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시 쓰는 수학의 역사 - 당신이 수학을 사랑하게 만들 책 : 젠더·인종·국경을 초월한 아름답도록 혼란스럽고 협력적인 이야기
케이트 기타가와.티모시 레벨 지음, 이충호 옮김 / 서해문집 / 2024년 10월
평점 :
수학의 역사를 다룬 책을 읽을 때마다 마음 한켠이 허전하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고들 하지만, 수학과 과학의 발전사를 들여다보고 있자면 자꾸만 이런 질문이 떠오른다.
“왜 한국은 세계 수학사에서 단 한 번도 조명받지 못했을까?”
이 책은 특히 더 그 질문을 또렷하게 떠올리게 만든다.
유럽 중심의 수학사에서 벗어나, ‘변두리’에 머물렀던 수학자들까지 조명하려는 노력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꽤 신선하다. 단순한 업적 나열이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시대적 배경과 철학적 환경까지 함께 보여주려 애쓴다.
예를 들어, 수학이 진화해 온 과정 속에서 편지 네트워크의 역할, 뉴턴주의의 전파, ‘지혜의 집’과 같은 협업의 구조가 어떻게 학문을 꽃피웠는지 설명하는 방식은 매우 설득력 있다. 수학이 단지 개인의 천재성에 의존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과 지식 공동체 속에서 만들어졌다는 시각은 특히 인상 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니 어쩌면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씁쓸한 마음이 든다.
이처럼 ‘주류’가 아닌 ‘변방’을 조명하는 수학사 속에서도 한국은 등장하지 않는다.
한반도는 어디 있었던 걸까.
수학을 했던 사람들은 왜 기억되지 못했을까.
우리는 그 흐름 속에 왜 단 한 번도 끼지 못했을까.
이 책을 읽으면서 든 허탈감은 과거에 대한 아쉬움만이 아니다.
사실 더 속상한 건 그 상황이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아직도 우리는 수학과 과학을 '시험 과목'으로만 대하고, 지식을 창조의 언어가 아닌 입시의 도구로 사용한다. 협업보다는 경쟁이 우선이고, 탐구보다는 정답이 먼저다.
지금도 지구 어딘가에서는 새로운 수학 이론이, 혹은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이 실험되고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 흐름에서 여전히 비켜나 있다.
관련 글 더 읽기 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