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문장이 되어 흐른다
박애희 지음 / 청림Life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을에 나의 마음에 여운과 생각을 주는 글 그리고 글을 쓸 여백이 있는 책을 만났다. <삶은 문장이 되어 흐른다> 푸른 색깔은 표지와 쫙 펼칠 수 있어 함께 글을 써볼 수 있도록 표지를 만들어 고급 진 특별 노트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너무 빽빽한 글들을 읽다가 여백의 책을 만나니 또한 마음이 여유로워지고 생각을 부릴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 준다.


박애희 작가님은 방송작가 에세이 작가로 지신의 인생의 절반을 글을 쓰는 사람이라고 소개하신다. 엄마이시기도 하고 딸로 각각의 역할 속에서 또 글쓰기의 토대로 <쓰기의 책장>의 모임을 운영하며 글쓰기 선생님이시기도 하다. 에세이 수필의 글은 진심과 사색과 담백함 또는 깔끔함이 느껴진다. 글쓰기 고수 마음에 포근하게 내리 않게 만드는 비법 그분의 조근조근 사려 깊은 말투의 분이라는 느껴진다

<프롤로그> 이 책을 통해서 전하고 싶은 것 빈장의 종이 앞에 무엇을 끄적여야 하는지 망설이는 그럼에도 무언가 채워보고 싶은 마음이 가득한 사람을 위해 그는 자신의 에피소드, 또는 <영화> <드라마> <책>의 한 장을씩 소개하며 우리에게 글쓰기 주제들을 던져준다.

그 질문의 깊은 영감의 시작은 ‘사랑‘ 내가 사랑하고 은 사람에서 진실로 알고 싶은 것~

당신이 소중하다는 것을 당신이 그 누구도 가져다줄 수 없는 것을

이 세상에 안겨주었음을 항상 기억하기를

<나>

<순간>

<사람>

<추억>

<취향>

<대화>

<희망>

7가지의 주제 속에서 나를 만나고 나의 시간 속에서 손 간을 붙들고 소중한 사람을 떠올려보고 추억을 상기하며 내가 좋아하는 것을 탐색하고 소중한 대화에

머무르며 희망의 주제로 나아간다.

이 책은 단숨에 읽어 나가는 책은 아니다. 삶의 시간을 내어 야금야금 맛보아야 할 책이다. 던져주는 질문이 묵직하거나 또는 어렵거나 또 시간이 필요하기도 하다.

첫 <나>에 대한 주제는 인생의 가을쯤을 맞이한 나에게 돌아보는 시간을 제공하고 어찌 보면 같은 여자로서 엄마 딸로서의 지나온 시간들을 다시 마주 보게 해주었다

<나 자신을 존중하기 위한 질문> 인생을 지나온 흔적을 돌아보면 행복한 기억보다 어려움에 사무친 시간을 묵묵히 견디어야 하는 슬픔에 대한 부분들이 와 닿았다

<인생의 주인공에게 어김없이 찾아오는 것> 을 통해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드라마 <폭삭 속았수다> 애순의 고달픔 인생 속이지만 행복과 사랑과 존엄과 품위 덕분에 더욱 사람도 아름답다는 작가의 설명이 결국 인생은 어떠한 자세로 삶의 영위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또한 생각해 보게 한다.

<나를 슬프게 하는 것들> 소소한 삶을 돌아보는 것 큰 사건이 아니지만 소소하게 슬펐던 시간들을 너무 내주지 않았던 건 아닐까 생각도 해보게 한다.

<슬플 때 울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슬픔 감정을 유독 싫어하는 것 같다. 지는 것 같고 창피하고 그렇다.

슬플 때 울지 않으면 다른 장기가 운다

영국 정신과 의사

그의 조언이 마음에 들어온다. 참지 말기 울고 나면 후련해지는데 너무 감정을 누르지 않고 힘들 때 글을 쓰도록 해야겠다는 마음을 남긴다.

작가가 슬픔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찰나 우리가 기억하는 소중한 순간 만남, 고마움 한 바가지의 순간들도 쓰윽 지나갔음을 이 책을 통해 나에게 쉼표 같은 시간을 만들어 주었다. AI 시대에 효율 완벽성에 조금은 지쳐가는 이맘때 다시금 감성을 꼭꼭 채워 넣을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자신의 삶에 대해 글을 쓰고 싶은 분들에게 일기장에 매일 반복된 내용에 중단해버린 분들에게 다시금 용기를 내어 자신를 글을 통해 만나게 해주는 브릿지 역할을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