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은 질문에서 시작된다 - 청소년이 묻고 박경서 대사님이 답한 민주주의와 인권
박경서 지음, 김상민 그림 / 생각을말하다 / 2025년 8월
평점 :

인생에서 질문을 마주하고 질문을 생각해 내고질문이 대화로 이루어지는 삶을 살아가고 싶다. AI 시대 우리에게 생각의 힘이 너무 중요해졌다. 그냥 질문이라는 제목에 끌린 책이었는데 이 시대를 관통하신 거장을 만난 기분이다. 현인 할아버지 같은 느낌. 손자와 다정하게 대화를 나누는데 함께 듣고 있는 느낌이 드는 책이다.


교육계에 계신 분들의 추천서를 통해 저자가 얼마나 훌륭한 분이신지 짐작이 되었다. <인권대사>라는 직함이 제일 잘 어울리실 거 같다.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인류의 한복판에서 풍파를 겪고 또한 우리의 지도자로 세계의 국제기구 WCC에서 아시아 국장으로 일하시며 세계적인 인물들을 돕고 만나며 살아오셨다. 이 책의 목적은 앞으로 이 세상의 꿈나무들에게 지나온 역사 한국이 어떻게 민주화를 이루었고 <민주주의 > <인권>에 대해 알려주고 싶은 내용을 학생 <민주>함께 대화하는 형식으로 친근하며 쉽게 풀어내셨다.
1장 인권대사 박경서가 궁금해요
2장 민주주의와 인권은 무엇인가요
3장 민주주의와 인권은 어떻게 지키나요
4장 누구나 인권 지킴이가 있다
우리는 탄핵으로 통해 두 명의 대통령을 하야시키고 새롭게 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뽑은 나라이다. 솔직히 정치에 대해 침 무관심한 사람이다. 어렴풋이 역사 시간에 배웠던 역사 지식은 아련하다. 당연하다 여겼던 민주주의또한 얼마든지 독재자의 손아귀 속에서 힘없는 국민으로 살아갈수도 있었다고 생각하니 아찔하다.

1장은 박경서 저자님의 역사 속에서 살아온 궤적을 담고 있다. 순천에서 태어나고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이었으며 판사가 되라는 아버지의 말씀 단지 그 당시에 써야 했던 판사 고깔모자가 맘에 안 들어,기자가 되고 싶고 사회에 대해 관심으로 서울대 사회학과에 입학하셨다. 당시는 <이승만> 정권에 속하던 시절이었다.
솔직히 이승만 대통령은 초대 대통령만으로 기억한다.독재 정권은 전두환 대통령에서 시작된 줄 알았는데 이승만 대통령 또한 개헌을 통해 계속 대통령이 되려는 인물이었다는 게 중고등시절 배웠겠지만 새로운 놀라운 사실이었다. <4.19 혁명> 을 통해 수많은 시민과 어린 학생들의 용감한 시위를 통해 대통령이 물러나 시민의 승리의 역사였다. 촛불 시위 등 최근의 시위까지 생각해 보며 우리나라의 시위의 역사요! 이를 통해 민주화가 형성된 나라였구나. 정치인들이 제대로 하지 않으면 국민들은 가만히 있지 않는구나라는 정서가 한국에 뿌리 잡힌 거 같아 자랑스러웠고 그래서 우리의 민주주의가 이만큼 발전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저자는 영어를 좋아하고 그 당시 통역을 할 기회를 얻어 독일 정치인 훗날에는 대통령이 되신 분을 만나 최선을 대하는 태도에 감명받는 독일 부부는 저자에 세 유학을 권하고 저자가 그곳에서 공부하도록 도왔다. 옛날에 이러한 기회를 통해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에게 기회가 열렸다.
저자는 또한 국제기구에서 일하며 아웅산수지 여사, 달라이 라마의 일화를 소개해주셨다. 만남을 통해 인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고 대의를 선택하신 분들을 만나보게 되었다.


인권은 어떻게 시작하였는가? 조선은 신분제의 나라였고 현재까지도 아직 신분제가 철폐되지 않은 나라도 있고 겉모양은 시민의 나라이지만 여러 장치를 통해 자신의 권력을 오랫동안 유지하려는 독재들이 아직 존재한다.
신분제 사회가 사라지면서 ‘너의 부모가 누구냐?에서 ’너는 누구냐’로 바뀐 것이지
한국 사회는 조선시대의 신분제가 일제강점기에 의해 해체되고 전쟁을 겪으며 강대국에의 재편되고 사회가 개혁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편의에 의해 재조직된 부분들이 많아 우리 안에 급격한 진통과 또한 빠른 민주화를 이루어진 것 같다. 서양의 역사 속에서도 민주화의 과정이 오랜 세월 동안 이루어졌다. 그 과정에서 민주화를 위해 용기 있는 분들을 통해 역사는 다시 재편될 수 있는 것 같다.

민주주의와 인권이 더 발전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 <사랑> <책임>이라는 두 단어 꼭 박혔다. 민주주의의 반대말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독재주의라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개인주의적인 욕망, 소수의 욕망을 위한 정치를 하다 보면 전쟁을 야욕으로 그래서 일반 시민들을 전쟁 통으로 몰아넣음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 잘 알고 있다.
미국,영국,프랑스,독일등 많은 선진국들의 눈부신 경제성장은 성숙한 민주주의, 인권에 대한 존중이 사회에 뿌리내렸기에 가능했던 거야!
‘평화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내일 평화가 오지 않는다해서 오늘 우리의 노력을 멈추어서는 안된다.
민주: 도둑질이나 나쁜짓이 아닌 이상,무엇이든 내게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하면세상애 기여하는 거란 말씀이시죠?
박경서:그렇지,그러면 돼.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어. 오히려 기여하는 마음을 통해 스스로 풍요로워진단다.
청소년들을 위해 따뜻하고 그들의 눈높이에 맞게 친근한 저자의 설명이 참 감사하다. 미래의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지, 성공해야 하고 돈을 많이 벌어야 한다는 강박속에 살아가는 우리 아이들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민주주의, 인권의 출발은 내 친구를 존중하며 리더의 자리에서 약한 자를 돌보고 베푸는 마음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초등학생 고학년부터 청소년 들이 꼭 한번 읽었으면 하는 필독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