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임금 이야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1
박윤규 지음 / 보물창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요즘은 역사에 대한 책들도 표지부터가 재미있고, 아이들이 호기심에 먼저 책을 들수 있게끔..

가볍게 그리고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되어 나오는 책들이 무수히 많이 출판되고,

또한 되어지고 있다..  '첫임금 이야기' 하면 우리 아이들 읽을수 있는 책이라 생각되어 진다..

그러나 막상 책을 접하면 표지에서부터 약간은 어둡고, 무겁고, 어렵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다.

페이지도 적지 않은 글밥에 아이들에게는 약간의 부담되는 페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나 또한 책을 손에 넣고도 한동안 읽기를 망설였던 것은 사실... 하지만, 요즘 역사에 대한

관심이 날로 날로 늘어가며 영상매체에서도 역사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방영되고 있어

나는 부담을 안고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그러나 첫 느낌과는 다르게 처음 작가의 소개글에서

아버지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형식으로 펼쳐나감을 느낄수 있어, 이 책을 읽어나감에

있어서 어렵지 않고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읽혀나갈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책도 처음 느낀 그대로 믿고 판단한다면  후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서는 고조선의 첫 임금 단군왕검, 고구려의 고주몽, 백제의 온조, 신라의 박혁거세,

가야의 김수로, 발해의 대조영, 고려의 왕건, 조선의 이성계에 대해서 이야기에 푹~~ 빠질 수

있게 펼쳐져 나간다. 또한 잘못 알고 있는 사실들과, 우리가 앞으로 하나씩 하나씩 더 밝혀

나가야 할 우리의 과제들도 제시해주고 있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내가 이렇게 역사에 대해서

많은 것을 모르고, 또한 잘못 알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을 다시 한번 절실하게 느끼며, 부끄러움을

감출수가 없었다.  이책의 저자는 본인이 알고 있는 사실들과 좁은 의미로만 이 책을 써내려

간것이 아닌  많은 자료들을 통해 옳고 그름에 대한 비평을 함으로써 우리가 이 책을 읽는 동안

자연스럽게 복잡하고 어려운 역사의 흐름을 잘 이해할수 있었던 같다.

첫 임금들의 시작은 대부분이 신화같은 이야기들로 전해져온다. 그마만큼 보통사람들과는 다른

무언가를 의미한다는 것이겠지.. 이 책에서도 말하다시피 우리 역사의 기록은 거의 고려에서부터

제대로 쓰여졌고, 또한 이어져왔다고 한다. 그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서는  중국의 역사책을 통해서도

많이 알아낸 사실들이며, 또한 그들의 역사책에서는 그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기록되어 있어,

우리에게 거의 남아있지 않은 역사에 대해서는 자기들의 역사로 우기는 말도 되지 않는 만행을

일삼으려는 것이다.  우리의 역사에서 사라진 부분들 또한 잘못된 부분들을 바로 잡고, 연구해야 할

우리의 과제를 소중히 받아들이고 되찾아야 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한편의 역사극을 보는듯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재미있게 이야기가 들려진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