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플리카가 생겨나고 유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디자이너나 경영인이 중심이 되어 움직이던 패션 산업의 일부분이 생산자와 공장을 중심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옷을 직접 만드는 사람들은 지금껏 디자이너나 경영인의 뒤에 머물렀다. 하지만 지난 30여 년을 거치며 확장된 생산자 제조 중심의 패션 트렌드는 이들 생산 주체를 패션 산업의 전면으로 내세웠다.
..테네시에 있는 포인터 브랜드의 공장들은 여전히 구식으로 돌아가며 아직 현대화되지 않았다. 과거에는 이러한 공장이 미국 전역에 수없이 많았지만, 지금은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해 대부분 사라졌다. 하지만 포인터 브랜드의 경우처럼 몇몇 남은 공장들은 아메리칸 메이드 트렌드와 구식 공장 제품이 지닌 독특한 외향과 촉감이 다시 인기를 얻으면서 각광받고 있다. 일본의 데님 마니아들과 서구의 워크 웨어 팬들이 이들 공장 문을 계속 두드리고 있으며 수많은 업체에서 올드 아메리칸 제품 생산을 의뢰하고 있다. 한마디로 포인터 브랜드는 현재 진행 중인 아메리칸 트래디셔널 트렌드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
..빈티지 청바지를 만들 때 보통 십여 종류의 재봉틀을 사용하는데, 지금도 오슬로우의 작업 스튜디오에는 구형 유니언 스페셜부터 컴퓨터가 제어하는 최신 기종까지 삼십여 대의 공업용 재봉틀이 놓여 있다. 이것들은 그저 장식용이 아니라 실제로 샘플을 만들어서 제조 공장과 좀더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한다. 오슬로우의 몇몇 제품은 공장을 통하지 않고도 스튜디오에서 직접 완제품을 만들 수 있을 정도다.
..미국이나 유럽의 헤리티지 청바지, 데님 웨어, 워크 웨어, 밀리터리 유니폼 등 레플리카 브랜드가 주로 다루는 옷들은 20세기 초중반에 발전했다. 그 시대에 전쟁에 동원되고, 공장에서 일하고, 철로를 놓고, 석탄을 캐고, 소를 몰아 수백 킬로미터를 이동하던 사람들이 입던 옷이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남녀의 역할 분담 구조가 지금보다 확고했기 때문에 워크 웨어 계열에도 여성 전용 의류는 그렇게 많이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오늘날에는 고단한 육체노동이나 극한의 날씨, 위험한 작업 환경에 따른 위협을 예전의 워크 웨어가 해결하고 있지 않다. 이미 훨씬 더 훌륭하고 기능에 충실한, 가볍고 저렴한 소재들이 많이 나와 있다. 광산에서 일하려고 청바지를 입는 경우는 없다. 만약 현대의 봉제 기술이 부실해서리벳이 필요한 것이라면 치노 팬츠와 슬랙스 등에도 리벳이 붙어 있어야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셀비지의 빨간 줄, 신치 백, 멜빵 고리, 덧댄 캔버스 천 등은 이제 일종의 표식이자 장식으로 존재하며, 레플리카 제품의 배경이 되어 스토리를 탄탄하게 만드는 서사로 기능한다.
..미스터 프리덤의 크리스토프 르아론은 "현대의 자유는 자기만의 감옥을 만드는 데 있다. 감옥의 열쇠가 어디에 있는지만 잊지 않으면 된다"라고 말했다. 정말 그럴까? 용감하게 감옥 안으로 돌진하든 감옥을 피해 돌아가든 결국 선택은 소비자의 몫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