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성공한 투자자가 지은 책이다. 그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유명인들의 논거로 설명한다. 좌우 이분법적인? 정치색을 띄면서 말이다.

그러나 그 논거가 좀 부실하다. 예로 중반에 케인즈식 정부주도 경제가 잠깐 성공했고 결국 스태크플레이션을 일으켰으며 이후 하이에크 등의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으로 성공했다라고 기술한다. 그러나 케임브리지 경제학교수 장하준씨의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를 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된다. 파레토최적도 그것이 좌우 정치개념의 논거로 사용할 수 없는 개념인데 무리해서 끼워넣은듯하다.

지은이는 말한다. 세상은 80대20의 법칙으로 돌아간다. 가난한 자들이 불편해하던 아니든 그것이 자연의 법칙이다. 그말에 반박할 맘은 없다. 가난하지만 허영심에 과시소비를 하는 사람들에게 퍼부기할꺼냐 능력있어서 성공한 사람들을 더 밀어줄꺼냐 묻는듯한데 여기에도 반박하고싶은 맘은 전혀 없다(극단적 예시라는 점은 뒤로하고)

안타까운점은 자연스러움, 가만히 내버려둠이 최대 효율을 가져온다는 신자유주의 경제학자의 생각이다. 최선의 정부는 최악의 시장보다 못하다? 인위적인 개입은 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저자가 19세기에 태어났다면 5살때부터 탄광에서 일해도 그건 정당한것이다. 괜히 정부에서 트집잡지말고 시장에 내버랴둬야한다는 저자의 생각대로라면 말이다.
그리고 박정희의 계획졍제도 나쁜짓이다. 시장에 역행해서 정부가 개입했기때문이다.
분배를 통한 건강보험도 미국식이 될지도 모른다. 직장 없는데 아프면 끝장인거다.


또 오해하는 이분법적인 사람들이 이상한 반론을 제기할까봐 첨언하지만 본인은 그렇다고 정부주도 분배우선주의자가 전혀 아니다. 오히려 평등보단 효율성이 조금 더 중요하다고 보는 관점이다. 그 차이가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서 극단의 사람에게 나머지는 반대편으로 보이겠지만.

끝으로 이 책은 괜찮은 책이며 읽는 재미가 있다.
다만 비판적으로 가려서 들을수 있는 사람에게 더 좋을 책이다.
현 정부의 과도한 재정적자정책, 공무원 늘리기, 최저임금 급상승, 금리는 인하하면서 과도한 부동산규제정책은 본인도 비판적으로 생각하며 지은이의 중국에대한 관점도 어느정도 동의한다. 또한 실리외교 측면에서 미국과의 굳건한 파트너관계도 동의한다.

독자들은 세상을 죄우 남여 니편내편 이렇게 이분법으로만 보지 말자. 세상은 복잡하며 항상 옳은 것도 제도도 없다. 그때그때 최선의 길로 가면 되는것이며 그것을 위해서 국민 개개인의 수준이 높아져야한다. 그래야 정치권도 바뀌고 우리의 2세들도 바뀌기에 우리부터 달라져야한다.

짧은 글로 저자의 생각을 다 담을 수 없었겠고 본인이 곡해한 부분도 있었으리라 생각하며 리뷰 마무리한다.

P.S. P240~244 공감하는데 왜 많은 사람들이 보수가 아니면 마르크스주의자라고 생각하는지 도대체 이해가 안간다. 한철 지난 Red complex 인가? 소수 얼빠진 마르크스주의자도 있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을 좌파/우파, 음/양 남/여로 우분법으로 구분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책일지도 모른다. 이 책의 요지는 그런게 아니지만 세상은 뭐라고 말하기 애매한 복잡성을 가지고있음을 알게되면 좋겠다. 저자가 말하는 반신자유주의적인 입장도 예외가 있고 모든 국제 자본들이 도둑들이 아니며 이로운 조건도 있다. 보호무역이라고 다 좋은 것이 아니며 국내 도둑들이 더 많이 헤쳐먹고 타락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경제부분에서도 정부나 시장이냐는 단순한 이분법이 아니다. 정부가 좋고 나쁘고가 아니라 말하기 애매한 균형점을 찾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신자유주의 지지자들의 논거를 반박하는 이 책은 그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충분한 도움이 될것이며 주변에 당연시되어왔던 오류들이있음을 복0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처한 클래식 수업 1 - 모차르트, 영원을 위한 호소 난생 처음 한번 들어보는 클래식 수업 1
민은기 지음 / 사회평론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생때 싫어했던 과목이 음악이었다. 아무런 배경없이 c=도. 7음계 옥타브 외워. 이런식이었다. 모짜르트 아버지같은 아니 작가같은 선생님만 만난다해도 얼마나 보는 시야가 커졌었을까. 성인이되어 이해하게되는 음악세계에 빠져든다. 특히 천재란 무엇인지 아땋게 살아야의미있을지 생각하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 세상에서 가장 쉬운 주역 공부 새벽에 혼자 읽는 주역인문학
김승호 지음 / 다산북스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성경해설이나 경전 해설서 같은 느낌. 일단 이게 무지 신비롭게 진리이다로 시작. 그이유는 없다. 암튼 그 이후에 맞을법한 예시를 들며 대전제를 옹호하는 책. 저는 과학이라는데 과학은 그렇게 하지 않는다. 과학은 틀릴수도 있다는것조차 받아들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플루토 Pluto 1
테츠카 오사무 지음, 우라사와 나오키 그림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실망시킨 적이 없는 작가. 말해 뭣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