지 않는다면 평생 직장이라 할만한 공무원인데도 불구하고, 편견은 똑같았다고 한다.
하지만, 1년 6개월은 평생 일하는 기간 중 고작 18개월이었고, 저자는 이 시간을 "자녀가 부모에게 선사하는 인생의 안식년"이라 표현했다.
평소에 해보고 싶었던 것들도 시도하고, 자기계발을 통해 생각지도 못한 책 출간도 이뤄냈다고. 물론 부부 간의 협의가 있어야 했지만, 하루 중 서로에게 자유 시간을 선물하기도 했단다.
저자 부부가 현명했던 부분이 서로의 육아 방침을 강요하지 않고, 각자가 잘 하는 분야에서 최선을 다 했다는 점.
아이를 잘 아는 엄마가 주양육자가 되고, 엄마를 서포트하는 위치에서 아빠는 틈틈히 아이와 함께 할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꼭 부부가 육아 휴직을 동시에 하지 못하더라도, 바람직한 공동육아를 살펴 볼 수 있는 책이라 출산과 육아를 앞둔 예비 부부에게 추천할 만하다.
>>
>밑줄_p26
"우리 같이 육아휴직 할까?"
"뭐...뭐라고? 뭐 하자고?"
"동반 육아휴직 말이야. 같이 육아하면 우리나 아이에게 더 의미 있지 않을까?"
처음에는 농담인 줄 알았습니다. 근데 이 사람은 꽤 진지해 보였습니다.
>밑줄_p65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하나인 '햄릿'에 이런 명대사가 있습니다.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저는 당시의 제 고민을 이렇게 표현해 보고 싶습니다. "육아휴직이냐, 돈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 이 서평은 저자 김호종(@wisdom_grin)로부터 협찬 제안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엄마도아빠도육아휴직중 #김호종 #미다스북스
#에세이 #육아에세이 #아빠육아 #공동육아
#신간도서 #신간에세이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서평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