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석제의 책을 두세권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이 시대의 이야기꾼’ 이라던가 ‘한국의 파울료 코옐료’ 라는 칭호는 너무 과분한 것이 아닐까. 그냥 시골의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성석제의 소설에 그런 칭호가 가당키나 한 것일까. 하지만 그런 생각은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를 읽으며 깨어졌다.


  사실 성석제의 문체가 나에게 맞지는 않다. 하지만 그렇다는 건 ‘그만의 문체’가 있다는 것이다. 성석제의 소설을 처음 접했을 때 난 낯설다, 라고 느꼈다. 소제도 구성도 그렇게 특별할 게 없는데 왜일까 생각해보니 그 낯설음은 문체에서 오는 것이었다. 성석제의 문체는 읽는데 불편하든 그렇지 않든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있다.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중에서 표제작인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는 정말 그를 인정할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어느 것에나 부족했던 농부 황만근을 미인 혹은 성인으로 만드는 능력, 그것은 성석제만의 능력이 아닐까 한다. 난 이 단편집을 읽으며 책 넘기는 손을 멈추고 숨을 골라야 할 때도 있었다. 성석제는 정말 뛰어난 이야기꾼이었다.

  하지만 그의 칭호에대해 전적으로 동의하진 않는다. 성석제의 소설세계가 아직 ‘시골풍경’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 아무리 우리나라의 이야기꾼이라도 사유를 넓힐 필요가 없지 않다.

  그런 생각을 해본다. 성석제작가가 아닌 성석제 아저씨 옆에 앉아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 분명 성석제작가는 말할 것이다. “옛날 옛날에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