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이기호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간단한 수상작을 읽으러 들어간 서점에서 나도모르게 뽑아든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지>-이하 갈팡질팡- 는 날 후회하지 않게 만들었다. 이 책을 뽑아든 건 며칠 후에 있을 캠프의 초대작가가 이기호작가였기 때문이었다. 미디어다음에서 연재하고있던 ‘사과는 잘해요’도 굉장히 재밌게 읽고있었고 기왕 볼 사람 책 읽고 가자는 심정이었다. 
 

  책 얘기를 하기 전에 이기호작가의 문학강연을 먼저 풀어보고싶다. 이기호작가는 문학으로 모여있는 우리들에게 “왕따들”이라며 말을 시작했다. 이기호작가가 문창과를 두루섭렵하고 다녔지만 늦게 대뷔해서 일까. 이기호작가는 참 따뜻해보였다. 이기호의 글 자체도 굉장히 따뜻하다. 갈팡질팡은 자전소설에 가까웠는데 그의 모든 것을 녹여 만든 책 같다는 생각을 했다. 
 

  갈팡질팡은 실험작과 자전작이 섞여있었다. 그중에서 내가 제일 인상깊게 본 것은 ‘야채볶음흙’이었다. 나중에 알게된 사실이지만 이기호작가는 흙을 먹어보지 않았다고 한다. 어쨌든 극단적으로 흙을 먹어대는 모습은 나마저 군침이 돌게했다. 그 단편을 다 읽었을 때 난 입안에 가득 든 침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 사실 한번 먹어봐도 괜찮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새로운 시도를 한 ‘나쁜 소설 - 누군가 누군가에게 소리내어 읽어주는 이야기’도 재밌게 읽혔다. 그야말로 새로운 소설이었는데 읽어주는 이야기를 가장하면서 자신의 소설에 끌어들이고 있었다. 이기호의 흡입력이 잘 드러난 작품이었다. 
 

  자전적 소설의 최고를 보여준 것이 ‘수인(囚人)’이었다. 소설가는 땅파는 사람이다. 이기호는 간단히 그렇게 얘기하려고 한 게 아닐까. 이기호의 글쓰기 자체가 녹아있는 글이라 읽을때마다 두근두근거렸다.

  갈팡질팡을 읽고, 그의 강연을 듣고 난 이기호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갈팡질팡을 비롯한 그의 소설을 섭렵하고 다녔다. 이제 그도 장편을 낼 차례이다. 미디어다음에서 연재하고 있는 ‘사과는 잘해요’에 기대를 걸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신경숙이라는 작가 이름만 들어도 난 가슴 설레곤 했다. ‘바이올렛’으로 알게된 신경숙이라는 작가는 책 한 권 한 권 내 정신속으로 스며들고 있었다. 하지만 난 “신경숙 대표작이 뭔데?”라고 물어오는 친구의 물음에 대답할 수 없었다. 다른 사람들이라면 ‘풍금이 있던 자리’라던가 ‘외딴방’을 말했을테지만 난 그 분류에 동의할 수 없었다. 그 두 작품보다 더 문학성 있는 작품들이 많았다. 하지만 그 작품들은 이름이 생경하게 느껴지곤 했다. 하지만 이번에 나온 ‘엄마를 부탁해’는 명성과 문학성 모두를 어우를 수 있는 신경숙 최고의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 소설의 배경은 신경숙작가의 실제 시골집이다. 이를테면 자전소설이다. 신경숙 작가의 글에서는 늘 ‘시골집’이라든가 딸을 글씨쓰는 사람이라고 소개하는 ‘아버지’ 그리고 ‘어머니’가 나오곤 하지만 이렇게 적나라하게 드러낸 작품도 없을 것이다. 

  신경숙의 글에는 새로운 시도 (이를테면 박민규나 김연수, 이기호같은)는 없지만 그녀의 세계를 따뜻하게 나타내는 시선과 문체가 있었다. 신경숙은 덩사 기성작가들의 글을 모두 필사한 것으로 유명했다. 그래서일까. 신경숙작가의 문체는 부드럽고 감싸드는 매력이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석제의 책을 두세권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이 시대의 이야기꾼’ 이라던가 ‘한국의 파울료 코옐료’ 라는 칭호는 너무 과분한 것이 아닐까. 그냥 시골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성석제의 소설에 그런 칭호가 가당키나 한 것일까. 하지만 그런 생각은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를 읽으며 깨어졌다.


  사실 성석제의 문체가 나에게 맞지는 않다. 하지만 그렇다는 건 ‘그만의 문체’가 있다는 것이다. 성석제의 소설을 처음 접했을 때 난 낯설다, 라고 느꼈다. 소제도 구성도 그렇게 특별할 게 없는데 왜일까 생각해보니 그 낯설음은 문체에서 오는 것이었다. 성석제의 문체는 읽는데 불편하든 그렇지 않든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있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중에서 표제작인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는 정말 그를 인정할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어느 것에나 부족했던 농부 황만근을 미인 혹은 성인으로 만드는 능력, 그것은 성석제만의 능력이 아닐까 한다. 난 이 단편집을 읽으며 책 넘기는 손을 멈추고 숨을 골라야 할 때도 있었다. 성석제는 정말 뛰어난 이야기꾼이었다.

  하지만 그의 칭호에대해 전적으로 동의하진 않는다. 성석제의 소설세계가 아직 ‘시골풍경’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 아무리 우리나라의 이야기꾼이라도 사유를 넓힐 필요가 없지 않다.

  그런 생각을 해본다. 성석제작가가 아닌 성석제 아저씨 옆에 앉아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 분명 성석제작가는 말할 것이다. “옛날 옛날에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육점 여인에게서
윤대녕 지음 / 하늘연못 / 1996년 10월
평점 :
절판



  입시를 준비하면서 여러 곳의 교수진을 보게 되었다. 개중에 눈에 띈 작가가 윤대녕이다. 사실 나는 윤대녕작가를 잘 알지 못했다. 아니, 부끄럽지만 책을 한 권도 읽지 않았었다. 도서실에 윤대녕 소설이 3권이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짧은 소설집(이하 콩트집) [정육점 여인에게서]였다. 소설집인 줄 알고 집은 그 책은 짧은 소설, 즉 꽁트집이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콩트집이 나오는구나 생각하며 난 책을 읽어 나갔다.

 

  이 책에서는 사랑을 믿는 윤대녕의 따뜻한 시선을 볼 수 있었다. 콩트에서 이렇게나 따뜻하게 인물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게 신기했다. 내 콩트에는 언제나 인물이 평면적으로 나왔다. 아무리 따뜻하게 보려고 해도 짧은 호흡에 인물이 죽어나기기 일쑤였다. 숨쉬는 캐릭터, 그게 윤대녕의 힘이 아닐까한다. 윤대녕의 캐릭터가 살아있는 이유는 모든 평범한 사람들의 교집합에서 인물을 뽑아내기 때문은 아닐까. 전형적인 부부, 전형적인 연인... 그 속에서 따뜻한 사랑을 찾아내는 윤대녕의 시선이 부럽다.

 

  하지만 모순점이 있다면은 윤대녕의 시선이 너무 따뜻해서 냉소적인 나의 마음에 확 와닿지 않는다는 점이다. 윤대녕에게서 [코카콜라 연인] 같은 약간의 환상성을 바라기도 했었다. 와닿지 않은 문학은 '아 그렇구나'하고 흘려버리는 내 성격상 잘 맞지 않는 책으로 분류되어 버렸다. 내 시선이 조금더 깊어지면, 그때 '난 어렸었구나'하며 다시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문학을 하지 않는 친구들을 보면 장편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나도 물론 장편을 좋아하지만 단편, 콩트가 갖는 매력도 만만찮다고 말한다. 짧은 소설에 담아내는 작가의 이야기, 그리고 그 이야기를 상상해나가는 독자의 상상력. 우리나라에도 콩트집이 많이 나와 대중에게 사랑을 받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순덕 성령충만기
이기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기호작가를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우연히(?) 가게된 청소년 문예캠프 초청강연 선생님으로 이기호 작가가 오게 되서였다. 어느날 서점에 갔다가 정말 충동적으로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지>-이하 갈팡질팡-를 사 읽고 이기호작가의 강연을 듣게 됐다. 솔직히 <갈팡질팡>은 재밌네, 하고 넘어가버린 작품이었다. 하지만 이기호작가의 강연을 듣고나서 이기호 그 자체의 매력에 빠져버렸다. 그는 뼛속까지 이야기꾼인 것 같았다. "왕따들에게 무슨 얘기를 해줘야 할까 고민하면서 왔다"는 이기호작가의 강연은 정말 너무나도 재밌고, 감명깊었다. 
 
  어쨌든 강연을 듣고 몇 주가 지나 <최순덕 성령충만기>를 지인에게 빌려 읽게 되었다. 제목때문에 종교코너(?)에 꽃히기도 했다는 그 책은 이기호의 등단작품 "버니"로 시작하여 "발밑으로 사라진 사람들"로 끝났다. 이 소설책을 끝까지 읽으면서 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역시 이기호작가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등단작 "버니"는 명성답게 잘 쓰여진 소설이었다. 레퍼가 된  버니, 아니 순희의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은 삐딱하고 약한 것들을 좋아하는 이기호의 취향이 잘 드러난듯했다.  
   
 

내 별명은 바구니 물을 담으면 물이 새고
쌀을 담으면 쌀이 새는
대나무로 만든 가벼운 바구니
내 머리가 가벼워 내 별명은 바구니
태어날 때부터 가벼워 가볍게 죽을 것 같았던
내 별명은 대바구니
아무것도 몰라 아빠도 몰라 엄마도 몰라
사는 것도 몰라 세상을 몰라
아무도 나에게 말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았어
하지만 난 이렇게 말하지
나도 가볍고 너희들도 가벼워
내 말도 가볍고 너희 말도 가벼워
나도 바구니 너희도 바구니 물을 담으면 물이 새고
쌀을 담으면 쌀이 새는
세상은 바구니

 
   

  반복되는 문장은 이야기가 진행될 수록 점점 와닿아갔다. 이기호는 역시 타고난 이야기꾼 같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단편은 "헴릿 포에버"였다. 이번에도 주인공은 '시봉'이었다. 삐딱하고 불쌍한 케릭터의 원형 그게 시봉이 아닐까한다. 여담이지만, 이기호소설가는 '시봉'이 그냥 자신의 친구 이름이었다고 했다. 헴릿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망령, 그리고 시봉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망령이 겹치면서 참 많은 감정이 일게했다.

   발밑으로 사라진 사람들도 참 마음에 드는 단편이었다. 소를 닮은 우석이와 검은 소. 그리고 씨감자. 그 잔상들이 겹쳐 소름끼치도록 와닿았다. 맨 마지막 이기호작가의 음성을 듣고 나서 시맨트를 깨고 땅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정말 이기호 작가가 말하면 무엇이든 될 거 같았다. 예를들어 <갈팡질팡>의 "야체볶음흙"을 읽으며 흙을 먹을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한 것 처럼. 역시 이기호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그리고 마지막을 장식하고 싶은 건 표제작인 "최순덕 성령충만기" 의고체를 사용해서 반어적 느낌을 들게했다. 끝내 아담과 결혼하게되는 최순덕을 보며 웃음을 자아냈다.

   요즘 우스갯소리로 친구들에게 "나 이기호랑 결혼할 거야."라고 한다. 이기호작가에게 그만큼이나 매력을 느낀 거였다. 이번기회에 <최순덕 성령충만기> 와 <독고다이>도 구입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 이기호작가의 매력에서 헤어나오지 못할 거 같다. 그의 이야기, 그의 목소리 이제 그에게 주목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