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 유동하는 근대 세계에 띄우는 편지
지그문트 바우만 지음, 조은평.강지은 옮김 / 동녘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제목부터도 일단 따끔따끔하다. 게다가 근대성이라는 개념에 천착해온 노학자가 근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띄우는 44통의 편지라니. 제목이 따끔해온던 차에 괜히 따스해지는 느낌이 드는 책이다. 


'유동하는 근대 세계에 띄우는 편지'들은 <여성들을 위한 라 레푸블리카> 라는 이탈리아 주간지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근 2년간 실었던 독자들에게 보내는 편지들을 모은 것이다. 이렇게 친절히 한글로 번역된 책이 아니었다면 읽지 못했을 편지들을 지금 내가 받아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유동하는 이 세계를 조금은 실감할 수 있을 것도 같다. 


이 시대에 던지는, 그리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띄우는 학자들의 이론 내지 주장은  차고 넘치지만, 근대성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깊게 파고들어간 학자가 바라본 시대의 통찰이라는 점에서 책은 충분히 제 몫의 가치를 발휘하고 있다. 


이 시대를 '유동하는 근대'로 정의내린 저자는 또 하나의 시대 정의를 내놓고 있다. 책의 제목이기도 한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은 연결과 만남이 끊임없이 이어지는 지금의 세대가 혼자있음의 시간을 견디지 못하는 세태를 날카로운 시선으로 잡아내고 있다. 또한 트위터, 프라이버시, 10대의 문화, 유행, 쇼핑 등과 같은 노학자가 따라잡기 힘들 것 같은 최신 사회경향을 짚어내는 안목과 건강, 교육, 위기 등 다양한 키워드로 사회현상을 진단하는 저자의 넓은 스펙트럼은 44통의 편지의 소재로 고스란히 묻어난다. 


유동하는 근대와 고독과의 연관성은 저자의 생각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추론일 수밖에 없다. 끊임없이 혁신하고 변화하라는 명령에 의해 살아가는 우리는 좁고 깊은 관계를 유지할 수가 없다.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변화는 유동하는 근대 속에서 살아가는 지금의 세대들에게 나타나는 너무나도 자연스러운 결과인지도 모른다. 


유동하는 시공간에 속해 있을 수밖에 없는 지금의 사람들은 그렇다면 고독의 실종을 필연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일까. 저자는 어쩌면, 44통의 편지를 통해 잃어버린 그 시간들을 찾으려는 노력에 대한 당부를 넌지시 심어둔 듯 하다. 그리고 바우만으로부터 받은 44통의 편지를 읽어가는 그 순간, 당신은 어쩌면 벌써 그 노력의 첫걸음을 내딛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모든 불행의 근원은 인간에게는 조용히 혼자서 자신의 방에서 머무를 수 있는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라던 파스칼의 예언같은 이 말이 바우만의 이 책을 통해 비로소 확인된다는 것에 괜히 위로를 받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