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 소울>을 리뷰해주세요.
라틴 소울 - 박창학의 지구 반대편 음악 이야기
박창학 지음 / 바다출판사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의심할 바 없이 현대의 음악 시장은 대중적인 상업 구조에 기반하고 있다. 영미의 팝으로 대표되는 대중음악은 K-POP, J-POP과 같은 해당 나라에 맞게 이름만 바뀐 형태로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대중음악 속에서도 자신들의 전통을 대중음악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참 유행했던 레게나 쿠바음악 같은 제 3세계 음악들만 봐도 그 중심에는 [밥 말리]와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이 있지 않던가. 이른바 월드뮤직으로 불리는 각국의 음악에는 그들 나라의 역사와 전통이 스며들어 있다는 당연한 사실을 이해하고 노력하는 것이 이들 음악을 듣기 위한 최소한의 수고이기도 하다. 박창학의 『라틴 소울』은 특히 중남미 지역의 음악에 관심을 갖고 접근한다. 전통음악, 고전음악과 대중음악의 자연스럽고 가장 완성된 조화를 이루는 크로스오버의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라틴음악이기 때문이다. 박창학은 이것이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근본적인 성격으로 보고 있다. 브라질, 아르헨티나, 쿠바의 음악, 악기, 뮤지션, 앨범들을 통해 보다 쉽게 그들의 음악을 접하고 현대에 이어진 전통과 조화를 소개하고 있다. 

브라질은 삼바와 카니발, 축구과 열정의 나라로 알려져 있지만 재즈와 보사노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조앙 질베르토,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을 먼저 떠올릴지도 모르겠다. 브라질 음악은 다른 어떤 문화권에서도 찾아볼 수 없이 다원적이라는데 큰 특징이 있다. 삼바와 쇼로는 브라질의 전통음악이기도 하지만 현대에도 대중음악과 결합하여 꾸준히 재생산되고 있으며 보사노바와 같은 새로운 음악의 뼈대가 되고 있는 동시에 전통음악이라는 자체의 지위도 잃지 않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역시 축구의 나라인 동시에 탕고의 나라다. 독일의 교회에서 종교음악을 위해 태어난 악기인 반도네온이 아르헨티나의 사창가에 전해져 막 태어나던 탕고와 결합해 반도네온은 곧 탕고가 되었다. 탕고는 캬바레와 술집에서 연주된, 시작이 고결한 음악이 아니었지만 현재는 고결하게 되었다는 피아솔라의 말처럼 탕고는 아르헨티나 자체다. 반도네온을 위한 천재적인 작곡가이자 연주가인 피아솔라를 소개하고 있다. 

시가와 야구, 체 게바라의 나라인 사회주의 쿠바의 음악은 [아바네라]라는 무곡으로 알려져 30년대의 룸바, 50년대의 맘보와 차차차, 얼마 전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의 음악으로 유명해졌다. 이 작은 섬나라가 세계에 보여준 음악은 그들의 전통과 삶이 한데 녹아 있는 남다르고 특별한 것이다. 쿠바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특수성으로 인해 그들의 음악은 가장 전통적인 것인 동시에 가장 대중적이기도 한 크로스오버된 형태이며 이는 라틴 음악의 큰 특징이기도 한 조화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우리의 상황을 보자. 전통음악 판소리나 창의 경우 낯설기도 하거니와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얼마 없는 공연장을 찾거나 직접 CD를 구입하는 방법이 최선이다. 그만큼 우리의 전통음악은 대중음악과 철저하게 고립되어 있다. 오래 전 육각수의 [흥보가 기가 막혀]라는 실험적인 노래가 유행했을 때 잠시나마 전통음악은 지루하다는 굴레를 벗을 수 있었다. 전통음악을 알리기 위해 반드시 대중음악과 결합해 크로스오버를 지향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게 최선의 길이기도 하다. 전통음악의 정통성을 보존하는 동시에 언제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길이 있다면 현재의 획일적인 우리 대중음악도 훨씬 더 풍성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