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한 자연 - 동물행동학자가 쓴
히다카 토시타카 지음, 전혜원 옮김, 이미화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이 된 나는 지금까지 쭉~~ 있는 그대로 보아와서 그런지 특별히 자연의 신비함을 그리

느끼지 못하고 살고 있는거 같았다. 그저 자연적인 현상으로 항상 같은 시기에 꽃이 피고 새싹이

자라고, 동물들 또한 새삼스러울 것이 없을 정도로 같은 행동으로 저마다의 활동과 생명을 유지하고

그들만의 생존을 지키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신비한 자연에 대한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말이다.

눈으로 보여지는, 귀로 들려지는 그대로가 아닌 식물과 동물들도 인간과 비슷한 행동과 생각들을

한다는것..  이것만으로도 신비한 자연을 느낄수 있다.. 자연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아가고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이 자연의 신비함을 엿보게 해줄수 있는 유익한 책이 될것 같다.

동물만이 인간과 마음을 나눌수 있는게 아니라 식물도 가능하다는 사실, 식물도 성에 몰두를 하며

사람이 상대방이나 타인의 관심을 끌려고 예쁘게 꾸미듯, 동물도 각각 자신의 매력을 이성에게

보이려 한다는것을 공작새와 사슴, 물고기등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사람들이 위기에 닥치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듯이 식물도 자신들의 생명에 위협을 받을거

같은 상황이 되면 누군가에게 도움을 청한다는 재미있는 사실이 화제가 되고 있다고 한다.

식물의 잎에 진드기가 붙으면 식물들의 잎에 있는 즙을 빨아먹어 식물은 오그라들어 시들고 만다.

그 거미진드기라는 위기의 상황에 보디가드 역할을 해주는 칠레이리응애라는 육식성 진드기..

식물들은 거미진드기가 다가오면 비명을 질러 다른 식물들에게도 알린다고 한다. 또한 식물과 곤충

에게도 자신들만의 스케줄이 있다는것이다. 기온에 따라서 무조건 싹이 트고 잎이 나고 꽃을 피우는게

아닌  계절을 알고 자신의 엄밀한 스케줄에 따라 꽃을 피운다는것, 곤충 또한 자신들만의 스케줄에

따라 알을 낳고 과정에 따라 번식을 한다는것.. 이 부분에 있어서는 약간 자연의 신비감을 느끼지 못하는

한 부분이다.. 아니 새로움을 느끼지 못한다고 해야 하나.. 익히 많이들 알고 있는것들이기에

식물과 곤충들이 서로 싸움을 하기도 한다.. 그의 대부분 곤충들이 이기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매미는 싱싱한 나뭇가지에 배 끝에 있는 산란관으로 자국을 내고 알을 낳으면 나무는 진을 뿜어 알을 죽여

버린다고 한다 그래서 매미는 시든 가지를 찾아다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식물과 곤충들도 서로의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싸우고 있다..이 외에도 자연의 관한 많은 이야기들이 전해지고 있다.  지금은 예전과

같은 많은 식물들과 곤충들이 자연의 오염과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사라지거나 변형되어 가는

경우들이 많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우리 인간들은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고 그걸 지키고 되살려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수가 없을거 같다. 어린이를 위한 책이지만, 건강한 삶을 위해서라도 우리 어른들도

무언가를 뉘우치게 하는 책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