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리코 페르미, 모든 것을 알았던 마지막 사람
데이비드 N. 슈워츠 지음, 김희봉 옮김 / 김영사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엔리코페르미모든것을알았던마지막사람 #데이비드슈워츠 #김희봉 옮김 #김영사 #과학 #전기 #물리학 #책서평 #북리뷰 #독서기록 #book #bookreview #서평단

엔리코 페르미. 아인슈타인과 맞먹는 최고의 물리학자. 물리학을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그를 모를수가 없다. 그의 이름관 연관된 용어도 많다.
우연히 입자 물리학자인 아버지의 유품에서 발견한 페르미에 대한 서류를 발견하고, 이 유명한 사람이 생각보다 알려지지 않아서 작정하고(!) 전기를 쓴 데이비드 슈워츠. 이 책은 엔리코 페르미의 전기이며, 그가 살았던 시기의 물리학의 역사서이다. 더구나 페르미에 대한 책은 아내 라우라가 결혼생활을 그린 ‘원자가족’(페르미가 사망하기 전에 출간) 과 친구이자 제자인 세그레가 쓴 ‘엔리코 페르미, 물리학자’ 두 권의 전기가 전부였다.
-
이 책은 그의 어린 시절부터, 이탈리아에서의 공부, 연구 기간, 193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직후 미국으로 건너가 세계 제 2차대전중 맨해튼 프로젝트에서 핵심적인 인물로 활동하던 시기, 전쟁후 사망하기까지 네 장으로 나누어 천재적인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를 집중 분석한다. 참고한 문헌 목록만도 100여페이지에 달한다.
물리학밖에 몰랐던 페르미라 당연히 이 책에는 물리학 이야기만 계속 나온다. 페르미와 물리학에 조금이라도 연관이 있는 물리학자는 다 언급된다. 연구에 집중하고, 그러면서도 함께 연구하던 동료, 제자들과 매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번득이는 아이디어로 그들의 연구에 자극을 주고, 나중에는 자신의 개입 자체를 부인하며 배려하는 자세를 보인 훌륭한 교육자로서의 모습도 그려진다. 그와 관계된 사람들이 얼마나 노벨상을 많이 받았는지. 페르미가 사망한 후, 그를 기리는 헌정물들이 얼마나 특별한지. 그 와중에 소외된(?) 가족의 모습도 나온다. 그의 아내 라우라는 남편의 논문을 정리해주고, 출판을 도와주면서 동시에 작가로서도 성공한다. 이 책은 물리학자 페르미만이 아니라 남편, 아버지, 동료, 친구였던 인간 페르미를 보여준다.
_

엔리코 페르미는 이론과 실험,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물리학에 관한 모든 것을 알았던 마지막 사람이었다. 그는 과학자가 얻을 수 있는 모든 영예를 빠짐없이 얻었다.그의 이름을 딴 상도 몇 개나 되고,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도 곳곳에 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분야든 혼자서 이루어낼 수 없다는 사실을 적시한 것이다. 페르미가 오펜하우어 사건에서 “한 사람이 홀로 그런 일을 해낼 수 없다는 것도 똑같이 사실입니다. 천재는 다른 많은 사람과 기관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로스앨러모스 연구소가 그의 아이디어에 아이디어를 더하고 발전시켜 그 일을 실현한 것입니다.”(p423) 라고 변호한 것은 바로 자기 자신에게도 한 말이라고 본다. 페르미의 여러 성취도 다른 학자들의 연구를 공부하고 받아들임으로써 그 다음 단계가 가능했다.
_

이 책을 읽으며, 페르미가 로마 시절부터 동료들과 대화하며 친목 시간을 가졌던 많은 시간에 의견을 교환하며 새로운 이론을 정립해 나가는 과정, 또 학술대회에 참여해서 다른 나라의 학자들과 선의의 경쟁을 하던 과정등이 특히 인상깊었다. 이 과정은 나중에 로스앨러모스 연구소나 시카고 대학 등에서 끊임없이 동료, 제자들과 주고받은 상호작용과 똑같다.
비록 페르미를 포함한 현대 물리학자들이 핵을 연구하면서 결과적으로 원자폭탄이라는 무시무시한 무기를 만들게 되고, 인류는 그로인해 큰 고통을 받았지만, 그들의 연구로 인해 우주로 나아가는 힘을, 현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페르미가 없었으면 아마도 조금은 느리게 진행되었겠지만. 그래서 그가 나중에 수소폭탄 개발에는 반대했던 이유가 이해 된다.
_
물리학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일반인으로서 엔리코 페르미에 대한 책을 읽는 것은 상당한 용기가 필요했다. 어려울까봐 걱정을 많이 했고, 읽으면서 설명되는 여러 물리학 발전 단계가 이해하기 힘든 면도 있었지만, 물리학이 성취한 업적을 훑어보는 재미도 컸다. 결론은..인간은 역시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것. “올해 읽은 가장 훌륭한 전기, 과학, 역사, 인물을 힘들이지않고 능수능란하게 결합했다.(게리 슈타인가르트)” 추천.
_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