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 - 여덟 가지 테마로 읽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앙투안 콩파뇽 외 지음, 길혜연 옮김 / 책세상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여덟 명의 전문가가 만들어낸 프루스트 작품의 친절한 길라잡이.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지 않아도 작품 속에 나오는 마들렌이 그의 어린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는 냄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정도로, 그의 책은 여러모로 현대문학의 물길을 바꿨다고 할 정도로 영향력이 있는 작품을 쓴 작가다. 요즘에는 온라인 서점에서 주로 책을 구경하고 구매하지만, 종종 오프라인 서점에 가서 직접 보고 만지며 책을 구경하곤 한다. 특히 책장 가득히 문학전집을 가득 메워 놓은 칸을 볼 때면 보는 것만으로도 흐뭇 할 때가 많은데 그 중 가장 사로잡은 책이 바로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였다. 한 때는 국일판과 민음사판을 고민하며 살까 말까를 고민했지만 민음사 판은 아직 완간이 되지 않았고, 국일판은 너무 많은 권 수에 기가 눌려 감히 시도조차 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늘, 서점을 갈 때면 기웃기웃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전집을 바라보고 있었다. 언젠가는 책장에 데려올 생각을 하면서.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가을하늘이 놓고 쾌청한 요즘 <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이 살짝 계절의 핀트가 어긋났다고 생각 할 수 있지만 그 '여름'이 그 '여름'이 아니다. 여름에 함께하는 프루스트가 아니라 무더운 여름에 맞이 할 수 있는 '여름휴가'를 뜻한다. 즉, 긴 시간을 잡아야만 읽을 수 있는 그의 저작은 그의 동생 로베르 프루스트 마저도 형이 쓴 작품을 중병이 들거나 한쪽 다리가 부러져야만 읽을 수 있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그만큼 프루스트의 작품은 길고 긴 사막을 걷는 것과 마찬가지로 지난한 여정이 수반된 작품이다.


그런 여정을 프루스트와 프루스트가 쓴 작품을 연구한 교수와 작가들이 여덟가지 테마로 담아 쓴 책이 바로 <프루스트와 함께하는 여름>이다. 고난한 여정길에 여덟 명의 전문가가 만들어낸 이야기는 친절한 가이드를 만난 것 마냥 재밌게 그의 작품을 맛 볼 수 있다. 마치 영화를 보기 전에 일요일날 짧은 예고편이 아니라 영화의 플롯을 짧게 잘라 액기스만 붙여 호기심을 자극하듯 이 책 역시 프루스트의 작품을 읽어보고 싶을 만큼 호기심을 자극하는 책이다. 프루스트에 관련된 이야기에서부터 그가 좋아하는 소설가, 책에 등장하는 인물의 면면이나 영향을 받은 인물들, 사회적 배경, 프루스트의 심경의 변화등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다층적으로 그려져 있다. 책에 수록되어 있는 그림이나 사진들이 중간중간 삽입되어 있어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읽지 않아도 그가 만들어낸 인물의 시작점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이 책이 무엇을 그리고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다.


책을 읽었더라면 더없이 좋았겠지만 처음 장대하게 시작을 했다가 끝을 보지 못했던 독자에게 다시 응원의 메세지와 함께, 프루스트를 직접 연구하고 그에 관한 글을 쓴 많은 전문가들의 이야기는, 그 작품을 읽고 생각하는데 있어 더 넓은 시아를 넓혀준다. 친절한 길라잡이인 동시에 꼭 읽어보고 싶을 책으로 등극 할 정도로 프루스트가 만들어낸 문학적 행적에 대해 세밀하면서도 견고하게 그의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미처 알지 못했던 이야기를 알아가는 재미와 프랑스 최고의 전문가들이 만들어낸 프루스트 작품의 내밀한 지도는 한층 더 그의 작품을 읽는 독자에게 쉬이 갈 수 있는 여정의 안목을 선사해주는 책이었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결코 한 번주로 분류할 수 없는 책들에 속한다. 바로 그 점이 이 작품의 힘과 깊이를 다룬다. 사람들은 10년 후에 이 책을 다시 읽고 다음 세대가 이 책을 또다시 읽는다. 그리고 매번 또 다른 것을 발견한다. 이 작품은 사랑, 질투, 야망, 욕망, 기억과 같은 영원한 문제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거론하지 않는다. - p.18


프루스트는 '시간의 보이지 않는 본질'을 글로 옮기기를 희망했다. 그의 소설 속에는 날짜들이나 지표들이 거의 없지만 여러 경험과 추억, 시대들이 병치되어 있으므로 그 희망은 성취된 셈이다. 그럼에도 그의 소설은 그렇게 무질서하지 않다. 《스완의 집 쪽으로》 초반부에서는 화자는 자신의 방들을 기억나는 순서대로, 그러니까 무질서하게 탐색하겠다고 알린다. 그러나 이야기의 전개는 거의 연대기적 순서를 충실히 따르고 있다. - p.37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첫째 권은 그리움으로 가득한 한문장으로 끝난다. 어른이 된 화자는 콩브레에서 보낸 어린 시절을 이야기하다가 스완의 연애담으로 되돌아가, 불로뉴 숲에가서 세월이 흘러갔음을 확인한다. 그 옛날 인기 좋았던 아카시아 길의 여인들은 늙어버렸다. "집들, 도로들, 가로수 길들은, 아! 세월처럼 덧없는 것이다." 《읽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자신의 과거를 되찾으려는 인간에 관한 소설이기 이전에, 그 제목이 가리키는 대로 상실과 그 상실의 자각에 관한 책이다. - p.44


어떤 냄새나 소리를 통해 잊고 있던 시절을 돌이켜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프루스트는 '무의지적 기억'관해 이야기한다. 지성의 측면에 더 이상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을 때 모든 것은 파묻힌 기억 속에서 지속되는데, 우연한 만남만이 인생에 추억을 돌려줄 수 있다. 무의지적인 어렴풋한 기억은 예측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기억은 자연 발생적이며 양면성을 지닌다. - p.46


그의 위대한 스승은 이론의 여지 없이 발자크로 남아 있다. 프루스트는 발자크의 작품에 관한 모든 것을 알고 있었으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그의 작품을 즐겨 인용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발자크의 작품을 표본으로 삼지는 않았다. 프루스트는 절대적으로 다르게 쓰길 원했다. - p.66


《되찾은 시간》의 마지막 페이지는 내가 좋아하는 부분들 중 하나다. 그 페이지는 이 책 전체를 담고 있는 듯하며, 우리를 3,000페이지 전에 나온 제일 첫 번째 단어 '긴 세월'로 데려간다. 작품은 완성되어, 프루스트가 그 무엇보다 우리에게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게 해준 시간의 대소설가임을 입증해 주었다. - p.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