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 - 우리 동네 열두 달 식물 이야기
황경택 지음 / 황소걸음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
<황소걸음/ 황경택 글. 그림>
안녕하세요. 제스트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책은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입니다.
저자 황경택은 한국외대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숲 연구소에서 활동하신 분입니다.
숲 생태 놀이 코디네이터로 활동하며 생태 만화가로 활동 중이기도 합니다.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은 저자가 주간 신문 <소년 중앙>과
월간 <산림>에 연재한 내용을 간추려 엮은 책입니다.
1월부터 12월까지 대한민국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식물들을 계절별로 4~5개가량 소개합니다.

겨울눈으로 시작하는 만화 한 페이지와
반대편으로 실제 겨울눈처럼 그린 보태니컬 아트가 함께 합니다.
덕분에 이름만 알았거나 모양만 알았던 식물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글을 읽다 보면 나무와 관련된 토막 상식도 함께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팥배나무는 열매가 팥을 닮고, 5월에 피는 꽃은 배꽃을 닮아서 붙은 이름입니다.
종이처럼 희고 얇은 나무껍질이 벗겨지는 자작나무도 소개합니다.
공원에서 그냥 지나쳤던 여러 나무들이 소개되어 있어 신기합니다.
로제트 식물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뽀리뱅이라는 풀은 냉이나 민들레처럼 생긴 로제트 식물입니다.

로제트 식물은 방석식물의 다른 이름인데 잎이 난 모양이 장미꽃을 닮아 붙은 이름입니다.
냉이, 민들레, 개망초, 달맞이꽃, 뽀리뱅이, 꽃마리 등이 로제트 식물에 속합니다.
우리가 공원이나 보도블록에서 많이 보았던 이들은 바닥에 납작 엎드려 추위를 견디는 식물입니다.
다른 풀은 대부분 추위에 죽는데 로제트 식물을 겨울을 견디며 살아납니다.
시련을 기회로 삼은 식물을 보며 우리는 또 다른 삶의 지혜를 얻어 갑니다.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다 보면
11월의 상수리나무를 지나 12월의 양버즘나무까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나무껍질이 얼룩덜룩한 모양으로 벗겨져 버즘이 핀 것 같다고 버즘나무라고 소개합니다.
버즘나무는 서양에서는 잎이 넓다는 뜻의 '플라타너스'라는 이름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로수 중에 가장 많은 나무가 은행나무이고 그다음으로 양버즘나무가 많다고 합니다.

플라타너스가 길거리에 많이 보이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12월의 마지막 식물은 칡입니다.
덩굴나무인 칡은 콩과 식물로 우리 생활에서 밧줄이 되기도 했습니다.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공원이나 길거리에서 보던 가로수에 대한 상식이 늘어나는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을 아이와 함께 읽어보는 건 어떨지 권해봅니다.
이상으로 '아빠와 함께 식물 산책' 서평을 마칩니다.