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덕 성령충만기
이기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기호작가를 처음 접하게 된 계기는 우연히(?) 가게된 청소년 문예캠프 초청강연 선생님으로 이기호 작가가 오게 되서였다. 어느날 서점에 갔다가 정말 충동적으로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줄 알았지>-이하 갈팡질팡-를 사 읽고 이기호작가의 강연을 듣게 됐다. 솔직히 <갈팡질팡>은 재밌네, 하고 넘어가버린 작품이었다. 하지만 이기호작가의 강연을 듣고나서 이기호 그 자체의 매력에 빠져버렸다. 그는 뼛속까지 이야기꾼인 것 같았다. "왕따들에게 무슨 얘기를 해줘야 할까 고민하면서 왔다"는 이기호작가의 강연은 정말 너무나도 재밌고, 감명깊었다. 
 
  어쨌든 강연을 듣고 몇 주가 지나 <최순덕 성령충만기>를 지인에게 빌려 읽게 되었다. 제목때문에 종교코너(?)에 꽃히기도 했다는 그 책은 이기호의 등단작품 "버니"로 시작하여 "발밑으로 사라진 사람들"로 끝났다. 이 소설책을 끝까지 읽으면서 난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역시 이기호작가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등단작 "버니"는 명성답게 잘 쓰여진 소설이었다. 레퍼가 된  버니, 아니 순희의 이야기를 다룬 이 작품은 삐딱하고 약한 것들을 좋아하는 이기호의 취향이 잘 드러난듯했다.  
   
 

내 별명은 바구니 물을 담으면 물이 새고
쌀을 담으면 쌀이 새는
대나무로 만든 가벼운 바구니
내 머리가 가벼워 내 별명은 바구니
태어날 때부터 가벼워 가볍게 죽을 것 같았던
내 별명은 대바구니
아무것도 몰라 아빠도 몰라 엄마도 몰라
사는 것도 몰라 세상을 몰라
아무도 나에게 말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았어
하지만 난 이렇게 말하지
나도 가볍고 너희들도 가벼워
내 말도 가볍고 너희 말도 가벼워
나도 바구니 너희도 바구니 물을 담으면 물이 새고
쌀을 담으면 쌀이 새는
세상은 바구니

 
   

  반복되는 문장은 이야기가 진행될 수록 점점 와닿아갔다. 이기호는 역시 타고난 이야기꾼 같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단편은 "헴릿 포에버"였다. 이번에도 주인공은 '시봉'이었다. 삐딱하고 불쌍한 케릭터의 원형 그게 시봉이 아닐까한다. 여담이지만, 이기호소설가는 '시봉'이 그냥 자신의 친구 이름이었다고 했다. 헴릿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망령, 그리고 시봉을 바라보는 아버지의 망령이 겹치면서 참 많은 감정이 일게했다.

   발밑으로 사라진 사람들도 참 마음에 드는 단편이었다. 소를 닮은 우석이와 검은 소. 그리고 씨감자. 그 잔상들이 겹쳐 소름끼치도록 와닿았다. 맨 마지막 이기호작가의 음성을 듣고 나서 시맨트를 깨고 땅을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정말 이기호 작가가 말하면 무엇이든 될 거 같았다. 예를들어 <갈팡질팡>의 "야체볶음흙"을 읽으며 흙을 먹을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한 것 처럼. 역시 이기호는 타고난 이야기꾼이다.

   그리고 마지막을 장식하고 싶은 건 표제작인 "최순덕 성령충만기" 의고체를 사용해서 반어적 느낌을 들게했다. 끝내 아담과 결혼하게되는 최순덕을 보며 웃음을 자아냈다.

   요즘 우스갯소리로 친구들에게 "나 이기호랑 결혼할 거야."라고 한다. 이기호작가에게 그만큼이나 매력을 느낀 거였다. 이번기회에 <최순덕 성령충만기> 와 <독고다이>도 구입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 이기호작가의 매력에서 헤어나오지 못할 거 같다. 그의 이야기, 그의 목소리 이제 그에게 주목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